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욱
이현욱
소속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AI요약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고에너지밀도 리튬 이차전지 양극/음극 활물질 및 전해액, 전고체 전지, 나트륨 이차전지 등 다양한 이차전지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CT(Computed Tomography) 기반의 비파괴 배터리 진단 기술을 통해 배터리 내부 변형과 이상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독보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며, 미래 에너지 저장 장치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현욱 교수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이현욱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hyunwooklee@unist.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에너지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522172593 |
| 연구실 | ESEM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ites.google.com/site/hyunwookleenano/ |
| 홈페이지 | https://www.linkedin.com/in/hyun-wook-lee-a173a762/ |
| 소속 | 울산과학기술원 |
경력정보
| 회사명 |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
| 재직기간 | 2016.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교수 - 2020년 부교수 승진 - 2022년 11월 1일 'Rising-star Distinguished Professor' 임명 - 2019년부터 2024년까지 6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 선정 |
| 회사명 | iScience (Cell press) |
| 재직기간 | 2018.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Editorial Board member |
| 회사명 |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
| 재직기간 | 2012.01.01 ~ 2015.12.31 |
| 담당업무 | 재료공학과 박사후연구원 |
중요 키워드
#배터리진단#배터리소재#전기화학#리튬이온전지#나트륨이온전지#덴드라이트#실시간현미경#전고체전지#이차전지#전해질#리튬금속전지#에너지저장#음극재#양극재#분리막
연구 분야
| 연구 1 | 과학 계산 및 수치 해석 |
| 내용 | 장봉수 교수의 연구실은 물리, 생물학, 화학, 공학 현상을 설명하는 편미분 방정식 및 적분 방정식을 포함한 수학적 모델링 문제 해결을 위한 계산 알고리즘 개발 및 분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분수형 시스템(Fractional System)과 편미분 방정식(PDE)에 대한 고차 수치 해석 방법론을 개발하며 복잡계 시스템의 동역학적 특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최신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과 접목되어 기존 실험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현상들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열전달 및 유체 역학 문제에 대한 수치 해석적 접근과 기계학습 기법을 융합하여 에너지 효율 최적화 및 신소재 개발 분야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학 계산 및 수치 해석 역량은 다양한 공학적 문제 해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좁히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수학적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응용 |
| 내용 | 본 연구실은 대량의 과학 및 산업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유의미한 패턴과 지식을 추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특히, 텍스트 데이터 마이닝 분야에서 형태소 분석 기반의 한국어 텍스트 클러스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개발하여, 메모리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정확도를 유지하는 독창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이는 자연어 처리 및 정보 검색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예술 및 창의 산업에 접목하는 융합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이미지 표현 방식을 설치미술 작품에 적용하거나 'AI 조향사' 기술을 개발하는 등 데이터 기술이 단순한 분석 도구를 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처리 및 과학 데이터 분석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여 복잡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동역학계 모델링 및 복잡계 분석 |
| 내용 | 장봉수 교수는 거대 동역학계의 수리모델링과 해석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는 물리, 사회,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복잡한 시스템의 변화와 상호작용을 수학적으로 예측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비선형 동역학(Nonlinear Dynamics) 이론과 분수형 시스템(Fractional System) 분석을 통해 생물 다양성(Biodiversity), 감염병 확산, 경쟁 시스템(Cyclic Competition Systems)과 같은 복잡한 현상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합니다. 연구실은 시스템의 안정성, 진화 패턴, 그리고 예측 불가능성 뒤에 숨겨진 규칙을 탐구하며, '집단 내/집단 간 경쟁과 사회적 적대 형성'과 같은 인문사회학적 문제에도 수학적 접근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계 분석은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고, 정책 결정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적인 역량입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협력 활동] -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로드니 루오프(UNIST 특훈교수) 연구팀, 강원대 진성환 교수팀, KAIST 서동화 교수팀과 협력. [대외 강연/방송 활동] - 2024-2025 제 2회 사이브릿지(SciBridge) "이차전지 내부를 들여다보다" (YouTube) - KBS 1라디오 강원국의 지금 이사람, 유니스트(울산과학기술원) 이현욱 교수 출연 - SBS TV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싶다" 출연 (2023.02.11) - KBS 1라디오 연구자 소개 라디오 방송 (2023.07.06~07) -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교육을 통한 지식 확산 기여 - 일반 시민 대상 리튬이온전지 및 이차전지 중요성 홍보 (대중 강연, 인터뷰, 유튜브 촬영) - 학회 초청 강연 다수 진행 (세종대학교, 홍콩 폴리테크닉 대학교, 부산대학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온라인 강의) [학회/위원회 활동] - 'Y-KAST' 회원 선출 (2023.12.11) [수상 내역] - Stanford GCEP 연구 심포지움 최우수 발표상 (2014) - KAIST 최우수논문상 (2012) |
학력
| 학력 사항 |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 (2012) KAIST 신소재공학과 석사 (2009) 세종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학사 (2007)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