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성용주

성용주

소속

충남대학교 (환경소재공학과)

AI요약

성용주 교수는 충남대학교 환경소재공학과 교수로서, 친환경 소재 개발 및 자원 재활용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물성 섬유를 활용한 고벌크 바이오패드 제조 기술과 왕겨로부터 실리카를 추출하는 독자적인 방법을 개발하여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특허 기술들은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성용주 교수의 깊이 있는 전문성과 연구 성과를 통해 환경소재 분야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성용주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성용주
직책교수
이메일yosung17@c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환경소재공학과
사무실 번호0428215755
연구실농업생명과학대학 3호관(E10-2) 3414호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s://wood.cnu.ac.kr/wood/professor/professor01.do?mode=view&key=LZStrEwBhE4EY2AWI%20&pager.offset=0&pagerLimit=10
소속충남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한국화학연구원
재직기간2003.01.01 ~
담당업무선임연구원
회사명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소재공학과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교수

중요 키워드

#바이오매스#제지공학#왕겨#친환경소재#바이오패드#흡수패드#완충포장재#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환경재료#필터소재#도공지#식물섬유#실리카#소재개발

연구 분야

연구 1바이오매스 기반 친환경 소재화 및 자원 재활용
내용본 연구실은 다양한 농업 및 임업 부산물, 유기성 폐기물 등의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고 자원을 재활용하는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왕겨, 감귤박, 낙엽, 식품 부산물 등 기존에 버려지던 자원으로부터 고순도 실리카를 추출하거나 기능성 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바이오차, 인공토양, 기능성 첨가제 등 다양한 형태로 재탄생하여 산업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왕겨로부터 실리카를 추출하는 독자적인 방법은 폐기물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며, 감귤박과 같은 부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인공토양 및 복합유기산제 개발은 농업 분야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도시 발생 낙엽을 탄화하여 바이오차로 만들거나 목재 부산물을 활용하여 플라스틱 대체 저탄소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바이오매스 원료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최적의 전환 기술을 개발하여 폐기물 감소와 친환경 소재 공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폐기물 감소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새로운 소재를 제공하여 순환 경제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 2기능성 펄프/종이 기반 친환경 포장 및 제품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플라스틱 대체재로서 기능성이 강화된 펄프 및 종이 기반 친환경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물성 섬유를 활용한 고벌크 바이오패드(흡수패드, 완충포장재) 제조 기술과 펄프몰드를 활용한 친환경 일회용 식품용기 및 종이홀더 개발에 강점을 보입니다. 핵심 기술로는 섬유의 물리적 개질을 통한 벌크 및 흡수성 향상, 친환경 코팅 기술을 통한 내수성 및 내유성 부여, 방충 기능성 물질의 적용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바이오매스 섬유와 재활용 고지를 활용하여 완충성, 단열성, 흡수성이 뛰어난 고벌크 바이오패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환경 부하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용 편의성과 재활용성을 높인 기능성 종이 홀더 및 펄프몰드 제품화 연구는 지속가능한 포장 산업의 미래를 열고 있습니다.
연구 3농업/조경용 지속가능 친환경 자재 및 비료 솔루션
내용본 연구실은 농업 및 조경 분야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친환경 자재 및 비료 솔루션 개발에 집중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감귤 부산물, 도시 낙엽 등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기능성 인공토양, 바이오차 기반 토양 개량제, 그리고 생분해성 친환경 멀칭용지 및 기능성 비료입니다. 특히, 폐기물 재활용을 통해 토양의 보수성, 통기성, pH 조절 능력 등 물리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작물 생육을 촉진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왕겨 기반 고흡수성 상토와 도축혈액을 활용한 기능성 비료는 자원 순환을 촉진하고 화학 비료 사용을 줄이는 데 기여하며, 친환경 인조잔디 충진재 개발을 통해 생활 환경의 녹색화를 추구합니다. 또한, 생분해성 및 고신장률을 가지는 친환경 멀칭용지 개발은 농업 현장의 폐비닐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강풍 등 기후 변화에도 강한 복토형 멀칭지 기술을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환경 오염을 저감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수상 내역] - 뉴욕주 펄프제지연구센터 대학원상(The Edwin C. Jahn Graduated Fellowship Award),(2001) - 뉴욕주립대학교 환경 및 임학대학 동창회상(The Renata Marton Award),(2001)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우수논문상 (2012, 2013) - 한국과학기술총연맹 우수논문상(2013)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학술상 본상 (2014)

학력

학력 사항1989. 3. - 1995. 2.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산공학 (농학사) 1995. 3. - 1997. 2. 서울대학교 대학원 임산공학 (농학석사) 1997. 9. - 2002. 5. 뉴욕주립대학교(SUNY-ESF) 환경자원공학 (공학박사)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