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김연주 부교수님은 나노기술과 천연물 유래 생체활성 물질을 활용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계십니다. 암 및 염증 질환 치료제, 기능성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친환경 식물 생장 촉진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창출하며 다수의 특허를 등록하셨습니다. 특히, 진세노사이드, 황칠나무, 비피도박테리움 등을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개발 및 의약학적 응용 연구를 통해 인류 건강 증진과 지속 가능한 바이오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연주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yeonjukim@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명공학원 |
| 사무실 번호 | 0312013500 |
| 연구실 | -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https://app.rndcircle.io/lab/fb447b44-3826-4215-beb7-3b5f5bc6ceb8 |
| 소속 | 경희대학교 |
| 연구 1 | 천연물 기반 발효 바이오 소재 개발 및 효능 증진 |
| 내용 | 김연주 교수는 인삼, 황칠나무, 엉겅퀴, 딸기, 호박잎 등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바이오 소재의 발효 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생리활성 물질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과 같은 유용 미생물을 활용한 발효 공정 최적화를 통해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핵심 성분의 전환율을 높이고, 신규 활성 물질을 발굴하는 데 탁월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염증성 장질환 개선을 위한 인삼 유래 postbiotics 개발, 면역 조절을 위한 호박잎 발효물 활용, 호흡기질환 치료용 발효 엉겅퀴 바이오마커 개발 등 다양한 국책 및 교내 과제를 통해 실용화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DMZ 자생토종식물체 대사산물을 활용한 바이오 신소재 개발, 인삼 수경재배 공법 최적화 및 발효 식초 개발 등 천연자원의 가치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발효를 통해 이취를 제거한 단백질 조성물 개발과 같은 산업적 애로사항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천연물 기반 신소재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인류 건강 증진과 지속 가능한 바이오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나노 복합체 기반 항암·항염증 및 기능성 소재 연구 |
| 내용 | 김연주 교수는 나노기술과 생체활성 천연물을 융합한 나노 복합체 개발을 통해 암 및 염증 질환 치료, 면역 증강, 그리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 나노입자와 진세노사이드, 비피도박테리움, 황칠나무, 엉겅퀴 등 다양한 천연물 및 미생물 유래 물질을 결합하여 강력한 항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신소재를 개발해왔습니다. 연구실은 비피도세포막 금나노결합체의 대량생산 및 시제품 개발을 통해 실제 의약학적 응용 가능성을 탐색하며, 국제 SCI 학술지에 관련 논문을 다수 게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삼 유래 나노소재를 활용한 감염성 질환 대응 연구는 'Journal of Nanobiotechnology'에 게재되어 주목받았습니다. 또한,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산화아연 나노복합체, 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등을 개발하여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 등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도 활발히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DK에코팜(주) 및 SD생명공학(주)로 4건의 바이오 특허 기술 이전을 통해 상업적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인류 건강 증진을 위한 혁신적인 치료 및 예방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친환경 식물 생장 촉진 및 식물병 방제 바이오 기술 |
| 내용 | 김연주 교수는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친환경 바이오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미생물을 활용하여 식물 생장을 촉진하고 작물 병해를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연구를 수행하며, 농업 생산성 향상과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삼근부병 예방 또는 치료용 미생물 제제 개발, 신규 식물 생장 촉진 미생물 발굴 및 그 용도 특허 등록, 규산 및 미생물 처리 기술을 통한 종자 생육 개선 등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해왔습니다. 또한, 작물의 환경 스트레스(염분 내성 등) 저항성을 유도하는 신종 균주를 탐색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통해 극한 환경에서도 작물이 잘 자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IoT 기술을 인삼 수경재배에 접목하여 최적화된 생육 환경을 제공하는 연구도 진행하는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농업 구현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촌진흥청 차세대바이오그린과제 등 다양한 국가 연구 과제를 통해 지원받았으며, 고품질 농산물 생산 및 안정적인 식량 공급에 필수적인 혁신적인 바이오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 활동 내용 | [기술 자문/이전] - DK에코팜(주) 및 SD생명공학(주)에 4건의 바이오 특허 기술 이전 (금나노 사포닌 항암제 개발 등)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