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민규

김민규

소속

인하대학교 (화학과)

AI요약

인하대학교 화학과 김민규 조교수님의 연구 및 경력 정보를 찾고 계셨습니까? 본 프로필은 김민규 교수님의 학력, 주요 경력, 연구 분야, 발표 논문 등 핵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연구 활동과 전문성을 한눈에 파악하실 수 있도록, 공식 자료를 기반으로 신뢰성 있는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김민규 교수님의 학문적 성과와 활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데 기여하겠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민규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민규
직책조교수
이메일minkyu.kim@inha.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화학과
사무실 번호0328607671
연구실MCEAL
연구실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inha.ac.kr/mceal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inha.ac.kr/mceal/prof-kim?authuser=0
소속인하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Argonne National Laboratory Postdoc
재직기간-
담당업무2020.03 ~ 2022.01 Argonne National Laboratory Postdoc
회사명SAMSUNG
재직기간-
담당업무2019.03 ~ 2020.03 SAMSUNG SDI 책임급 연구원 2019.03 ~ 2020.03 삼성SDI 책임연구원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R&D#인하대학교#화학과#조교수#연구협력#산학협력

연구 분야

연구 1차세대 이차 전지 소재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리튬 이온 전지를 넘어 전고체 전지에 이르는 차세대 이차 전지 분야의 혁신적인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기존 배터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에너지 밀도, 안전성, 수명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리튬/나트륨 이온 배터리용 신규 양극재와 전고체 배터리용 고체 전해질 소재 개발에 주력하며, 다중 스케일에서 더 나은 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설계 규칙을 탐구합니다. 또한, 재료 합성, 진단 및 특성화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연구 접근 방식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구현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벌크 안전성 기반 고안전성/장수명 하이니켈 소립 단결정 양극소재개발' 등의 과제를 통해 실제 적용 가능한 기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UAM 등 고성능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핵심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시장을 선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관련 산업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구 2이차 전지 고장 메커니즘 규명
내용본 연구실은 이차 전지 소재 및 셀의 수명 퇴화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성능/고안정성 배터리 개발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급속 충전 및 저온과 같은 특정 작동 조건에서 발생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고장 원인을 분석하며, 전고체 배터리의 전해질-활물질 계면 반응을 규명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음극의 고체 전해질 계면(SEI) 안정화 기술 개발을 위해 실리콘-금속 무기 화합물 코팅층 형성 연구를 진행하며, 'Semi-single crystal 양극소재의 열화 분석 메커니즘 규명' 과제를 통해 소재의 근본적인 열화 현상을 파악합니다. 또한, '이차 전지용 멀티스케일 다각도 활물질-전해질 간 고체 전해질 계면 (SEI) 분석 연구를 위한 실시간 분석 장비 구축' 과제를 통해 정밀 분석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배터리의 수명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필수적이며, 진단 기술 및 소재 엔지니어링 분야의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보다 신뢰성 높은 배터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연구 3급속 충전 전극 및 시스템 최적화
내용본 연구실은 전기자동차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급속 충전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고성능 전극 및 배터리 시스템 최적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흑연 전극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실리콘·흑연 복합 전극 개발에 주력하며, 이를 통해 급속 충전 성능을 크게 개선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급속 충전 리튬 이온 배터리를 위한 흑연/실리콘 복합 전극의 설계 전략' 및 '급속 충전 향 실리콘/흑연 복합 음극 개발을 위한 복합 전극의 전기화학 거동 및 고체 전해질 계면(SEI) 연구' 과제들을 통해 복합 전극의 전기화학적 거동과 고체 전해질 계면 현상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Development of High-Power & High-Energy Solid-State Li-S Battery for Urban Air Mobility' 과제를 통해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와 같은 차세대 운송 수단의 고출력/고에너지 밀도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전고체 리튬-황 배터리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충전 시간을 단축하고 배터리 수명 및 안전성을 유지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제공하며, 완성차 및 배터리 제조업체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2013.02 포항공과대학교(학사)/신소재공학과 2019.02 포항공과대학교(박사)/신소재공학

보유 기술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