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상훈

김상훈

소속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AI요약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김상훈 교수는 흑색종 전이 억제 및 멜라닌 생성 억제를 위한 혁신적인 조성물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miRNA 및 siR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활용하여 특정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질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등록된 주요 특허로는 miRNA를 포함하는 흑색종 전이 억제용 조성물과 Rap1a 및 microRNA-2478을 활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용 조성물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피부 질환 및 암 치료 분야에서 중대한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상훈 교수의 연구는 바이오 신약 개발 및 질병 진단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상훈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상훈
직책교수
이메일shkim@kh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생물학과
사무실 번호029619208
연구실동물세포생리학실험
연구실 홈페이지http://khuacp.khu.ac.kr/
홈페이지http://khuacp.khu.ac.kr/Professor
소속경희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경희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1999. 3. - 현재 :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교수 재직 중
회사명UC Davis
재직기간-
담당업무2006. 1. - 2006. 12.: 미국, UC Davis 방문교수

중요 키워드

#멜라닌 생성 억제#프로테옴#바이오마커#방사선 민감성#흑색종#암 치료#유전자 발현 억제#한우#전이 억제#세포치료제#대장암#피부 색소 침착#항암제 민감성#miRNA#경제형질

연구 분야

연구 1miRNA 기반 질병 제어 및 치료 기술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microRNA(miRNA)의 생체 내 조절 기능에 주목하여 다양한 질병, 특히 암의 진단 및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miRNA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 인자로, 그 기능 이상은 여러 질병 발생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miRNA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를 제어하여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RIP-Chip 기법을 활용한 miRNA 표적 유전자 발굴 및 기능 연구를 통해 특정 miRNA가 어떤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고 있습니다. 또한, 영장류 특이적 microRNA-944와 p53 종양억제 유전자 간의 상호 연관성 연구를 통해 암 발생 및 진행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특히, microRNA를 활용하여 암세포의 성장 억제 기전과 종양억제 유전자에 의한 microRNA 피드백 및 전사 조절 기전을 규명하여, 기존 항암 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합니다. 저준위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반응과 miRNA 기능 제어를 통한 소화기암 치료 기술 개발은 방사선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흑색종 전이 억제용 조성물 및 Rap1a, microRNA-2478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용 조성물 개발과 같은 특허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암세포 생장 억제 및 항암제 민감성 증진제 개발 연구는 암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며,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개발은 방사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한 정밀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며, 난치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 2지방세포 생리 조절 및 대사 질환 치료 연구
내용본 연구실은 지방세포의 분화, 에너지 대사,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질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하여 비만 및 대사 질환을 개선하고 치료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특히, 지방세포의 기능 조절을 통해 건강 증진 및 미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생리활성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비만 개선 소재의 지방세포 분화 조절 및 에너지 대사 촉진 연구를 통해 백색 지방의 갈색 지방 전환 작용 기전을 탐색하고, 항비만 기능성 식이 소재에 의한 갈색 지방 활성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합니다. 또한, PPAR-γ 타겟 유전자 Mrap의 기능 연구를 통해 지방 분화의 핵심 조절 인자를 밝히고, Mrap과 Cide-c 프로모터 활성 세포주 구축을 통해 관련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Exosome을 활용한 생리활성 기능 증진 연구를 진행하여, Exosome에 의한 미백 개선, 갈색지방 전환 효능, 미백 및 항비만 조절 작용 기전 등을 탐구하며 첨단 바이오 기술과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멜라닌 생성 억제 관련 연구는 피부 색소 침착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Rap1a 및 microRNA-2478을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용 조성물 특허를 통해 연구의 실용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비만, 대사 증후군, 피부 색소 침착 등 다양한 건강 및 미용 관련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혁신적인 비만 개선 소재 및 피부 미백 소재 개발은 관련 산업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포생리학적 심층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식은 신약 개발 및 기능성 소재 개발의 기반이 됩니다.
연구 3축산 동물 경제형질 개선을 위한 분자 바이오마커 연구
내용본 연구실은 고품질 축산물 생산과 축산 경제성 향상을 목표로, 한우를 포함한 축산 동물의 경제형질 개선을 위한 분자 바이오마커 발굴 및 활용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근내지방 축적률, 도체중, 등지방 두께 등 고부가가치 형질과 관련된 유전적 및 생화학적 요인을 규명하여 과학적인 품종 개량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프로테옴 해석 연구(바이오그린 21)를 통해 한우의 경제능력 개선에 필요한 핵심 단백질 및 생화학적 경로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는 방대한 단백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전자 수준에서 경제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탐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우 저지방 부위의 근내지방 축적률 향상 기술 개발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고품질 한우 생산을 위한 핵심 기술이며, 특정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통해 축산물의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본 연구를 통해 발굴된 도체중 및 등지방 두께 관련 바이오마커 단백질은 한우의 우수 형질 선발 및 육종 효율성 증대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축산 농가의 소득 증대와 함께 고품질 한우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국내 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바이오마커 기반의 정밀 육종 기술은 미래 축산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지속 가능한 축산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