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고령화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근감소증 및 고관절 골절은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고 의료비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인공지능(AI)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근골격계 질환의 조기 진단, 정밀 예측 및 효과적인 치료 전략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 영상 자동 분할 및 분석 기술, 스마트 인솔과 같은 웨어러블 센서 기반의 신체 기능 모니터링, 그리고 디지털 트윈 모델을 활용한 골절 위험 예측 등 혁신적인 AI 기반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이 연구는 최신 학술 성과와 다수의 특허를 통해 미래 의료를 선도하며, 환자 맞춤형 정밀 의료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유준일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furim@hanmail.net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의학과 |
| 사무실 번호 | - |
| 연구실 | GAIME 랩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Jun-Il-Yoo |
| 소속 | 인하대학교 |
| 회사명 | 인하대병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교수 |
| 회사명 | 경상국립대병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감염병 특화 개방형실험실 부단장 |
| 회사명 | (주)디보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공동창업자 및 CTO |
| 회사명 | GNUH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융합 연구 책임자 |
| 회사명 | 병원 기반 비즈니스 혁신 센터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오픈 랩 부국장 |
| 연구 1 | AI 기반 근골격계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정밀 예측 |
| 내용 | 고령화 사회의 주요 문제인 근감소증 및 고관절 골절은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의료비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근골격계 질환의 조기 진단, 정밀 예측 및 효과적인 치료 전략 개발을 위해 인공지능(AI)과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특히, 의료 영상(CT, X-ray) 자동 분할 및 분석 기술을 통해 근육 부피, 품질, 골 밀도 등 핵심 바이오마커를 정량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질병의 진행 및 골절 위험도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허벅지 전체 CT 이미지 기반 비지도 학습 모델을 통한 아티팩트 감소 및 자동 근육 분할", "엑스레이 이미지를 활용한 인공지능 근육 분할 및 근감소증 진단 시스템" 등의 특허와 "Individual thigh muscle and proximal femoral features predict displacement in femoral neck Fractures: An AI-driven CT analysis", "Precise individual muscle segmentation in whole thigh CT scans for sarcopenia assessment using U-net transformer" 등의 논문은 본 연구실의 기술력을 보여줍니다. 이 연구는 환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정밀 의료를 실현하고, 궁극적으로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데 기여합니다. |
| 연구 2 | 스마트 디바이스 및 디지털 트윈 기반 신체 기능 모니터링 |
| 내용 | 본 연구실은 환자의 일상생활 속 신체 기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을 예측하고 재활 효과를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합니다. 스마트 인솔과 같은 웨어러블 센서를 활용하여 보행 패턴, 균형 능력 등 신체 활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여 근감소증 분류 및 골절 위험도를 평가합니다. 나아가, 환자의 생체 데이터와 의료 정보를 통합한 디지털 트윈 모델을 구축하여, 개인 맞춤형 골절 위험 예측 및 예방 전략 수립에 활용합니다. "인공지능 및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신체기능 모니터링 플랫폼 및 방법" 특허와 "Cross-sectional study comparing smart insoles and manual methods for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in hip fracture patients", "Sarcopenia classification model for musculoskeletal patients using smart insol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gait analysis", "Predicting and Preventing Severe Femoral Neck Fracture Using Biometric Data and Digital Twin Model: AI-based Approaches" 등의 연구 성과는 이 분야에서의 선도적인 역량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기술은 고령화 사회에서 건강 수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 연구 3 | 근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통합적 관리 및 예방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근감소증과 골다공증 등 주요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 규명부터 예방, 관리에 이르는 통합적인 연구를 수행합니다. 질병의 발생 기전 및 진행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역학 연구, 유전체 분석, 영양학적 접근 등 다학제적 방법을 동원하여 최적의 예방 및 관리 전략을 제시합니다. 특히, "식이염증지수 기반 근감소증 예측 장치 및 방법" 특허와 "Position statement: Evidence-Based Exercise Guidelines for Sarcopenia in Older Adults", "The Influences of Macronutrients on Bone Mineral Density", "Recent Update on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in Koreans: Finding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lationship between DNA methylation changes and skeletal muscle mass" 등의 연구를 통해 영양, 운동, 유전적 요인이 근감소증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건강 증진 가이드라인을 수립합니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노인 인구의 건강 수명을 연장하고, 만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 활동 내용 | [기술 자문/이전] -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내 근감소증 디지털 바이오마커 개발 -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RWD 기반 임상근거창출 지원사업` 수행 [수상 내역] - 장려상, 대한디지털헬스학회장 (2024.06.28.) - Best Oral Presentation Award,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2024.06.13.) - Poster Award,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2024.06.13.) - 최우수구연상, 대한근감소증학회 (2023.11.18.) - Poster Award,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2023.05.18.) - 우수구연상, 대한근감소증학회 (2022.12.03.)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