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이송이 교수님은 부경대학교 화학과 생유기화학연구실을 이끄는 전문가입니다. 유기 소재 및 분자 인식을 기반으로 한 형광 화학 및 비색 검출 센서의 설계 및 합성을 주도하고 계십니다. 특히 폴리디아세틸렌(PDAs)과 신호 증폭을 위한 CDr 고분자 등 차세대 공액 고분자 센서 소재 연구에 매진하시며 바이오센서의 합성 및 응용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광역학 치료를 위한 신소재 개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계시며, 이는 진단 및 치료 분야의 혁신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이송이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lee@pk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화학과 |
| 사무실 번호 | 0516295592 |
| 연구실 | 생유기화학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cms.pknu.ac.kr/slee |
| 홈페이지 | https://chem.pknu.ac.kr/chem/2169?action=view&no=19401935 |
| 소속 | 국립부경대학교 |
| 회사명 | 부경대학교 화학과 |
| 재직기간 | 2024.09.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부경대학교 화학과 |
| 재직기간 | 2021.09.01 ~ 2024.08.31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부경대학교 화학과 |
| 재직기간 | 2018.03.01 ~ 2021.08.31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
| 재직기간 | 2017.06.01 ~ 2018.02.28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 재직기간 | 2016.06.01 ~ 2017.05.31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
| 재직기간 | 2016.03.01 ~ 2016.05.31 |
| 담당업무 | - |
| 연구 1 | 유기소재 및 분자인식 센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유기단분자 및 공액고분자를 활용하여 특정 분자를 선택적으로 인식하고 검출하는 형광 및 비색 센서를 설계 및 합성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유기 화합물의 구조적 특성을 조절하여 센서의 민감도와 선택성을 극대화하며, 생체 내 및 환경 시료에서 유해 물질이나 질병 관련 바이오마커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약 개발, 질병 진단,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분석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분자 인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맞춤형 센서 시스템을 구축하여 의료 진단 및 안전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공액고분자 센서소재 및 신호 증폭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폴리디아세틸렌(PDAs)과 같은 공액고분자 재료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센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공액고분자는 외부 자극(온도, pH, 화학물질 등)에 반응하여 색상이나 형광이 변화하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현합니다. 특히, CDr(Continuous Depolymerization after a Reaction-based detection) 고분자 연구를 통해 센서 반응의 신호 증폭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호 증폭 기술은 미량의 분석 대상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하여, 식품 안전, 환경 오염 물질 감지, 초기 질병 진단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그 가치를 발휘합니다. |
| 연구 3 | 바이오센서 합성 및 광역학 치료 신소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질병 진단을 위한 바이오센서 소재 합성 및 응용 연구와 더불어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를 위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정 생체 분자나 질병 마커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하여 질병의 조기 진단 및 모니터링에 기여합니다. 또한, 광역학 치료는 특정 파장의 빛과 반응하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치료법으로, 본 연구실은 효과적인 광역학 치료를 위한 새로운 광감작제를 설계 및 합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소재 개발은 정밀의료 시대에 맞춰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는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기술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대한화학회 유기화학분과회 운영위원 - 제 134회 대한화학회 참석 및 포스터 발표 - 제24회 대한화학회 유기화학분과회 하계워크샵 참석 및 발표 - ACS Fall 2024 학회 참석 및 발표 [수상 내역] - '젊은 유기화학자상' 수상 - 제 2회 G-LAMP SEED 워크샵 최우수성과상 수상 [기타 활동] - 국립부경대학교 2025년 2월 학위수여식 참석 - 김가현, 유민석 학생 국립부경대학교 공학석사 학위 수여 |
| 학력 사항 |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이학박사 (2016) 이화여자대학교 바이오융합과학과 이학석사 (2013)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 이학사 (2011)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