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현진원

현진원

소속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AI요약

현진원 제주대학교 의학과 교수는 피부 손상, 노화 및 암 치료 분야의 권위자입니다. 교수님께서는 제주 지역의 풍부한 천연물 자원을 활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항암 및 피부 보호 효능을 가진 물질을 발굴하고, 그 작용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계십니다. 특히, 미세먼지(PM2.5)에 의한 피부 손상 제어 및 다양한 암세포에서의 치료 물질 개발에 주력하며, 세포 수준에서의 보호 효과 및 신호 전달 경로 규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를 통해 차세대 의약품 및 기능성 소재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현진원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현진원
직책교수
이메일jinwonh@jeju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의과대학
사무실 번호0647543838
연구실피부손상 제어 네트워크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s://medical.jejunu.ac.kr/medical/class/basic/biochemistry.htm
소속제주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제주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2002-현재 의학전문대학원 재직
회사명서울대학교
재직기간-
담당업무2000-2002 의과대학 BK21 조교수

중요 키워드

#바이오소재#세포사멸#피부노화#미백#천연물#세포보호#제주천연물#산화적스트레스#피부손상#피부질환#미세먼지#기능성화장품#항암#자외선#의약소재

연구 분야

연구 1제주천연물 기반 피부 및 암 치료 소재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제주 지역의 풍부한 천연물 자원을 활용하여 피부 손상, 노화, 미백, 그리고 다양한 암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암 및 피부 보호 효능을 가진 천연 물질을 발굴하고, 이들의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의 생체 내 작용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띠갈파래 추출물이 대장암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 효과를 밝혀냈으며, 모노올레인 화합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 질환 및 면역 질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제주 특화 천연물 기반의 차세대 의약품, 기능성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실제 산업 적용을 위한 기술 이전 및 상업화 전략 수립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제주 지역 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 2산화적 스트레스 및 미세먼지 피부 손상 제어
내용본 연구실은 산화적 스트레스와 미세먼지(PM2.5)와 같은 환경 유해인자가 피부 세포에 미치는 손상 및 노화 유도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활성산소종(ROS)의 과도한 생성에 따른 DNA 손상, 세포 사멸, 염증 반응, 세포 노화 등을 억제하고 세포 보호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물 유래 화합물들을 탐색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리세틴, 모린, 시코닌, 부틴, 헤스페리딘 등 다양한 천연 화합물들이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세포의 소포체 스트레스, 미토콘드리아 손상, 세포 주기 정지, 세포 노화 등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기전을 규명하여 피부 건강 증진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 오염 심화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능성 소재 개발에 기여하며, 관련 의약품 및 화장품 산업 분야의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 3암세포 소포체 스트레스 및 방사선 저항성 연구
내용교수님의 연구는 암세포의 성장, 전이, 그리고 항암 치료에 대한 저항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항암제 내성 세포에서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스트레스가 세포 사멸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과, 종양 줄기세포의 방사선 저항성을 조절하는 물질 탐색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3 (RUNX3)와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 (Nrf2) 상호작용을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 손상 억제 및 후성 유전학적 조절 기전을 밝히는 연구를 통해 암 예방 및 치료의 새로운 표적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정 천연 화합물인 시코닌 등이 5-플루오로우라실(5-FU) 내성 대장암 세포의 소포체 스트레스 유도 및 세포사멸을 촉진하며, 방사선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기전을 규명하여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병용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1992-1990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박사과정 1990-1988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석사과정 1982-1986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학사과정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