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유대웅 부교수님은 식품 가공, 기능성 식품 개발 및 식품 안전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계십니다. 특히, 식물성 원료 기반 대체육 개발, 해양 자원 활용 및 발효 식품 연구를 통해 식품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계십니다. 최근에는 단백질 함량이 높은 김칩 제조 기술 특허를 등록하며 건강하고 혁신적인 식품 개발에 앞장서고 계십니다. 유대웅 교수님의 심도 있는 연구는 미래 식품 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유대웅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duyu@cw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식품영양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2133513 |
| 연구실 | 식품미생물및가공학실험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foodenglab/main.do |
|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food/cm/cntnts/cntntsView.do?mi=5118&cntntsId=1448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 연구 1 | 지속가능한 식품 가공 기술 및 대체 식품 개발 |
| 내용 | 유대웅 교수 연구실은 미래 식품 산업의 핵심인 지속가능한 식품 가공 기술과 혁신적인 대체 식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식물성 원료 및 해양 바이오매스(수산부산물, 해조류 등)를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제품화하는 공정 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최근 특허 등록된 고단백 저칼로리 글루텐 프리 '김칩' 제조 기술은 식물성 식품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또한, 버섯 기반 비건 소시지 대체육 개발, 어육채 및 돈육 떡갈비 등 육류 대체 및 가공 기술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건강과 환경을 동시에 고려하는 식품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Green Extraction' 기술을 활용하여 유자, 단감 껍질, 감태 등 농수산 부산물로부터 항산화 및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여 자원 순환과 산업적 활용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 폐기물 감소 및 친환경적인 생산 방식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식품 위생 강화 및 안전성 확보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식품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에서 위생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첨단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콜드플라즈마, UVC-LED, UV 살균 기술 등 비가열 살균 및 차세대 살균 공정 기술을 식품에 적용하여 미생물 제어 및 품질 유지 기술을 개발합니다. 얼음 정수기, 정수 필터, 에어솔루션 환기 제품 등 다양한 생활 가전 및 환경 분야에서의 미생물 제어 및 살균력 평가를 수행하며, 실생활에 직접 적용 가능한 위생 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Vibrio vulnificus 등 식품 유래 병원성 미생물의 살균 효과 연구, 유통 중 수산물의 변색 및 이취 문제 해결을 위한 유통 품질 향상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식품 변질을 최소화하고 유통 기한을 연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위생 기술 자문, 살균 공정 고도화 등의 다양한 산업체 협력 과제를 수행하며 식품 안전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안전한 식품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연구 3 | 발효 및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
| 내용 | 유대웅 교수 연구실은 발효 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 및 다양한 바이오 활성 소재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전통 수산발효식품(젓갈 등)의 향미 개선 및 이취 저감 연구를 통해 발효 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김치 유래 유산균 및 장내 생존율을 높인 마이크로-인캡슐레이션 기술을 적용한 메타바이오틱스 개발 등 프로바이오틱스 및 프리바이오틱스 활용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아토피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제품화로 이어지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또한, 해양 유래 기능성 소재(다시마, 미역귀 후코이단, 톳, 크릴오일)와 농산물 유래 기능성 소재(유자, 단감)의 항산화, 항균, 면역 증강 효능을 탐색하고, 이들을 활용한 천연 조미료, 발포정, 건강기능식품 소재 등을 개발하여 식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발효 기술과 추출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기능성을 가진 식품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는 연구를 통해 식품 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전문 자문 위원] 재무간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학술간사, 한국키틴키토산학회 재무간사, 한국커피과학회 이사, 지속가능식품과학기술협회 편집위원, 한국수산과학회 편집위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편집위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편집위원, 한국영양학회 편집위원, 한국커피과학회 편집위원, 한국키틴키토산학회 운영위원, 농산물가공지원센터 운영위원, 농촌융복합사업추진단 건강기능식품 심의위원, 식품의약안전처 자문교수, 자문위원, ㈜상아제약 \[수상내용] 중소기업벤처부장관 표창 국립창원대학교총장 표장 |
| 학력 사항 | University of Saskatchewan Ph.D.(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부경대학교(학/석사)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