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인천대학교 전기공학과 김준동 교수님의 주요 연구 성과 중 광전 소자 및 광검출소자 분야의 핵심 등록 특허를 자세히 소개합니다. 김준동 교수님은 황화 텅스텐, 황화주석 등 신소재를 활용한 혁신적인 광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개발하셨습니다. 특히, TiO2/Co3O4 금속산화물 이종접합 기반의 광검출소자 기술은 높은 광전변환 효율과 오랜 기간 안정적인 자가 전력 동작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3건의 등록 특허는 광전자 소자 분야의 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김 교수님의 뛰어난 연구 개발 역량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통해 김 교수님의 혁신적인 기술 성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준동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joonkim@inche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전기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358770 |
| 연구실 | 차세대 에너지 융합연구소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pedal-inu |
| 홈페이지 | - |
| 소속 | 인천대학교 |
| 연구 1 | 광전소자 및 투명 반도체 기술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광전소자 및 투명 반도체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윈도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고성능 투명 소자 및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황화텅스텐, 황화주석 등 2차원 신소재와 금속산화물을 활용하여 고효율 광전변환 특성을 갖는 광전소자 및 광검출소자를 설계하고, 이를 위한 첨단 제조 방법을 연구합니다. 박막트랜지스터, 반도체 소자의 투명화 및 초월성 특성 확보를 통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도심형 투명 에너지 변환 시스템과 같은 미래 기술 구현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전자소자 분야의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산업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차세대 태양광 에너지 변환 시스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차세대 태양광 에너지 변환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태양전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빛-열-전기에너지의 통합적 변환 방식을 연구하며, 투명 반도체의 초월성을 활용한 새로운 에너지 생산 기술을 탐구합니다. 수중 태양광 에너지 발전 시스템 및 양서류 태양전지 기술 개발을 통해 극한 환경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고투과성 태양전지 및 관련 에너지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2차원 소재 기반의 다기능성 투명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개발하여 도심형 투명 에너지 시스템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혁신을 주도하고, 에너지 자립형 사회 구현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환경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나노재료 기반 광센서 및 뉴로모픽 소자 |
| 내용 | 본 연구실은 나노재료 과학을 기반으로 한 첨단 광센서 및 뉴로모픽 소자 연구를 수행하며, 인공지능 컴퓨팅과 차세대 센서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TiO2/Co3O4 금속산화물 이종접합 구조를 이용한 광검출소자 개발을 통해 높은 광전변환 효율과 장기간 안정적인 자가 전력 동작이 가능한 센서 기술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황화텅스텐 및 황화주석과 같은 2차원 나노재료를 활용하여 기존 센서의 성능을 뛰어넘는 고감도 화학/물리 센서 개발에 집중합니다. 이와 더불어, 빛 신호를 이용한 뉴로모픽(Neuromorphic) AI 컴퓨팅 기법을 탐구하며, 2D-SnS 임베디드 쇼트키 소자를 활용한 광학적 뉴로컴퓨팅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인공지능 하드웨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디스플레이, 센서,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
| 활동 내용 | [수상내역] 2023.03 표창장 (우수강의) (인천대학교 총장) 2022.06 표창장 (발명의 날 표창)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2022.06 한국태양광발전학회 학술상 (기타 학회 수상 30여회) (한국태양광발전학회장) 2022.03 학술상 (2022-2019, 2017-2015) (인천대학교 총장) 2021.10 표창장 (신재생에너지 유공)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2020.10 표창장 (국가기술개발우수성과 100선:최우수-에너지/환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2019.12 표창장 (교육부 학술 우수성과) (부총리겸 교육부장관 ) 2019.10 표창장 (환경 신기술) (환경부장관) [저서] 태양전지 및 발광 다이오드 개론, 도서출판 그린 , 2017.01.20 Principles of solar cells, LEDs, and Diodes, 그린출판사 , 2014.05.31 태양전지공학 개론, 도서출판 그린 , 2013.11.28 Nanotechnology Energy and Environment, Studium Press , 2013.10.01 Nanowire Science and Technology (Chapter 1 Nickel Silicide Nanowire Growth and Application), INTECH , 2010.10.01 |
| 학력 사항 | 2006.06.14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공학박사) 2001.12.31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공학석사) 1999.02.25 광운대학교 (공학사)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