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기영

김기영

소속

제주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AI요약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김기영 교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 및 기능성 소재 개발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최신 연구는 해양바이오매스와 담수 식물 추출물을 활용하여 항염증, 항산화,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지닌 신소재 발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물질의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의 작용 기전을 명확히 규명하여, 새로운 치료제 및 메디푸드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김기영 교수는 독창적인 연구 접근을 통해 관련 분야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민 건강 증진 및 바이오 산업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기영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기영
직책교수
이메일immunkim@jeju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수산생명의학과
사무실 번호064754342
연구실해양과학대학 4호관, 5362호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
소속제주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제주대학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교수
회사명조지워싱턴대학교
재직기간-
담당업무2015. 03-2015. 08 생명과학과 방문교수
회사명예일대학교
재직기간-
담당업무2014. 03-2015. 02 의과대학 유전학과 방문교수

중요 키워드

#항산화#세포생물학#미백#분자생물학#천연물#바이오메스#푸드업사이클링#항염증#나노플라스틱#생리활성물질#기능성소재#해양바이오#항암#식의약품#환경독성

연구 분야

연구 1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 및 기능성 소재 개발
내용김기영 교수 연구실은 제주도 및 해양 유래 천연물과 담수 식물 추출물, 푸드 업사이클링 소재 등 다양한 자원에서 생리활성 물질을 발굴하고 이를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해양바이오매스를 활용한 프론티어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수산식품 유래 건강기능식품 소재화 연구를 통해 새로운 식의약품 소재를 탐색하고 있습니다. 무궁화 꽃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효과 검증, 해조류(톳과 넓패) 유래 생리활성 물질 개발, 키토올리고당의 산업화 연구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천연 자원의 잠재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바이오 산업의 성장에 기여하며,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혁신적인 기능성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각 소재의 추출, 분리, 정제 과정을 최적화하고, 이를 실제 제품에 적용 가능하도록 제형화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연구 2세포/분자 메커니즘 기반 질병 제어 및 예방 연구
내용본 연구실은 다양한 질병의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세포 및 분자 수준의 복잡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질병을 제어하고 예방하는 연구를 심층적으로 진행합니다. 항산화, 항염증, 미백,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가진 천연물 유래 물질들이 세포 내에서 어떤 신호 전달 경로(예: NF-κB, Nrf2/HO-1, p53, PI3K/Akt/mTOR, TGF-β, NLRP3 inflammasome)를 통해 작용하는지 분자생물학적 기법으로 밝혀냅니다. Indirubin-3’-monoxime의 Hep3B 간암세포 사멸 유도 기전, Glutamine에 의한 Nitric Oxide 생산 조절, Diallyl trisulfide에 의한 NLRP3 인플라마좀 활성화 억제, 그리고 폐섬유화 치료를 위한 TGF-β 수용체 표적 물질 발굴 등이 주요 성과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질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타겟 발굴과 신약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며,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정밀한 분자 수준의 이해를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을 극대화하는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합니다.
연구 3환경 독성 물질의 생체 영향 및 세포 노화 연구
내용김기영 교수 연구실은 현대 사회의 주요 환경 문제인 나노플라스틱과 비스페놀류를 포함한 환경 독성 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특히 세포 노화 및 면역 교란 기전을 밝히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Exposure to polystyrene nanoplastics promotes premature cellular senescence (미세플라스틱 노출이 미분화 골격근 세포의 세포 노화 촉진)와 같은 연구를 통해 환경 오염 물질이 미토콘드리아 ROS 생성 및 기능 장애를 유발하여 세포 노화를 가속화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비스페놀 A와 같은 물질이 면역 시스템 교란에 미치는 영향 및 어류 골형성에 미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를 통해 환경 독성 물질의 잠재적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 오염이 인간 및 수생 생태계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이해하고, 관련 규제 및 예방 대책 마련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중요합니다. 나아가 환경 독성으로 인한 생체 변화를 진단하고, 이를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동국대학교 이학사 부산대학교 이학석사 부산대학교 이학박사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