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동명

김동명

소속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AI요약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김동명 교수님의 상세 프로필을 소개합니다. 본 프로필은 김동명 교수님의 소속, 직위 등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현재 연구 내용, 참여 과제, 주요 논문 및 특허 정보 등 추가 정보는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김동명 교수님의 학술 활동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를 원하신다면, Kotech Hub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정보를 확인해 주십시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동명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동명
직책교수
이메일dmkim@c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응용화학공학과
사무실 번호0428215899
연구실분자생물공학 실험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marscnu.kr/
홈페이지http://marscnu.kr/bbs/content.php?co_id=4
소속충남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충남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교수
회사명Roche Diagnostics
재직기간-
담당업무Research Director

중요 키워드

#합성생물학#생명공학#응용화학#생물공학#기술사업화#대학교수#연구#화학공학#산학협력

연구 분야

연구 1무세포 단백질 합성 시스템 개발 및 응용
내용본 연구실은 무세포 단백질 합성 시스템(Cell-Free Protein Synthesis, CFPS)의 개발 및 바이오산업 응용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세포를 사용하지 않고 시험관 내에서 단백질을 고속, 고효율로 생산하는 독자적인 기술을 구축하여, 재조합 단백질 생산성 극대화 및 단백질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CFPS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세포 추출액 제조 방법, 단백질 발현 및 활성 증진 보조인자 스크리닝, 목적하는 단백질 발현 수준을 제공하는 초기 코돈 발굴 및 최적화 기술 등을 개발하여 단백질 생산의 경제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습니다. 또한, 유전자가 접합된 마이크로비드 및 겔 매트릭스를 이용한 단백질 동소 고정화 방법 등 다양한 CFPS 기반 기술을 통해 복잡한 분리정제 과정 없이 활성 단백질을 얻을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원천기술은 mRNA 발현 효율 극대화, 암백신 및 치료용 단백질의 신속한 개발 및 생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2합성생물학 기반 바이오센서 및 분자진단
내용본 연구실은 합성생물학과 무세포 시스템을 융합하여 혁신적인 바이오센서 및 분자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GW바이오소재 및 유해물질 현장 분석을 위한 무세포 바이오센서 시스템, 중금속 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 개발 등 실제 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세포 합성생물학과 인공지능을 융합하여 생물작용제를 다중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진단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범용 현장 진단 및 분석을 위한 분자컨버터 기술 개발과 타겟 핵산 검출용 조성물 및 방법을 통해 감염병 진단,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고감도 진단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또한, 포도당 측정기와 무세포 단백질 합성을 이용한 목적 물질의 정량 방법, 압타머-리포터 유전자 융합체를 이용한 분석 방법 등 저비용 고효율의 정량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바이오진단 시장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현장 진단 및 정밀 분석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 3단백질 엔지니어링 및 치료용 항체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단백질 엔지니어링 기술을 활용하여 기능이 향상된 단백질 및 치료용 항체를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효소 활성이 증가된 신규 리파제 변이체 개발, C1 가스와 부산물 이용 효소 및 시스템 개발 등 효소의 특성을 개량하고 산업적 활용도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포 내 단백질 제어 항체 융합 연구에 참여하여 'iMab(세포질 침투 간섭항체)' 원천기술 개발에 기여했습니다. 무세포 단백질 합성 시스템을 활용하여 항체 개량 및 세포 침투능이 향상된 항체를 고속 선별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세포질 침투성이 증진된 항체 스크리닝 방법과 세포질 내로의 유입을 간편하게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항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포 내 표적 단백질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며, 췌장암 등 난치병 치료에 적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백질의 기능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최적화하여 혁신적인 바이오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서울대학교 생물화학 공학박사 (1996) 서울대학교 석사 (1991) 서울대학교 학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