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이범선 교수는 무선 전력 전송 및 첨단 안테나 기술 분야의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교수님의 특허 포트폴리엄은 무선 전력 전송 효율 증진, 이물질 감지 및 위치 탐지 기술, 그리고 다중 빔 형성 및 원형편파 안테나 설계 등 폭넓은 혁신 기술을 아우르고 있습니다. 전력 분배, 드론 충전, 심지어 뇌 심부 자극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며 차세대 무선 통신 및 전력 시스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요약은 이범선 교수님의 주요 연구 성과와 특허 기술을 심층적으로 소개하여 해당 분야의 최신 동향과 미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이범선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bomson@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전자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012924 |
| 연구실 | Wireless Technology 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iwprc.khu.ac.kr |
| 홈페이지 | http://ant.khu.ac.kr/mem_pro.html |
| 소속 | 경희대학교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
| 재직기간 | 1995.09.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교수로서 무선 전력 전송 및 안테나 기술 분야 연구 및 교육 수행 - 메타물질 기반 안테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전자기파 제어 및 효율적인 에너지 전송 기술 연구 - 드론 및 바이오메디컬 기기 무선 충전 솔루션 개발 |
| 연구 1 | 고효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기술 개발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 및 시스템의 에너지 공급 방식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효율, 장거리, 안전성 확보에 중점을 두어 스마트 기기, 드론, 웨어러블, 바이오메디컬 기기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무선 충전 솔루션 구현을 목표로 합니다.자기 공명, 전자기 유도, 전파 방식 등 다양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연구하며, 이물질 감지 및 위치 탐지 기술을 결합하여 안전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중 빔 형성 및 원형편파 안테나 설계를 통해 전력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고, 복잡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합니다. 전력 분배 및 효율적인 에너지 전송 기술은 기존 유선 충전의 한계를 넘어섭니다.이러한 기술은 스마트폰, IoT 기기뿐만 아니라 드론 무선 충전, 전기차 충전, 나아가 뇌 심부 자극과 같은 바이오메디컬 분야에까지 폭넓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차세대 무선 통신 및 전력 시스템 발전에 기여하며, 에너지 효율 증진과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합니다. |
| 연구 2 | 차세대 안테나 및 RF 시스템 설계 |
| 내용 | 본 연구실은 미래 무선 통신 및 센싱 환경에 최적화된 첨단 안테나 및 RF(Radio Frequency) 시스템을 연구 및 개발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 증대 및 시스템 소형화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고성능 무선 통신 환경 구축을 위한 핵심 기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광대역, 멀티밴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진 소형 및 배열 안테나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전파를 집중시켜 통신 효율을 높이고 간섭을 줄이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위성 추진체 및 로켓 등에 적용 가능한 특수 목적 안테나 개발과 PCB 코일 기반의 RF 시스템 설계 기술을 통해 독창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존 안테나의 한계를 뛰어넘습니다.이 연구는 5G/6G 이동통신, 위성 통신, IoT(사물인터넷) 기기, 센서 네트워크 등 광범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입니다. 고성능 안테나 및 RF 시스템은 통신 거리 확장, 데이터 처리량 증가는 물론,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켜 스마트 도시, 자율주행,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서비스 창출 및 시장 확대를 가능하게 합니다. |
| 연구 3 | 메타물질 기반 전자기파 제어 및 응용 |
| 내용 | 본 연구실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메타물질(Metamaterials)을 활용하여 전자기파의 전파 특성을 자유롭게 제어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자기파 관련 다양한 문제 해결 및 새로운 응용 분야 개척에 기여하며, 미래 전자장치 및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메타물질의 독특한 전자기적 특성(음의 굴절률, 고유 자기장 반응 등)을 이용하여 전자기파의 흡수, 투과, 반사, 방향 전환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특히 메타물질 기반 안테나 설계를 통해 기존 안테나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고, 전자기파 차폐 기술 및 스텔스 기술 등 국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독창적인 솔루션을 제시합니다.이 기술은 고성능 무선 통신 기기, 고감도 센서, 전자기파 차폐 솔루션, 스텔스 기술 등 다양한 첨단 분야에 활용됩니다. 또한, 바이오메디컬 기기의 전자기파 간섭 방지나 특정 부위로의 에너지 집중 등 의학 분야에도 응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자기파 간섭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형태의 전자기기 개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산업 전반에 걸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
|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한국전자파학회 마이크로파 및 전파 전파연구회 위원장 (2008년 1월 ~ 2009년 12월) - 한국전자파학회 영문지 편집위원장 (2010년 1월 ~ 2010년 12월) - 한국전자파학회 회장 (2018년 1월 ~ 2018년 12월) |
| 학력 사항 | 공학박사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대 전자공학과 (1995) 공학석사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대 전자공학과 (1991) 공학사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1982)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