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강석주 교수는 스마트에너지재료연구실을 이끌며 차세대 에너지 및 전자 소자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2차전지, 전자소자, 강유전소자 등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이 될 첨단 재료 개발에 주력하며,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갖춘 배터리 기술 및 고성능 전자소자 구현을 위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강석주 교수의 연구는 리튬-산소 배터리, 해수 전지, 강유전성 고분자 등 다양한 첨단 소재를 아우르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과 혁신적인 전자 기기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미래 기술을 선도하는 탁월한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강석주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jkang@unist.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에너지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522173021 |
| 연구실 | 스마트에너지재료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eokjukang.wixsite.com/smel |
| 홈페이지 | https://starlibrary.org/research/researcherDetail?mngNo=1010 |
| 소속 | 울산과학기술원 |
| 회사명 | UNIST |
| 재직기간 | 2024.03.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교수 |
| 회사명 | UNIST |
| 재직기간 | 2019.03.01 ~ 2024.02.29 |
| 담당업무 | 부교수 |
| 회사명 | UNIST |
| 재직기간 | 2015.02.01 ~ 2019.02.28 |
| 담당업무 | 조교수 |
| 회사명 | 한밭대학교 |
| 재직기간 | 2014.09.01 ~ 2015.01.31 |
| 담당업무 | 조교수 |
| 회사명 | IBM Almaden Res. Ctr. |
| 재직기간 | 2012.07.01 ~ 2014.08.31 |
| 담당업무 | Post-doc |
| 회사명 | Columbia University |
| 재직기간 | 2010.11.01 ~ 2012.07.31 |
| 담당업무 | Post-doc |
| 연구 1 | 2차전지 기술 및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재료 |
| 내용 | 본 연구실은 미래 에너지 시스템의 핵심인 2차전지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중점을 두며,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산소 배터리, 해수 전지 등 다양한 유형의 2차전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염분 기반 계면 엔지니어링을 통한 리튬 이온 배터리의 고온 성능 향상, 반응성 산소종에 저항성을 갖는 레독스 매개체 개발을 통한 리튬-산소 배터리의 안정성 확보, 그리고 해수 전지용 N-도핑 탄화 리그닌 전촉매 개발 등 구체적인 기술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리튬이 풍부한 층상 산화물 양극재에서 고전압 레독스를 안정화하기 위한 금속 간 전하 이동 현상을 규명하는 등 배터리 소재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초 과학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하며, 고효율·고안정성 2차전지 개발을 통해 전기 자동차, 휴대용 전자기기,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할 것입니다. |
| 연구 2 | 전자소자 구현을 위한 첨단 재료 및 유연 소자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전자기기의 성능 향상과 새로운 기능 구현을 위한 첨단 전자소자 재료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피택셜 성장 기법을 활용하여 고품질 박막을 제조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성능 트랜지스터, 센서 및 메모리 소자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유연 박막 장치 연구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인체 부착형 센서 등 미래 유비쿼터스 전자기기의 핵심 기술로, 유연하면서도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는 재료 및 구조 설계에 중점을 둡니다. 스마트 재료의 개발을 통해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스스로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조절할 수 있는 지능형 소자를 구현하며, 이는 의료, 로봇, 사물 인터넷(IoT)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재료 과학과 전자 공학의 융합을 통해 기존 전자소자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며,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고성능, 다기능, 유연 전자기기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강유전소자 및 차세대 메모리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강유전 재료를 활용한 혁신적인 소자 기술 개발을 통해 차세대 메모리 및 센서 분야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강유전소자는 전장(電場)에 의해 자발 분극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 비휘발성 메모리, 센서,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강유전성 고분자를 이용한 유연 강유전소자 및 2차원 페로브스카이트 이종접합 구조를 활용한 자가 정류 저항 변화 메모리(Self-Rectifying Resistive Memory) 개발은 고집적, 저전력, 고속 작동이 가능한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구현에 핵심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강유전 재료의 미세 구조 제어 및 계면 특성 조절을 통해 소자의 신뢰성과 성능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강유전 기반 소자 기술은 빅데이터 처리, 인공지능 컴퓨팅, 사물 인터넷(IoT) 기기 등 미래 정보 기술 산업의 발전에 필수적인 고성능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재료 설계부터 소자 구현 및 특성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독자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 학력 사항 | 연세대학교 재료공학과 박사 (2010) 연세대학교 금속공학과 학사 (2005)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