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종
김의종
소속
인하대학교 (건축학부)
AI요약
인하대학교 건축학부 김의종 교수는 쾌적하고 효율적인 실내 환경 구축을 위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내 CO2 농도를 감지하여 환기 시스템을 최적 제어하는 기술,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유량 조절 밸브 및 온수 난방 시스템, 그리고 환기 필터의 수명을 정확히 예측하는 기술 등 다수의 혁신적인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김의종 교수의 연구는 건축물의 실내 공기질 개선과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며,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 구현에 중요한 해법을 제시합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의종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ejkim@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건축학부 |
| 사무실 번호 | 0328607589 |
| 연구실 | 건물에너지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besresearch/home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besresearch/home |
| 소속 | 인하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인하대학교 |
| 재직기간 | 2015.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건축학부 교수로서 설비 및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관련 연구 및 교육 진행 |
| 회사명 | 프랑스전력(EDF) 고효율건물산학연구센터(BHEE) |
| 재직기간 | ~ 2014.12.31 |
| 담당업무 | 연구원 재직 |
중요 키워드
#건축설비#건물에너지#스마트빌딩#예측모델#유량제어#센서기술#HVAC#CO2제어#유지보수#실내환경제어#헤파필터#에너지효율#환기시스템#난방시스템#신재생에너지
연구 분야
| 연구 1 | 인공지능 기반 HVAC 시스템 최적화 |
| 내용 | 본 연구실은 쾌적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실내 환경 구축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HVAC(난방, 환기, 공조) 시스템 최적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최신 AI 기술을 활용하여 실내 CO2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환기 시스템을 지능적으로 제어하며,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유량 조절 밸브 및 온수 난방 시스템 개발에 주력합니다. 또한, 환기 장치 내 헤파 필터의 수명을 정확히 예측하는 기술을 통해 예측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물리모델 결합형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공조기 디지털트윈 개발, 예측제어를 위한 일사량 분석, 그리고 다양한 시뮬레이터 개발로 이어져 왔습니다. 관련 특허로는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환기장치 제어 시스템', '밸브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량조절밸브 조립체', '최적 유량을 갖는 온수 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환기 장치를 위한 헤파 필터의 수명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등이 있습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의 실내 공기질 개선과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며,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 구현에 핵심적인 해법을 제시합니다. |
| 연구 2 | 신재생 에너지 및 지열 시스템 최적화 |
| 내용 | 본 연구실은 탄소중립 사회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인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특히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최적 설계 및 운영 전략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지열히트펌프의 최적 운전 전략을 시뮬레이터로 실증하고 있으며, 도심 밀집지역에서의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을 상세 모델링하여 최적 설계를 도출합니다. 또한 PVT(Photovoltaic/Thermal) 급탕시스템의 최적 제어 방안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하며, 수열원 시스템의 동절기 효율 향상과 AI 기반 최적 운영 제어 기술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비정형 배열 구조를 가지는 지중열교환기의 용량 산정방법' 및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에서의 지중열교환기 용량산정방법' 등 다수의 특허를 통해 기술적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연구 성과는 실제 건축물에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운영함으로써 에너지 비용 절감 및 환경 부하 감소에 크게 기여하며, 미래형 제로에너지 커뮤니티 구축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건물 성능 진단 및 실내 환경 제어 |
| 내용 | 본 연구실은 건물 에너지 성능 진단 및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 환경 제어 기술 개발을 선도합니다. 건물 압력분포 기반 공기유동 매핑을 통해 멀티피직스 현상을 규명하고, 드론을 활용한 태양광패널 표면온도 자동진단 기술을 개발하여 건물 외부 성능 관리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또한 데이터 기반 설비시스템 성능 진단 알고리즘을 고도화하고 냉방 일체형 청정환기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및 운영 최적화를 수행하여 실내 환경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열화상 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창호 시공부위의 하자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술은 '열화상 촬영 이미지를 이용한 창호 시공부위 하자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특허로 등록되어 건축물 품질 관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건축물 운영 단계에서의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에너지 효율 증대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사용자에게는 더욱 쾌적하고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데 활용됩니다.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이 공모한 ConTech2021 기술공모전에서 대학 중 유일하게 제안 기술을 선정받아 기술의 우수성과 시장성을 입증했습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대외 활동] -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이 공모한 제1회 ConTech2021 기술공모전에서 대학 중 유일하게 제안 기술 선정 |
학력
| 학력 사항 | 2004.02 인하대학교(학사)/건축공학 2006.02 인하대학교(석사(2))/건축공학 2007.09 Institut National des Sciences Appliquees de Lyon (INSA Lyon(석사)/건축공학 2011.03 Institut National des Sciences Appliquees de Lyon (INSA Lyon(박사)/건축공학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