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경희대학교 의예과 김도경 부교수는 첨단 바이오 및 의료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전문가입니다. 김도경 교수는 환경 유해 물질 및 질병 원인균을 정밀하게 검출하는 고감도 형광 프로브와, 암세포만을 표적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약물 전달 시스템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말로노나이트릴, 과수화상병균, 신경작용제 등 다양한 물질을 신속하게 감지하는 형광 기술과 뇌암 및 일반 암 치료를 위한 나노입자 기반 표적 약물 전달 기술을 다수 특허로 등록하였습니다. 또한, 활성 물질의 경피 흡수율을 높이는 고분자 화합물 및 실리콘 기반 경피 전달 시스템 개발을 통해 혁신적인 치료법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김도경 교수의 연구는 정밀 진단과 표적 치료의 미래를 여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도경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dkim@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의예과 |
| 사무실 번호 | 8229610297 |
| 연구실 | 혁신의료소재 연구실(LIMM)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dkimlab.com |
| 홈페이지 |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NCgzmA4AAAAJ&hl=en |
| 소속 | 경희대학교 |
| 회사명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UC San Diego) |
| 재직기간 | 2015.01.01 ~ 2017.12.31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
| 재직기간 | 2017.01.01 ~ 2023.12.31 |
| 담당업무 | 조교수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
| 재직기간 | 2023.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부교수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밀의료학과 |
| 재직기간 | 2023.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학과장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기초의과학과 |
| 재직기간 | 2017.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겸임교수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인문융합연구센터 |
| 재직기간 | 2017.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겸임교수 |
| 회사명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
| 재직기간 | 2021.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겸임교수 |
| 회사명 | UC San Diego (USA) |
| 재직기간 | 2022.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Materials Research Science and Engineering Center 겸임교수 |
| 회사명 | 경희의료원 |
| 재직기간 | 2022.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겸임교수 |
| 연구 1 | 고감도 화학센서 및 생체 형광 프로브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환경 유해 물질, 질병 바이오마커, 그리고 병원균을 고감도로 검출하는 혁신적인 화학센서와 생체 형광 프로브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말로노나이트릴, 다이에틸싸이아노포스포네이트와 같은 특정 유해 물질 및 과수화상병 원인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생체 내 산화-환원 반응이나 특정 신경전달물질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영상화하는 프로브 개발을 통해 질병의 조기 진단 및 기전 연구에 기여합니다. 세계 최초로 소변을 이용한 자궁경부암 진단 키트 개발과 SARS-CoV-2 바이러스에 대한 형광 이미징 기술은 이러한 연구의 대표적인 성과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비침습적이고 정밀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며, 의료 현장뿐만 아니라 환경 모니터링 분야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수의 SCI급 논문과 특허 등록을 통해 본 연구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실용적인 가치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나노입자 기반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 및 혁신 의료 소재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약물의 효율적인 전달과 부작용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 및 혁신적인 의료 소재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암(교모세포종) 및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난치병 치료를 위해 약물을 뇌 특정 부위로 정밀하게 전달하는 나노 전달 플랫폼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구리/철-리간드 나노복합체 연구는 미래 항암 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합니다. 또한, 다공성 실리콘 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 및 생체 영상화 기술, 활성 물질의 경피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고분자 화합물 및 실리콘 기반 경피 전달 시스템 개발을 통해 차세대 치료법의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다공성 나노입자 개발' 성공을 포함하여 다수의 특허, 기업 공동연구 및 기술 이전을 통해 실제 임상 및 산업 적용 가능성을 활발히 탐색하고 있으며, 정밀의료 시대의 핵심 기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질병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바이오헬스 융합기술 |
| 내용 | 김도경 교수는 정밀 진단 및 표적 치료를 아우르는 바이오헬스 융합기술 연구를 통해 질병 극복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바이오마커 발굴부터 이를 활용한 맞춤형 진단 시스템 구축, 그리고 특정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표적 치료 전략 개발까지, 전주기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로 소변을 이용한 자궁경부암 진단 키트 개발과 종양 부위를 정밀하게 시각화할 수 있는 조영제 개발은 본 연구의 핵심적인 성과입니다. 또한, '뇌 특정 부위 약물 전달 플랫폼'과 슈퍼박테리아 극복을 위한 새로운 항생제 개발 등 난치성 질환 해결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료 AI/빅데이터, 제약 회사, 진단 회사 등 다양한 기업과의 기술 자문 및 공동 연구를 통해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미래 의학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VR 및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의학 교육 혁신 연구에도 참여하여 바이오헬스 분야의 전방위적인 발전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대한화학회 유기화학분과, 생명화학분과 - 대한해부학회 학술간사 - 바이오칩학회 홍보이사 - 네이버 백과사전 집필위원 - 경희 혁신 플랫폼(메타버스) 도입 TF 위원 - KAMC 미래의학 교육과정 개발 자문 교수 - 경희대학교 Global Eminence 2030 전문위원 [기술 자문] - 기술보증기금 심사/자문위원 - 창업진흥원 예비창업패키지 전담 멘토 - 홍릉 강소특구 바이오헬스클러스터 자문 교수 - 기업 자문: 제약 회사, 진단 회사, 의료 AI/빅데이터 관련 회사 [기술이전/공동연구] - 기술이전: 7건 (국외 1건, 국내 6건) - 기업 공동연구: 4건 (제약-바이오 기업) |
| 학력 사항 | 박사 POSTECH 화학과 (2014)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