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종
이원종
소속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AI요약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이원종 교수의 상세 프로필입니다. 본 페이지는 이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 발표 논문, 등록 특허, 그리고 학력 및 경력 사항을 한눈에 파악하실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습니다. 생명공학 분야의 권위자인 이 교수의 학술적 업적과 활동을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의 연구실 정보 및 공식 연락처 또한 곧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이원종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wjrhee@i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명공학부 |
| 사무실 번호 | 0328358299 |
| 연구실 | 바이오의약·진단공학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bdelab.org |
| 홈페이지 | https://bioeng.inu.ac.kr/engineeringlife/5115/subview.do#close |
| 소속 | 인천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인천대학교 |
| 재직기간 | 2021.04.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인천대학교 교수 재직 |
| 회사명 | Rice University |
| 재직기간 | 2018.09.01 ~ 2019.08.31 |
| 담당업무 | Rice University 방문 교수 활동 |
| 회사명 | 인천대학교 |
| 재직기간 | 2016.04.01 ~ 2021.03.31 |
| 담당업무 | 인천대학교 부교수 재직 |
| 회사명 | 인천대학교 |
| 재직기간 | 2012.03.01 ~ 2016.03.31 |
| 담당업무 | 인천대학교 조교수 재직 |
| 회사명 | LG생명과학 |
| 재직기간 | 2010.02.01 ~ 2012.03.31 |
| 담당업무 | LG생명과학 차장/Senior Researcher 재직 |
| 회사명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
| 재직기간 | 2005.10.01 ~ 2010.02.28 |
| 담당업무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Visiting Researcher 활동 |
| 회사명 |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
| 재직기간 | 2004.06.01 ~ 2005.10.31 |
| 담당업무 |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객원연구원 활동 |
| 회사명 |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
| 재직기간 | 2004.03.01 ~ 2004.05.31 |
| 담당업무 |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박사후과정, 보조연구원 활동 |
중요 키워드
#바이오공정#기술이전#비만 치료제#생물공학#나노바이오#생체 유체#바이오의약#공동연구#엑소좀#염증성 장질환#분자진단#의료기기#세포공학
연구 분야
| 연구 1 | 엑소좀 기반 질병 진단 및 치료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세포외소포체(엑소좀)를 활용한 혁신적인 질병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생체 유체 내 엑소좀 miRNA 및 표면 단백질을 분석하여 암(전립선암, 폐암, 유방암, 뇌종양 등)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액체생검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엑소좀 클러스터 유도 및 동시다중검출 기술을 개발하여 진단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진단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에게 비침습적이고 정밀한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식물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대장염 관련 염증 조절 및 치료, 비만 치료, 뇌종양 및 유방암 치료를 위한 엑소좀 기반 치료제 개발 등이 있습니다. 또한, 뇌 혈관장벽 투과 엑소좀을 이용한 뇌종양 치료제 개발, 천연 나노 입자 엑소좀 기반 고효율 표적 항암 치료제 개발 등을 통해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엑소좀의 생물학적 기능 규명부터 엔지니어링 플랫폼 기술 개발, 그리고 생산 공정 최적화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실제 의료 현장 적용을 위한 실증 연구와 컨설팅을 제공하여 바이오의약 분야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바이오센싱 및 분자 진단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바이오센싱 및 분자 진단 기술 개발을 통해 질병의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엑소좀 내 microRNA 및 표면 단백질의 동시 다중 검출 기술을 활용하여 전립선암과 같은 특정 질병의 진단 민감도와 특이도를 향상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분자 비콘(molecular beacon)을 이용한 엑소좀 microRNA의 in situ 단일 단계 검출 기술 및 바이오마커 mRNA 검출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복잡한 전처리 과정 없이 실시간으로 바이오마커를 검출할 수 있어, 진단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환자의 편의성을 높입니다. 또한, 임상 시료 내 세포밖소포체 바이오마커 동시다중검출 기술 개발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양자바이오 센싱 솔루션 실증 및 컨설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실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정밀 의료 시대에 필수적인 맞춤형 진단 솔루션 제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
| 연구 3 | 첨단 바이오소재 및 약물 전달 시스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첨단 바이오소재를 이용한 차세대 약물 전달 시스템 및 생체 재료 개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엑소좀을 기반으로 한 약물 전달뿐만 아니라, 30Kc19 단백질 및 인체 혈청 알부민 나노입자를 이용한 효소 전달 시스템 개발을 통해 특정 조직이나 세포에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존 약물 전달 방식의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능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또한, 생체 환원성 엑소좀에 해당과정 억제제를 봉입하여 암 표적 약물 방출 및 세포 에너지 고갈을 유도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초음파 암 치료 증진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차원 세포 배양을 위한 자기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처리량 스페로이드 생성 기술은 약물 스크리닝 및 질병 모델링 연구에 필수적인 혁신적인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더불어, 누에 SP 단백질의 항노화 기능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누에 유래 SP 및 30K 유전자를 활용한 치료용 바이오 의약품 생산 세포주 제작 등 바이오산업 전반에 걸쳐 응용 가능한 다양한 소재 및 공정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약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한국생물공학회 이사 |
학력
| 학력 사항 | 서울대학교 응용화학부 공학박사 (2004)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공학석사 (1999)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공학사 (1997)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