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훈
송명훈
소속
울산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AI요약
울산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송명훈 교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 소자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안정적인 유기 발광 소자(OLED/PeLED) 개발에 주력하며, 유연 전자 소자의 신뢰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다수 개발하셨습니다. 송명훈 교수의 연구는 전극, 박막 형성, 봉지재, 시험편 제조 방법 등 소자 구현의 핵심 기술을 포괄하며, 현재까지 18건의 등록 및 공개 특허를 통해 그 연구 성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본 정보는 송명훈 교수의 주요 특허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그의 전문성과 기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송명훈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mhsong@unist.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신소재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522172316 |
| 연구실 | Organic Photonics & Optoelectr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mhsong.unist.ac.kr/ |
| 홈페이지 | https://mhsong.unist.ac.kr/professor/ |
| 소속 | 울산과학기술원 |
경력정보
| 회사명 |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신소재공학부 교수 - 유기/고분자 기반 발광소자 및 태양전지 개발 -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발광소자 및 태양전지 개발 - 액정/고분자 기반 레이징 소자 개발 |
| 회사명 | 케임브리지 대학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 회사명 | KAIST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중요 키워드
#공액고분자#디스플레이#박막#광전소자#전극#유기전자소자#신뢰성평가#페로브스카이트#신소재#유연소자#나노소재#발광소자#태양전지#첨단소재
연구 분야
| 연구 1 |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고효율 광전자 소자 개발 |
| 내용 | UNIST 송명훈 교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 소자의 핵심인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발광다이오드(LED)와 태양전지 연구를 선도합니다. 특히 고효율, 고안정성 페로브스카이트 소자 개발에 집중하며, 이온포획층 및 신규 공액계 화합물 적용 등 재료 설계 및 소자 구조 최적화를 통해 성능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KETEP의 'Super Solar Cells' 프로젝트와 같이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 한계 돌파를 목표로 탠덤 태양전지 기술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나노결정 소자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을 활용한 새로운 소자 구현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Ligand-engineered bandgap stability in mixed-halide perovskite LEDs'와 같은 주요 논문을 통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으며, 차세대 고성능 디스플레이, 고효율 태양 에너지 변환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 연구 2 | 유기·고분자 기반 차세대 광전자 소자 및 유연 전자 소자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유기 및 고분자 기반 발광다이오드(LED), 태양전지, 박막 트랜지스터(OTFT), 레이저 다이오드(OLD) 등 다양한 광전자 소자의 개발과 함께 유연 전자 소자 기술의 실용화를 목표로 합니다. 고분자 태양전지의 낮은 효율과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하선택적 계면전송층, 은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전극 등 혁신적인 소재 및 구조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연 투명 봉지재 개발을 통해 소자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Workfunction-tunable, N-doped reduced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s'와 같은 연구로 고성능 투명 전극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유기 광전자 소자의 핵심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에서도 최신 기술을 접목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현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연 센서 등 미래 전자 산업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플랫폼 재료 기술 센터 참여를 통해 실제 적용 가능한 유연 전자 소자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 연구 3 |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위한 나노소재 및 광전기화학 시스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과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소재 기반의 광전기화학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하베스팅 및 폐자원 활용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생산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ZnO, SnO,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결정 등 다양한 나노 물질의 합성과 이를 활용한 광전기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고효율 촉매 및 소자를 개발합니다. 폐수 및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암모니아와 글리콜산(화장품 원료)을 동시에 생산하는 광전기화학 시스템 개발은 실제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또한, 'Versatile surface plasmon resonance of carbon-dot-supported silver nanoparticles in polymer optoelectronic devices'와 같은 연구를 통해 나노 입자의 광학적 특성을 최적화하여 소자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이 연구는 탄소 중립 사회 실현에 필수적인 친환경 에너지 생산 및 자원 재활용 기술을 제공하며, 미래 에너지 시장과 환경 산업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NRF 기후변화 해결 기술개발 프로그램 참여 등을 통해 국가적 친환경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2002– 2005 : Ph. D. Organic and Polymeric Materials,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Tokyo Tech) 2000-2002 : M. S.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KAIST 1993-2000: B.S.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