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인하대학교 이차전지융합학과 백성현 교수는 첨단 에너지 및 환경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화학적 증착법을 활용한 기능성 나노 소재 개발과 차세대 이차전지 및 고성능 촉매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백 교수는 정렬된 메조 포러스 망간 산화물 촉매, 스피넬 구조 고용체 기반의 리튬/공기 이차전지용 공기전극, 바이모달 세공구조 탈알킬화 촉매 등 다수의 핵심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전자빔 조사를 통한 오산화바나듐 박막 제조,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벤젠가스 처리, 고효율 티타닐 클로라이드 수용액 제조, 중간세공 구조 이산화루테늄 박막 개발 등 폭넓은 연구를 통해 에너지 저장 효율 향상과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백성현 교수의 연구는 산업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백성현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hbaeck@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7474 |
| 연구실 | 에너지환경기술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e2tlabinha.wixsite.com/e2tlab |
| 홈페이지 | https://e2tlabinha.wixsite.com/e2tlab/professor |
| 소속 | 인하대학교 |
| 회사명 | 호남석유화학 |
| 재직기간 | 1998.02.01 ~ 2001.03.31 |
| 담당업무 | 선임연구원 |
| 회사명 |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
| 재직기간 | 2001.04.01 ~ 2002.08.31 |
| 담당업무 | Visiting Post-doc |
| 회사명 | University of California |
| 재직기간 | 2002.09.01 ~ 2004.08.31 |
| 담당업무 | Assistant Research Engineer |
| 회사명 | 인하대학교 화학·화학공학 융합학과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교수 |
| 연구 1 | 전기화학 기반 기능성 나노소재 및 박막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첨단 전기화학적 증착법을 기반으로 기능성 나노소재 및 박막을 개발하여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정밀한 나노구조 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정렬된 메조 포러스 망간 산화물, 바이모달 세공구조 탈알킬화 촉매, 오산화바나듐 박막, 이산화루테늄 박막 등 고성능 소재를 성공적으로 개발해왔습니다. 기존 고온 소성 공정을 대체하는 전자빔 조사 등의 혁신적인 제조 방법을 도입하여 박막의 결정성, 에너지 저장 능력 및 전기화학적 활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차전지 및 슈퍼커패시터와 같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극 재료 성능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 필요한 고효율 촉매의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는 지속 가능한 미래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를 제공하며, 산업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실제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 연구 2 | 차세대 에너지 저장 및 전환 시스템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및 전환 시스템의 핵심 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리튬/공기 이차전지, 아연/공기 이차전지, 연료전지, 슈퍼커패시터와 같은 고효율 에너지 장치에 적용될 혁신적인 공기전극 및 전극 촉매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스피넬 구조 고용체, 이산화망간/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니켈-철 산화물, 니켈-코발트 산화물 등 첨단 복합 소재를 개발하여 산소 환원 및 발생 반응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또한, 독자적인 기술로 촉매 구조체 내에 산소 결핍을 유도하여 전기화학적 활성과 장기적인 안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에너지 저장 효율을 크게 높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미래 사회의 에너지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기술들이 상용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고성능 및 환경 촉매 기술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산업 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심각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성능 및 환경 촉매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모달 세공구조를 갖는 탈알킬화 촉매를 개발하여 알킬치환된 C9+ 방향족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저온에서 탈알킬화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고부가가치 화학 물질 생산의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습니다. 또한, 저온 플라즈마와 헤테로폴리산 촉매를 결합한 복합 반응기를 통해 벤젠과 같은 유해가스를 고효율로 처리하는 친환경 공정을 개발하여 대기오염 저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산소발생용 니켈 수산화물, 니켈-철 산화물, 망간 산화물 등 전이 금속 산화물 촉매의 산소 결핍을 유도하여 산소 환원 및 발생 반응의 전기화학적 활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촉매 기술은 화학 산업 전반의 생산성 증대와 함께, 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는 데 필수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
| 활동 내용 | [기술 자문/이전] - 저비용 전이 금속 산화물 촉매의 혁신적인 가능성 - 니켈 수산화물 촉매로 에너지 장치 혁신을 이끌다 [학회/위원회 활동] -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원 - 기초과학연구역량강화사업 (한국기초과학연구원) 지원 |
| 학력 사항 | 서울대학교 화학공학 학사 (1992) 서울대학교 촉매 및 반응공학 석사 (1994) 서울대학교 촉매 및 반응공학 박사 (1998)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