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경희대학교 기초한의과학과 엄재영 교수는 현대인의 주요 건강 문제인 탈모, 전립선 비대증, 당뇨, 비만 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육계, 황기, 바닐릭산, 당귀, 산수유, 울금 등 다양한 한약재 추출물을 활용한 혁신적인 치료 및 예방 조성물 개발에 주력하며 다수의 특허를 등록하였습니다. 이는 생체 독성 없이 질병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예방하는 데 기여하며, 학술적 가치와 함께 실제 의료 및 건강기능식품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제시합니다. 엄재영 교수의 연구는 난치성 질환으로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며, 한의학 기반의 바이오 헬스케어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본 프로필은 엄재영 교수의 주요 연구 성과와 특허 정보를 상세하게 소개하여, 그녀의 전문성과 기여도를 명확히 보여드립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엄재영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jyum@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기초한의과학과 |
| 사무실 번호 | 029619262 |
| 연구실 | UM 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www.umlab.co.kr/ |
| 홈페이지 | http://www.umlab.co.kr/member01_detail.html?id_no=99 |
| 소속 | 경희대학교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경희대 융합한의과학 연구소 소장 - 지방세포 분화 및 에너지 대사 연구 수행 - 다양한 병태 환경 내 지방세포 연구 및 암 환경에서의 지방세포 연구 집중 - 분자생물학 기반 악액질 관련 기초연구 10년간 수행 및 연구 범위 확장 |
| 연구 1 | 대사성 질환 치료를 위한 지방세포 에너지 대사 조절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비만, 당뇨병, 전립선 비대증 등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병태 생리 규명 및 치료 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지방세포의 분화, 에너지 대사, 섬유화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백색 지방의 갈색화 유도를 통한 에너지 소비 증진과 식이 유도 비만 완화 기전을 탐구합니다. AMPK, SIRT3, FXR-ApoC2 경로 등 주요 신호 전달 체계의 조절을 통해 대사성 질환 개선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시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바닐산, 엘라그산, EGCG, 베르베린 등 다양한 천연 화합물이 미토콘드리아 역학 조절을 통해 근육 위축을 개선하고, 지방세포의 갈색화를 촉진하여 비만 및 대사 이상을 완화하는 기전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방세포의 기능 이상이 유발하는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며, 정밀의료 기반의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암성 악액질 극복을 위한 암 미세환경 및 지방세포 조절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암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암성 악액질(Cachexia)의 발생 기전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규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 주변 지방세포(CAF)가 암 미세환경 내에서 섬유아세포로 변환되는 과정과 악액질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분자생물학 기반의 악액질 연구를 수행하며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축적하였으며, 이 연구는 2025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두경부암 환자의 악액질 극복을 위한 암 미세환경 조절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바닐산 등 특정 물질이 Sirtuin 3 매개 미토콘드리아 역학 조절을 통해 암성 악액질로 인한 근육 위축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암성 악액질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개발로 이어져 국내외 특허 26건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다학제적 접근과 캐나다 토론토대, 싱가포르국립대, 미국 텍사스대 MD 앤더슨 암 센터 등 국내외 공동 연구를 통해 암 미세환경을 제어하여 암성 악액질을 극복하고,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3 | 한의학 기반 천연물 신약 개발 및 양한방 융합 약리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천연물을 활용한 신약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 전통 한의학 이론을 현대 과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질병 치료에 적용하는 융합 약리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Curcumae Radix, Syzygii Flos, (-)-secoisolariciresinol 4-O-methyl ether, 4-hydroxybenzoic acid 등 다양한 한약재 및 천연 화합물 추출물이 비만, 염증, 대사 장애, 전립선 비대증, 아토피성 피부염, 탈모 등 다양한 질환에 미치는 효과와 작용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체 독성 없이 질환을 개선하고 예방할 수 있는 혁신적인 조성물을 개발하며, 관련 특허를 다수 출원 및 등록하였습니다. 양한방 융합 연구의 선두주자로서, 한의학의 고유한 이론인 칠정(七情), 십팔반(十八反), 십구외(十九畏) 등 약재의 상호 작용 원리를 분자 수준에서 검증하고, 이를 통해 한약 처방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합니다. 본 연구실은 서양 의학 전공자와 한의학 전공자가 함께 연구하며 동서 의학의 표현 방식 차이를 통합하는 '번역자' 역할을 수행, 질병 치료라는 공통 목표를 향해 실질적인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보완대체의학(CAM) 분야에서 Scopus 등재 세계 상위 2% 연구자로 선정되는 등 국제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대외 협력] - 캐나다 토론토대, 싱가포르국립대, 미국 텍사스대 MD 앤더슨 암 센터 등 국내외 공동연구진과 협력 체계 구축 및 공동 연구 수행 - 경희대 한의과대학 안광석 교수, 의과대학 김수일 교수와 국내 공동 연구 참여 [수상 내역] - Scopus 등재 세계 상위 2% 연구자 (보완대체의학(CAM) 분야) |
| 학력 사항 | 1992. 전북대학교 분자생물학과, 학사 1994. 전북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이학석사 2004. 전북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이학박사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