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김의태 교수의 상세 프로필 정보가 궁금하신가요? 본 페이지는 김의태 교수의 학력, 경력, 주요 연구 분야, 발표 논문 및 특허 등 전문적인 활동과 성과를 한눈에 파악하실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소재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 동향과 김의태 교수의 학문적 기여를 심도 깊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김의태 교수와의 학술적 교류 또는 연구 협력을 모색하시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의태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etkim@c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신소재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428217641 |
| 연구실 | 나노반도체실험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cnunanosemiconductor |
| 홈페이지 | https://mse.cnu.ac.kr/mse/professor/professor01.do?mode=view&key=LZStrEwBhBYEYUhmYg%20&pager.offset=0&pagerLimit=10 |
| 소속 | 충남대학교 |
| 회사명 | 충남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교수 |
| 연구 1 | 나노반도체 및 초미세 전자소자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전자소자의 핵심인 나노반도체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자 미세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반데르발스 신소재 기반 초미세 MOSFET 채널 및 절연막 계면 제어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고유전율(high-k) 비정질 불소화 탄소 및 탄화수소 박막 개발을 통해 10nm 이하 초미세 MOS 소자의 성능과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으며, 이는 고집적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또한, 양자점을 활용한 광전 발광소자(LEDs, Laser) 및 산화물 박막 내 양자점 임베딩을 통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연구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정보 저장 기술 분야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중대역 적외선 나노 소자 연구는 국방 및 산업 분야의 정밀 감지 기술 발전에 기여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기반 위에 실질적인 소재 합성 및 소자 구현 기술을 접목하여, 미래 전자 산업의 판도를 바꿀 핵심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책과제 수행과 다수의 특허 확보를 통해 기술의 독창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협력 기업에게는 차별화된 고성능 전자소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강력한 파트너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모바일, 인공지능, IoT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연구 2 | 고효율 광전기화학 및 신재생에너지 소재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마련을 위해 고효율 광전기화학(PEC) 및 신재생에너지 소자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전기화학적 수소생성을 위한 이차원 TMD 나노재료 및 고효율 장기안정성 MIS 소자용 나노금속-유기 하이브리드 2D 신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을 분해하여 친환경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로,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MoS2 형상 변조 연구를 통해 광전기화학 성능을 획기적으로 촉진하며, ZnO 및 TiO2 나노선 위에 MoS2 박편을 성장시켜 전하 분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헤테로 구조를 개발했습니다. 또한, 고효율, 저비용, 친환경 Cu2ZnSnS4 차세대 태양전지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플렉시블 TiO2 전극 개발은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몬 효과와 그래핀 이종접합을 활용한 이차원 Sn(S,Se)2 나노시트 기반 고효율 광전기화학전지 연구는 에너지 변환 효율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에너지 효율 증대, 탄소 배출 저감 등 환경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하며, 에너지 산업의 혁신적인 변화를 선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너지 기술 분야의 리더십을 강화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최적의 협력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
| 연구 3 | 첨단 2D 나노재료 합성 및 응용 |
| 내용 | 본 연구실은 그래핀, MoS2 및 기타 이차원(2D)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TMD) 나노재료의 혁신적인 합성 및 다양한 소자 응용 연구를 수행하며 첨단 나노기술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파 처리를 이용한 화학적 그래핀 대량 제조 기술 개발을 통해 2D 소재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크게 확장했으며, 그래핀 기반 나노-금속 복합체 박막 패터닝 기술은 차세대 유연 전자소자 및 센서 개발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을 제공합니다. 특히, 초박형 플렉시블 고효율 발광다이오드(LED) 응용을 위한 그래핀/양자점 구조 연구는 디스플레이 및 조명 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또한, 반데르발스 접근법을 활용한 초미세 MOSFETs용 초고유전체 및 반도체 계면 제어 연구는 2D 재료의 뛰어난 특성을 활용하여 소자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MoS2, Sn(S,Se)2와 같은 2D TMD 나노시트 및 나노선 합성 기술은 광전기화학 소자 및 태양전지 분야에서 탁월한 효율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 2D 나노재료 기술은 소재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기존 소재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성능, 다기능성 소자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미래 기술을 선도하는 혁신적인 2D 소재 기반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하는 파트너에게 강력한 시너지를 제공할 것입니다. |
| 학력 사항 | 1998 ~ 2003: Ph.D., Dep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S.,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91 ~ 1993: M.S., Dep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87 ~ 1991: B.S., Dep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