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광
김기광
소속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AI요약
김기광 교수님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찾고 계십니까? 본 페이지는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김기광 교수님의 공식 프로필을 제공합니다. 소속 기관, 학과, 직위 등 기본적인 인적 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향후 교수님의 주요 연구 분야, 학력, 경력, 참여 과제 및 논문 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김기광 교수님의 학술 활동에 대한 최신 소식을 본 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기광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kimkk@c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화학과 |
| 사무실 번호 | 0428215485 |
| 연구실 |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 |
| 소속 | 충남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충남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교수직 수행 및 연구 활동 |
| 회사명 | 미국 국립보건원 (NIH)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박사 후 연구원 |
중요 키워드
#기능유전체학#유전공학#예측 바이오마커#RNA 스플라이싱#맞춤형 치료#대체 스플라이싱#스트레스 과립#항산화#암 치료#Hippo 신호 전달#비부호화 RNA#RNA 기반 치료제#CRISPR-Cas9#독성 평가#면역관문억제제
연구 분야
| 연구 1 | RNA 스플라이싱 기반 암 치료 기술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RNA 스플라이싱 조절을 통한 암 치료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 억제 유전자 PBRM1의 대체 스플라이싱이 신장암 환자의 면역관문억제제 내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였으며, RNA 결합 단백질 RBFOX2에 의해 조절되는 PBRM1 대체 스플라이싱 변화가 암세포의 면역세포 회피 및 종양 생존·생장을 유도함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엑손의 선택적 조합으로 생성되는 단백질이 신호 전달을 강화하거나 약화시켜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를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RNA 대사 조절 기반 암 제어 연구실' 과제를 통해 RNA 기반 질병 치료 시스템 구축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차세대 암 치료 전략 및 진단 바이오마커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제저명학술지 'EMBO Journal' 및 'Nucleic Acids Research' 등 권위 있는 저널에 관련 논문을 게재하며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세포 독성 평가 및 스트레스 과립 동역학 분석 |
| 내용 | 본 연구실은 CRISPR-Cas9 유전자 편집 및 형광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세포 독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 과립을 활용하여 세포 독성을 평가하고, 대기 오염 물질의 폐 독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특히, G3BP1-GFP 리포터 인간 폐세포 시스템을 이용한 스트레스 과립 동역학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시험관 내 폐 독성 평가에 대한 연구 성과를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저널에 게재하였습니다. 또한,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에 의한 세포 유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극저주파 고자기장의 생물학적 유해성 판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 유해 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세포 영향 메커니즘을 밝히고, 안전성 평가 기술을 고도화하여 국민 건강 보호 및 산업 안전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 과립 형성 메커니즘을 통한 세포 노화 억제 효능 연구도 포함하고 있어, 광범위한 세포 반응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기능성 소재 개발 및 근육 분화 조절 |
| 내용 | 본 연구실은 다양한 천연물 및 생체 활성 물질을 활용하여 근육 분화 촉진 및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갖는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갈산, 가자,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분화 촉진용 조성물 개발을 통해 근원세포의 생존률 증진 및 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촉진 효과를 규명하고 특허를 등록했습니다. 또한, 포도덩굴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 유래 펩타이드의 항산화, 항염 및 노화 억제 효능을 밝히는 등 기능성 식품 및 의약외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NFAT 억제제를 활용하여 근육 분화 억제를 완화하고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특허도 출원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노인성 근 손실 예방, 근육 질환 치료 및 건강 증진을 위한 혁신적인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관련 산업 분야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생명∙해양 분야) - 과기정통부장관 명의 인증서와 현판 수여 [학회/논문 활동] - 국제저명학술지 'EMBO Journal' 논문 게재 (2024년 10월 8일) - 'Nucleic acids research' 논문 게재 (6월 14일) - 국제 학술지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논문 게재 (2023년 11월 30일) |
학력
| 학력 사항 | ㆍ충남대학교 생화학과 (학사) ㆍ충남대학교 생화학과 (석사) ㆍ충남대학교 생화학과 (박사)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