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소미

김소미

소속

제주대학교 (바이오소재전공)

AI요약

제주대학교 생명공학부 김소미 교수는 제주 지역의 풍부한 천연물과 아열대 생물자원을 활용하여 항암 및 기능성 바이오 소재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 및 해양바이오 융복합 기술개발 과제 등 다수의 국책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생명공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방암, 췌장암 등 다양한 암종에 대한 치료 저항성 극복 및 천연물 유래 항암 효능 연구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Kotech Hub에서 김소미 교수의 심도 깊은 연구 활동과 혁신적인 성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소미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소미
직책교수
이메일somikim@jeju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바이오소재전공
사무실 번호0647543348
연구실제주대학교 WISET사업단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
소속제주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제주대학교
재직기간-
담당업무중앙도서관장(전)
회사명여성과학기술인육성·지원사업 WISET
재직기간-
담당업무여성과학기술인육성·지원사업 WISET 센터장(전)
회사명(재)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재직기간-
담당업무선임연구원

중요 키워드

#식품소재#바이오소재#췌장암#줄기세포#유방암#항산화#천연물#항염증#생리활성물질#제주#청정자원#기능성소재#WISET#항암#해양바이오

연구 분야

연구 1제주 청정자원 기반 항암 및 기능성 바이오소재 개발
내용김소미 교수는 제주 지역의 풍부한 천연물과 아열대 생물자원을 활용하여 혁신적인 항암 및 기능성 바이오 소재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방암, 췌장암, 간암 등 다양한 암종에 대한 치료 저항성을 극복하고 암 줄기세포의 특성을 제어하는 연구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팔삭, 당유자, 이예감, 백색 피타야, 구아바 잎 추출물 등 제주산 천연물 유래 물질의 항암 효능을 규명하고, 세포사멸(apoptosis) 및 페롭토시스(ferroptosis) 유도 활성, AMPK, JAK2/STAT3, MAPK 등 다양한 분자 기전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약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로 이어져 인류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당근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증진 연구를 통해 기능성 식품 개발의 폭을 넓히고 있으며, 제주 고유 자원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 2해양바이오 융복합 기술 개발 및 실증 지원
내용김소미 교수는 제주 청정해역의 독특한 해양생물자원을 활용한 해양바이오 융복합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주 용암해수와 미세조류(예: Melosira nummuloides, Odontella aurita)를 이용한 바이오 소재 개발 및 대량 배양 공정 확립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들 해양 유래 소재의 항산화, 항염증, 간 기능 개선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이를 통해 기능성 식품 및 바이오 의약품의 원료로 상용화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및 기업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미세조류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식품 소재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제주 용암해수를 활용한 대량 배양 및 효율적 추출물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하는 등 기술이전 및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제주 해양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고 해양바이오 산업의 혁신적인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연구 3질병 치료 저항성 극복을 위한 바이오소재 기전 연구
내용김소미 교수는 유방암, 췌장암 등 주요 암 질환의 치료 저항성 극복을 위한 심층적인 기전 연구와 바이오마커 발굴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치료 저항성 유방암 줄기세포에서 파이토스테롤, 홀수사슬 식이지방산, 폴리페놀 화합물 등의 바이오 소재가 세포사멸(페롭토시스)을 유도하고 암 전이를 억제하는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멜라토닌과 오르토-토폴린 리보사이드의 병용 처리가 방사선 저항성 유방암 세포의 대사 및 전사체 프로파일을 변화시켜 항증식 활성을 나타내는 연구를 통해 복합 치료 전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사체 및 지질체 프로파일링(metabolic and lipidomic profiling)과 같은 다중 오믹스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암세포의 특성과 약물 반응을 심도 있게 이해하며, 새로운 치료 표적 및 진단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난치성 질환 치료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대외 활동] - 제주대학교 WISET사업단 단장 역임 [수상 내역] - 학술상 수상 - 우수논문상 수상

학력

학력 사항· 미국오클라호마주립대학 이학박사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