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후승

이후승

소속

충남대학교 (기계공학교육과)

AI요약

충남대학교 기계공학교육과의 이후승 교수님의 공식 프로필 페이지입니다. 본 페이지는 이후승 교수님의 소속, 직위 등 기본적인 인적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현재 연구 참여 과제, 논문, 특허, 보고서 등의 상세 정보는 업데이트 준비 중에 있습니다. 교수님의 연구 분야 및 활동에 대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이후승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이후승
직책교수
이메일liber@c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기계공학교육과
사무실 번호0428218595
연구실재료물성기반가공 실험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liber074.wixsite.com/liber
홈페이지https://liber074.wixsite.com/liber/about-me
소속충남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충남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2025. 03. ~ 현재 정교수
회사명한국기계연구원
재직기간-
담당업무2015. 09. ~ 2016. 08. 광응용기계연구실 박사후연구원
회사명주식회사 에자일텍
재직기간-
담당업무2011. 08. ~ 2015. 08. 사내이사
회사명한국기계연구원
재직기간-
담당업무2009. 09. ~ 2011. 06. 에너지기계연구실 연구생
회사명한전원자력연료
재직기간-
담당업무2008. 11. ~ 2009. 01. 구조해석그룹 인턴사원

중요 키워드

#공학시뮬레이션#나노입자#생산공학#기계공학#재료물성#레이저패터닝#소형디바이스설계

연구 분야

연구 1나노입자 레이저 패터닝
내용본 연구실은 나노초 레이저를 활용한 나노입자 레이저 패터닝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LIPSS(Laser Induced Periodic Surface Structures) 패턴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이를 유연 기판 상에 전사하는 독창적인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다양한 재료와 기판을 활용하여 패턴 형상 기반의 색 구현 기술을 심도 있게 연구하며, 이러한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양자 분야 변조가능 광유도결함 제조공정을 위한 초고속 레이저 시스템 구축' 과제를 통해 정밀한 레이저 제어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초음파 간섭을 이용한 나노입자 제조 및 활용과 실시간 분광분석을 통한 원리 규명' 연구로 나노입자 형성 및 특성 분석의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또한 '광에너지에 의한 나노입자의 첨삭가공에서 산란효과와 마랑고니 유동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세 가공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나노입자 제조 장치 및 방법' 및 '유동 유체 내의 나노입자 거동 예측 방법 및 장치' 특허는 본 연구실의 기술적 역량을 잘 보여줍니다. 이러한 연구는 디스플레이, 센서, 광학 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응용 가능성을 제공하며, 정밀 제조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2소형 디바이스 설계
내용본 연구실은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형 디바이스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계적 정밀도와 기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 설계 및 재료 선택, 작동 메커니즘 분석에 중점을 둡니다. 특히 피에조 효과를 이용한 틸트 미러와 같은 고정밀 구동 장치의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미세 시스템의 동역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최적화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디 일체형 배선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특허는 집적화된 디바이스 제조 기술을, '주행장치용 보조바퀴'와 '이동 물체 감지 장치' 특허는 로봇 및 이동 시스템 관련 소형 부품 및 센서 설계 역량을 보여줍니다. 또한 '[산학공동] 서비스로봇용 바퀴 일체형 모빌리티 개발' 과제를 통해 실제 산업 수요에 기반한 디바이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재료물성에 따른 PZT 구동특성 분석' 연구는 정밀 구동 소자의 핵심 기술을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로봇 공학, 정밀 제어, 스마트 센서, 마이크로 시스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며, 고성능 소형 장비 개발에 필수적인 기술 기반을 제공합니다.
연구 3공학 시뮬레이션
내용본 연구실은 복잡한 공학 시스템의 거동을 예측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공학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및 응용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유한요소해석(FEM), 전산유체역학(CFD) 등 다양한 수치 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재료 물성, 열 유동, 구조 강도, 동역학적 특성 등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특히 '공작기계용 시뮬레이션 장치' 특허에서 보이듯이, 실제 장비의 성능을 가상 환경에서 검증하고 개선하는 시뮬레이션 플랫폼 구축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d프린팅 된 PLA의 레이저 폴리싱 특성평가연구'와 같은 과제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복잡한 가공 공정의 조건을 최적화하고 최종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유동 유체 내의 나노입자 거동 예측 방법 및 장치' 특허는 나노 스케일에서의 유체 및 입자 거동 예측 시뮬레이션 역량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기술은 제품 개발 시간 및 비용 절감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최적화된 설계와 공정 조건을 도출하여 실제 시스템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인 기반 기술로 활용됩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2025. 02. ~ 현재 교무2부처장 2024. 05. ~ 2025. 02. LINC3.0 부단장 2023. 03. ~ 2024. 03. 연구2부처장 / 산학협력단 제2부단장 / 충남대학교기술지주(주) 부사장 2022. 08. ~ 2023. 02. (대전세종충남) 지자체-대학 지역혁신플랫폼사업 대학교육혁신본부 교육혁신센터장 2021. 09. ~ 2022. 07. (대전세종충남) 지자체-대학 지역혁신플랫폼사업 대학교육혁신본부 지역인재교육센터장 2021. 03. ~ 2023. 02. 충남대학교 교수회 운영위원(대학평의원회 평의원, 예산편성위원회 위원) 2020. 07. ~ 2022. 04. 지역선도대학육성사업 충남대학교 컨소시엄 부단장 (대전세종충남 권역) 2019. 03. ~ 2021. 02. ​기계재료공학교육과 학과장 2017. 09. ~ 2018. 08. 융복합시스템공학과 학과장 2024. 01. ~ 현재 대한기계학회 교육부문 학술이사 2017. 01. ~ 현재 한국정밀공학회 정밀가공부문 이사 ​

학력

학력 사항2011. 09. ~ 2015. 08.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박사 2009. 08. ~ 2011. 08. 충남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사 2003. 03. ~ 2009. 08. 충남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사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