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지호
육지호
소속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AI요약
인하대학교 이차전지융합학과 육지호 교수님은 첨단 고분자 소재 및 기능성 필름 분야의 전문가이십니다. 교수님께서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공중합체를 활용한 투명 필름, 투명 하드코팅막 제조 기술, 광기계적 액정 고분자 필름, 그리고 흄드 실리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투명 하이브리드 필름 등 다양한 혁신적인 특허를 보유하고 계십니다. 또한, 난연성 모다크릴 섬유 및 마찰전기 발전 소자를 위한 대전체 폴리머 필름 연구를 통해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계십니다. 육지호 교수님의 심도 깊은 연구는 차세대 소재 및 에너지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정보는 교수님의 주요 연구 성과를 요약하여 제공합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육지호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youk@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7498 |
| 연구실 | Polymer Energy Materials 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chemengsfpl.wixsite.com/my-site |
| 홈페이지 | https://chemengsfpl.wixsite.com/my-site/professor |
| 소속 | 인하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인하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재직 |
중요 키워드
#폴리우레탄#고분자#나노섬유#하드코팅#항균섬유#난연소재#융합소재#신소재#나노재료#투명필름#액정고분자#산업응용#마찰전기#실리카#폴리아마이드
연구 분야
| 연구 1 | 첨단 기능성 고분자 필름 및 코팅 기술 |
| 내용 | 육지호 교수의 연구실은 고분자 재료를 기반으로 한 첨단 기능성 필름 및 코팅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스플레이 및 전자 기기 분야의 핵심 소재인 투명 필름, 유연 하드코팅막, 광기계적 액정 고분자 필름, 그리고 흄드 실리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투명 하이브리드 필름 개발에 탁월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폴리아마이드-이미드 공중합체를 활용하여 기존 필름의 단점인 황변도를 개선하고, 경도, 유연성, 발수성 및 발유성이 향상된 하드코팅막 조성 기술을 개발하여 제품의 내구성과 기능성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광 조사에 의해 구름 운동이 제어 가능한 액정 고분자 필름은 소프트 로봇과 같은 차세대 응용 분야에 활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분자 합성 기술과 나노재료의 복합화를 통해 이루어지며, 유연 동박 적층 기판용 저유전 유전층 소재 개발까지 확장되어 IT 및 전자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차세대 섬유 및 고기능성 복합 소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미래 산업을 위한 차세대 섬유 및 고기능성 복합 소재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난연성 모다크릴 섬유, 항균성 섬유, 그리고 고강도 PET 섬유 개발을 통해 안전성, 위생, 내구성 측면에서 기존 소재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을 추구합니다. 무기 난연제 입자와 무기염을 활용하여 난연 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방사용액의 점도 상승을 완화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효율적인 생산 공정을 확보했습니다. 클로헥시딘 코팅을 통한 항균성 섬유는 의료 및 위생용품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또한, 식물 유래 바이오매스 기반 폴리아미드(예: 폴리아미드 56, 510)의 중합 및 섬유소재 기술 개발에 참여하며 친환경 소재 분야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분자 합성, 나노섬유 제조, 표면처리 기술을 융합하여 진행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소재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3 | 마찰전기 발전용 고분자 에너지 소재 |
| 내용 | 육지호 교수 연구팀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위한 고분자 기반 에너지 수집 및 전환 소재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찰전기 발전 소자(Triboelectric Nanogenerators, TENG)의 핵심 부품인 대전체 폴리머 필름 개발에 있어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불소계 폴리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대면적 대전체 폴리머 필름 제조 기술은 높은 에너지 효율과 안정적인 성능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버려지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효과적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저비용/고성능 에너지 수집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 황 화합물을 이용한 마찰대전용 고분자 황 소재 합성법을 개발하여, 원유 정제 폐기물인 황을 활용하는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IoT 센서, 자가 발전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며,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서울대학교 학사 서울대학교 석사 서울대학교 박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