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정일석

정일석

소속

울산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과)

AI요약

정일석 울산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과 부교수님의 혁신적인 '라이다 센서' 특허가 등록되었습니다. 이 특허는 기존 라이다 센서의 부피와 복잡성을 해결하며, 기판 위에 레이저, 스캐너, 디텍터 등을 집적한 광집적회로와 전자집적회로를 통해 소형화 및 고성능화를 구현합니다. 특히, 커넥팅 라인을 통한 효율적인 신호 전달 방식으로 라이다 센서의 실용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본 기술은 자율주행, 로봇,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미래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혁신을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특허의 상세 기술 내용을 통해 라이다 센서 분야의 최신 기술 동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정일석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정일석
직책부교수
이메일ischung@unist.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전기전자공학과
사무실 번호0522172102
연구실NOEL
연구실 홈페이지https://nano-opto.unist.ac.kr/
홈페이지https://nano-opto.unist.ac.kr/people/
소속울산과학기술원

경력정보

회사명UNIST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 2018-present: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회사명 TU Denmark
재직기간-
담당업무● 2011-2019: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Photonics Engineering, TU Denmark ● 2009-2011: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hotonics Engineering, TU Denmark ● 2006-2008: Postdoc, Research Center COM, TU Denmark

중요 키워드

#라이다 센서#전기전자공학#정일석#기술사업화#센서 기술#전자집적회로#부교수#광집적회로#공동연구#울산과학기술원

연구 분야

연구 1라이다 센서 및 광집적회로 기술
내용정일석 부교수 연구팀은 기존 라이다 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피와 복잡성을 획기적으로 줄인 초소형 라이다 센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기판 위에 레이저, 스캐너, 디텍터 등을 집적한 광집적회로 및 전자집적회로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핵심 기술은 커넥팅 라인을 통한 효율적인 신호 전달 방식을 통해 라이다 센서의 실용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본 연구는 소형화 및 고성능화를 동시에 달성함으로써 자율주행, 로봇, 스마트시티 등 미래 핵심 산업 분야에서 라이다 센서의 광범위한 적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차세대 모빌리티 및 스마트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을 제공하며, 다양한 환경에서의 센싱 정밀도와 신뢰성을 보장하여 관련 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 2실리콘 칩 기반 나노 광전 소자 및 응용
내용본 연구실은 실리콘 칩 기반의 나노 구조 광전 소자를 실험적, 이론적으로 연구하며, 새로운 개념의 광전소자 구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컴퓨터 통신, 바이오/의료 진단, 센서, 그리고 양자 포토닉스 칩을 위한 레이저 및 감지기 개발에 핵심 역량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나노포토닉스 이론 연구, 수치계산, 클린룸에서의 소자 제작, 측정 및 분석 등 전 과정에 걸쳐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실리콘 온 칩 레이저 및 고대비 메타 구조 분야에서는 최고 기록과 최초 결과를 시연하며 기술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초고속 저전력 레이저 구현을 통해 데이터 통신 속도 향상에 기여하고, 밀리미터 크기의 실리콘 바이오/의학 진단 기구를 개발하여 정밀 의료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 3양자 포토닉스 칩 및 차세대 광 집적 기술
내용정일석 교수 연구팀은 미래 기술 혁신에 기여하기 위한 차세대 양자 포토닉스 칩 및 광 집적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센티미터 크기의 실리콘 양자 통신 및 컴퓨터 집적 기술 개발을 목표로, 나노구조를 활용한 새로운 개념의 광전소자 구현을 통해 양자 컴퓨팅 및 양자 통신의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특히, 실리콘 기반의 양자 포토닉스 칩을 위한 레이저 및 감지기 기술은 차세대 정보 통신 분야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4년 IITP로부터 234억 원 규모의 '오픈 서비스 양자 제조 센터' 연구비를 수주하는 등 양자 기술 분야에서의 선도적 역할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컴퓨팅 및 통신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초고속, 초저전력 솔루션을 제공하며, 미래 사회의 핵심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인 기술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 2006: Ph.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Optoelectronics), GIST ● 2000: MSc in Physics, KAIST ● 1997: MSc in Physics, KAIST

보유 기술 로딩 중...

정일석 | 기술중개플랫폼 한국기술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