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심상은 교수는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소속으로, 고분자 및 복합재료 분야의 첨단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분산중합을 통한 균일한 고분자 입자 제조, 발전회를 활용한 고강도 플라스틱 복합체 개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열가소성 복합체, 자동차 엔진용 흡음성 단열재, 저비중 난연 금속산화물 분말, 방열-전자파 차폐 복합체 등 다양한 혁신 기술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소재 개발을 통해 산업계의 난제를 해결하고 미래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심상은 교수의 연구는 재료 과학 분야의 혁신을 이끌며,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심상은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eshim@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7475 |
| 연구실 | Polymer Engineering 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polymeng.creatorlink.net/ |
| 홈페이지 | https://polymeng.creatorlink.net/Professor |
| 소속 | 인하대학교 |
| 회사명 | 인하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교수 화학공학과 |
| 회사명 | ㈜ LG 전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자문교수, Target Lab |
| 회사명 | ㈜ 화승소재부분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자문교수 |
| 회사명 | ㈜ MCNS (SKC-Mitsui Chemical)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폴리우레탄부분 자문교수 |
| 회사명 | ㈜ LG전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가전사업부 소재 부문 자문교수, Target Lab |
| 회사명 | ㈜ ISC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자문교수 |
| 회사명 | 기술표준원 NET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NEP/중기청 성능인증/GR협회 심의위원 |
| 연구 1 | 고성능 고분자 복합재료 및 기능성 신소재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고분자 기반 복합소재의 물리화학적 및 구조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산업 문제 해결과 상업화를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기능성 실리콘 고무 합성 및 가공, 고단열 고분자 복합소재, 기능성 에어로겔 합성, 그리고 기능성 코팅, 잉크, 콜로이드 제조 등 광범위한 고분자 응용 분야를 다룹니다. 핵심 기술로는 분산중합을 활용하여 입도분포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특허1005971190000)과, 섬유 보강재 및 탄닌산을 첨가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체를 개발하는 방법(특허1024395630000)이 있습니다. 또한, 실리카/고분자 복합체 제조 기술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폐태양광 패널을 재활용한 고방열 에폭시 복합재를 HBM 첨단 반도체 패키징용 친환경 고기능 소재로 개발하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요구에 맞춰 고기능성 및 고내구성 신소재를 설계하고 제조하며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산업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첨단 환경 대응형 열 관리 및 전자파 차폐 소재 |
| 내용 | 본 연구실은 급변하는 첨단 산업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열 관리 및 전자파 차폐/흡수 기능의 고분자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전자파 차폐 고분자 복합재료는 물론, 고효율 방열 및 흡음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솔루션을 연구합니다. 구체적인 성과로는 자동차 엔진 인캡슐레이션용 흡음성 단열재(특허1025667580000, 특허1025757760000) 개발을 통해 엔진 외부로 방출되는 열에너지와 소음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또한, 알루미늄 코어에 자성체를 코팅하여 방열 및 전자파 차폐 성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복합체 제조 방법(특허1023163800000)과, 한천 및 탄소 소재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전자파 차폐재(특허1020768330000, 특허1020768290000, 특허1020768370000) 개발에도 성공했습니다. 그래핀-고분자 복합재료를 활용한 전자파 차폐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동차, 가전, 반도체 패키징 등 고열 발생 및 전자파 간섭에 민감한 첨단 산업 분야의 성능 향상 및 신뢰성 확보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지속가능 친환경 및 차세대 에너지 소재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환경 문제 해결과 에너지 효율 증진을 위한 지속가능한 고분자 소재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친환경 소재 기술 개발에 집중합니다. 발전회를 이산화탄소로 탄산화하여 고강도 플라스틱 복합체(특허1021418180000)와 내화 및 난연성이 증가된 실리콘 고무 복합체(특허1022481240000)에 적용함으로써 폐기물 재활용 및 이산화탄소 저감에 크게 기여합니다. 또한, 저비중 난연 금속산화물 분말 제조 방법(특허1025739930000)과 DOPO 코팅 산화철 난연제 제조 방법(특허1026676880000)을 개발하여 고분자 소재의 안전성을 확보했습니다. 차세대 에너지 소재 분야에서는 하이브리드 실리카 에어로겔을 활용한 이산화탄소 흡착 및 촉매 제조 기술, 리튬-공기 전지용 고성능 그래핀 기반 양극활물질 개발(특허1026468340000), 그리고 탄소계 다공체 preform 제조 기술을 통해 에너지 저장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순환 경제 기여, 탄소 중립 기술 개발, 그리고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친환경 난연재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며, LG전자 및 LG화학 타깃랩 선정 등 다양한 산학협력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기술 자문/협력] - 2017년 LG전자 타깃랩 선정 - 2022년 LG화학 타깃랩 선정 -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현대차, GS칼텍스 등 다수의 대기업과 첨단 소재 기술 개발 협업 - LG전자, SKC-Mitsui Chemical(MCNS), 화승소재, ISC, 아이원코퍼레이션 등의 기업 자문교수 - 다수의 정부 연구과제 및 산업체 밀착형 실용 연구 수행 |
| 학력 사항 | 박사: Polymer Engineering, University of Akron (2002) 석사: 화학공학, 인하대학교 (1997) 학사: 화학공학, 인하대학교 (1995)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