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용주

김용주

소속

충남대학교 (스마트농업시스템기계공학과)

AI요약

충남대학교 스마트농업시스템기계공학과 김용주 교수의 최신 프로필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김용주 교수의 소속, 학과, 직위 등 기본적인 인물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님의 연구 분야 및 활동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는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교수님 정보를 지금 바로 확인해 보십시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용주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용주
직책교수
이메일babina@c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스마트농업시스템기계공학과
사무실 번호0428216716
연구실지능형 농업 모빌리티 및 트랙터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iamt.cnu.ac.kr/atap/index.do
홈페이지https://bme.cnu.ac.kr/bme/professor/professor01.do?mode=view&key=LZStrEwBgjALGIwnEA%20&pager.offset=0&pagerLimit=10
소속충남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충남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교수
회사명LS엠트론 중앙연구소
재직기간-
담당업무- 2012.01 - 2014.02 : 동력 기계기술그룹 그룹장
회사명성균관대학교
재직기간-
담당업무- 2012.03 - 2013.02 :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전공 겸임교수
회사명공주대학교
재직기간-
담당업무- 2011.03 - 2014.02 : 생명산업기계공학과 겸임교수
회사명LS엠트론
재직기간-
담당업무- 2008.08 - 2012.12 : 중앙연구소 기계기술그룹 파트장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트랙터#지능형 농작업기#친환경 트랙터#농기계#기계산업핵심기술#농업용 전자통신#ISOBUS#AEF 인증#스마트 농업 기술#김용주#자율주행#스마트농업#농업 디지털 전환#텔레메틱스

연구 분야

연구 1자율주행 및 지능형 농업 모빌리티 시스템
내용본 연구실은 첨단 농업의 핵심 동력인 자율주행 및 지능형 농업 모빌리티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트랙터의 자율작업 경로 생성 최적화 및 군집주행 제어 기술을 통해 농작업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밀 농업 실현을 위한 필수적인 단계로, 인력 부족 문제 해결과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랙터 부착형 농작업기의 지능화 기술 및 표준형 통합 제어기 개발을 주도하며, 산업통상자원부의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농기계 제조사간 국제 협력체 'AEF'(Agricultural Industry Electronics Foundation) 인증 획득 및 농업용 전자통신 분야(ISO/TC23/SC19) 전문위원회 활동을 통해 국제 표준화 및 기술 상호운용성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 농업 기술의 실현과 농업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농업 생산성 향상 및 미래 농업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인 혁신적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자율주행 농업기계의 작업경로 설정방법', '4륜 구동 밭 농작업용 로봇 플랫폼의 능동형 차체 크기 조절 시스템' 등 다수의 특허를 통해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으며, 다양한 농작업 환경에 최적화된 지능형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여 농업 현장에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 2친환경 전동 및 수소연료전지 기반 농기계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친환경 농기계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100kW급 친환경 전동(총륜구동) 트랙터 개발을 포함하여, 세계 최초 수소연료전지 트랙터 개발에 착수하는 등 미래 농업 동력원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구동 트랙터 및 콤바인, 수소연료전지 기반 트랙터, 콤바인, 관리기 등 다양한 친환경 농기계의 플랫폼 구조 설계 및 최적화 기술을 연구하며, 배터리 교환 장치, 수소탱크 배치, 배출수 재활용 시스템 등 핵심 요소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농기계의 탄소 배출량을 저감하고,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여 환경 친화적인 농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전동화 및 수소 동력 기반의 농기계는 소음 및 진동 저감에도 효과적이며, 장시간 작업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여 농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지그재그형 파이프 형상의 수소탱크를 적용한 농업용 수소연료전지 트랙터 플랫폼',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하는 트랙터의 배출수 재활용 시스템' 등 다수의 특허를 통해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 3농기계 성능 분석 및 제어 최적화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농기계의 안정적인 성능 확보와 효율적인 작업을 위한 분석 및 제어 최적화 기술을 연구합니다. 농기계 텔레메틱스 기술 개발을 통해 농작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정밀한 작업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트랙터 유압 해석 모델, 동력전달 시뮬레이션 모델, 농기계의 소음 및 진동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등 시뮬레이션 기반의 설계 및 성능 검증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romax, recurdyn, simcenter LMS Amesin, masta, FRONTIS와 같은 첨단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양한 작업 조건에서의 농기계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화합니다. 특히, '독립 구동형 전기 플랫폼의 슬립 제어 시스템', '트랙터의 견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작업기 부착형 경심 제어 장치', '탈곡통의 부하에 기반한 콤바인 주행 속도 조절 장치' 등 다수의 특허는 농작업의 정밀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독자적인 제어 기술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기계의 내구성 향상, 작업자의 편의성 증대, 그리고 농업 생산성 극대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트랙터 운전자 청력 손상 예방 시스템'과 같은 안전 기술 개발도 포함합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대외 활동] - 농기계 제조사간 국제 협력체 'AEF'(Agricultural Industry Electronics Foundation) 인증 획득 -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인 '트랙터 부착형 농작업기의 지능화 기술 및 표준형 통합 제어기 개발' 과제 주관기관 수행 [학회/위원회 활동] - 대전광역시 기업유치심의 위원회 위원 - 농업용 전자통신 분야(ISO/TC23/SC19) 전문위원회 위원 - 농림식품과학기술위원회 위원 - 사단법인 유공압건설기계학회 편집이사 - Agronomy “Informatics for Digital Farming” Guest Editor - 대한기계학회 IT융합부문 산학협력이사 - 유공압건설기계학회 학술이사 - Agronomy Special Editor - IJABE Editor - 한국농업기계학회 이사

학력

학력 사항- 1995.03 - 2001.02 : 성균관대학교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전공(공학사) - 2001.03 - 2003.02 : 성균관대학교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전공 (공학석사) - 2003.03 - 2008.02 : 성균관대학교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전공 (공학박사)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