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박재형

박재형

소속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AI요약

인하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박재형 교수는 홀로그래픽 및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의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스펙트럼 랩핑을 이용한 투과형 홀로그래픽 근안 디스플레이 장치 특허, 콤팩트형 플로팅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라이트필드 데이터 변환을 통한 왜곡 없는 홀로그램 생성 방법에 대한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기기에서의 아이박스 확장, 고스트 이미지 제거, 그리고 사실적인 3D 이미지 구현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는 데 기여합니다. 박재형 교수의 특허 기술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의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산업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콘텐츠는 박재형 교수의 주요 특허 성과와 그 의미를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박재형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박재형
직책부교수
이메일jh.park@inha.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정보통신공학과
사무실 번호0328607432
연구실3D Information Processing Lab.
연구실 홈페이지https://p-jhpark.inha.ac.kr/p_jhpark/index.do
홈페이지https://p-jhpark.inha.ac.kr/p_jhpark/5508/subview.do?enc=Zm5jdDF8QEB8JTJGcHJvZkluZm8lMkZwX2pocGFyayUyRjkwJTJGdmlldy5kbyUzRg%3D%3D
소속인하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인하대학교
재직기간2013.03.01 ~ 재직 중
담당업무-
회사명University of Arizona
재직기간2019.03.01 ~ 2020.02.29
담당업무-
회사명충북대학교
재직기간2007.09.01 ~ 2013.02.28
담당업무-
회사명삼성전자
재직기간2005.09.01 ~ 2007.08.31
담당업무-

중요 키워드

#광학 정보 처리#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아이박스 확장#플로팅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기술#홀로그램 생성#3D 디스플레이#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AR 디스플레이#레이어드 디스플레이#컴퓨터 그래픽스#홀로그래피#광학#증강현실#가상현실

연구 분야

연구 1홀로그래픽 및 첨단 3D 디스플레이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차세대 3D 디스플레이 기술의 핵심인 홀로그래피를 통해 실제와 같은 입체 영상 구현을 목표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 기법을 고도화하고 라이트필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왜곡 없는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기존 3D 기술이 가진 시야각 및 초점 깊이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연스러운 시각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연구는 홀로그램의 스페클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화질을 평가하는 시스템 개발까지 포괄하여, 실제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고품질 홀로그래픽 구현에 기여합니다. 주요 기술로는 라이트필드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 홀로그램 생성 방법 및 장치, 라이트필드의 비호겔방식 홀로그램 변환 방법 및 장치, 라이트필드 변환 기술과 딥러닝을 적용한 홀로그램 스페클 제거 방법 및 장치 등이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홀로그램 영상의 사실감을 극대화하고, 컴퓨팅 부하를 줄여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디지털 홀로그램 윈도우 재현, Holo-TV 핵심 기술 개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원천 기술 확보 및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성과는 메타버스 환경, 의료 영상,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몰입감 있는 3D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기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수의 특허 등록을 통해 기술의 독창성과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할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 2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용본 연구실은 사용자에게 궁극적인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는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핵심 난제인 아이박스 확장, 플로팅 디스플레이, 그리고 실사 객체와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위한 오클루전(Occlusion) 구현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실제 환경과 가상 객체를 이질감 없이 동시에 인지하도록 하는 기술을 연구하며, AR/VR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데 기여합니다. 주요 기술 개발에는 각 스펙트럼 랩핑을 이용한 투과형 홀로그래픽 근안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아이박스 확장, 2면 배열 코너 반사체를 이용한 콤팩트형 플로팅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단일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MD)를 이용한 오클루전 가능 증강현실용 근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기존 AR/VR HMD의 사용자 불편함(좁은 시야각, 고스트 이미지, 부자연스러운 합성)을 해결하고, 착용감을 개선하며, 보다 현실적인 증강현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독자적인 광학 설계 및 제어 기술을 제시합니다. 개발된 AR/VR 디스플레이 시스템 기술은 의료 수술 시뮬레이션, 산업 현장 작업 지원, 교육 훈련 시스템, 엔터테인먼트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실사 객체 폐색이 가능한 홀로그래픽 증강현실 3D 근안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과 같은 국가 과제를 수행하며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미래형 디바이스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핵심 기술로, 사용자 중심의 혁신적인 AR/VR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창출합니다.
연구 3광학 정보 처리 및 3D 공간 정보 획득/재현
내용본 연구실은 광학적 특성을 활용하여 3차원 공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하고 정밀하게 재현하는 기술을 연구하며,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영상 처리 분야의 근간을 다지고 있습니다. 특히, 라이트필드 기술과 레이어드 디스플레이 기법을 통해 다중 시점의 3D 공간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깊이감과 입체감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2D 영상의 확장을 넘어선 진정한 의미의 3D 공간 재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라이트필드 기반 3차원 정보 획득 및 재생 기반 기술, 레이어드 디스플레이 기법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생성 방법, 그리고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E)의 특성 분석 등입니다. 또한, 무인이동체용 고속스위칭 가변 마이크로렌즈어레이 기반 2D/3D 공간정보 동시획득 기술 개발과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환경에서 3D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기술을 구현합니다.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계측 시스템 개발을 통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정밀하게 평가하고 최적화하는 데 필요한 기반 기술도 제공합니다. 이러한 광학 정보 처리 및 3D 공간 정보 획득/재현 기술은 메타버스, 자율주행 차량의 환경 인식 시스템, 의료 진단, 스마트 팩토리 등 고정밀 3D 공간 정보가 요구되는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 필수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기술은 3D 정보의 정확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하여 산업 전반의 기술 혁신에 기여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지향적인 광학 기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강의

담당 업무영상 처리 시스템 - 홀로그래픽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

대외활동

활동 내용[대외 활동] - 미추홀소방서와 '대학생 전문의용소방대' 발족 - 인하대학교, 산업통상자원부 '임베디드 시스템 전문인력 양성사업' 선정

학력

학력 사항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공학박사 (2005)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공학석사 (2005)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공학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