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는 차세대 에너지 소자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존 에너지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율과 안정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재료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양창덕 교수는 태양전지용 정공 수송 재료, 리튬 이차전지용 바인더, 무흐름 아연-할로겐 전지용 전해액, 그리고 그래핀 제조 방법 등 다양한 에너지 핵심 소재 특허를 통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에너지 효율 증대 및 소자 안정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양창덕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yang@unist.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에너지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522172920 |
| 연구실 | 신유기광전자 재료 합성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yang.unist.ac.kr/ |
| 홈페이지 | https://yang.unist.ac.kr/ |
| 소속 | 울산과학기술원 |
| 회사명 | 효성 연구소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연구원 |
| 회사명 | UC Santa Barbara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 회사명 | Georgia Tech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방문 연구 교수 |
| 회사명 |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부교수 |
| 연구 1 | 유기 광전자 소재 합성 및 소자 응용 |
| 내용 | 본 연구실은 독특한 전자 및 광학적 특성을 가진 기능성 p-공액 유기 소재의 설계 및 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고효율 및 고기능성 유기 소재를 개발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유기 태양전지(OPV),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OFET)와 같은 차세대 광전자 소자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소자 성능 향상을 위한 분자 공학적 접근을 통해 분자 구조의 다양한 개질 및 기능화를 시도하며, 탄소 기반 소재 합성 연구를 통해 독특한 성질의 구현을 유도합니다. 특히, 나노 크기 분자의 구조 제어, 합성, 자가 조립 및 가공/소자 제작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소재의 근본적인 특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전자소자의 한계를 뛰어넘어 유연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전자기기, 고효율 에너지 변환 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학계와 산업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고효율화 및 고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심 소재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와 고성능 유기 반도체 소재 개발에 기여하며, 독자적인 핵심 소재 개발을 통해 태양전지의 안정성과 효율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UNIST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동 연구팀과 함께 25㎠ 크기의 모듈 형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용 유기물 신소재를 개발하여 21.83%의 세계 최고 효율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개발된 정공수송층 소재는 분자 구조 말단에 나프탈렌 구조를 삽입하여 소수성을 강화함으로써 고온 및 수분에 대한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전하 전달 성능을 극대화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미래 에너지 기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제시하며, 산업적 파급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
| 연구 3 | 고성능 유기 반도체 및 유연 전자소자 신소재 화학 |
| 내용 | 본 연구실은 고성능 유기 반도체 및 유연 전자소자를 위한 혁신적인 신소재 화학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폴리머/유기합성 및 초/고분자 화학 분야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분자의 불규칙한 배열이 유기 반도체 특성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 'Angewandte Chemie'에 발표하며 학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또한, 100번 접어도 성능 저하가 없는 고유연성 유기 태양전지 개발 및 풀러렌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효율을 달성하는 유기 태양전지 기술을 연구하여 유연 전자소자 분야의 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불소를 이용한 새로운 정공수송층 개발 연구는 '사이언스'지에 게재되며 그 우수성을 입증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재료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유연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센서, 차세대 유기 태양전지 등 다양한 유연 전자소자 분야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합성화학 기법을 활용하여 기능성 소재를 설계하고 최적화함으로써 미래 전자산업의 핵심 기술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
| 학력 사항 | Max-Planck Institute for Polymer Research 박사 충남대학교 석사 충남대학교 학사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