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용석

김용석

소속

건양대학교 (통신공학과)

AI요약

건양대학교 인공지능학과 김용석 교수는 의료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술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복잡한 의료 정보 분석과 진단 정확도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AI 솔루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딥페이크 기반 의료 데이터 위변조 탐지, 백혈구 수치 예측 인공지능 모델, 그리고 의료 임상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등 실제 의료 현장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료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예측 능력을 강화하여, 환자 안전과 공공 보건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김용석 교수의 연구를 통해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과 미래 헬스케어 혁신이 가속화될 것입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용석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용석
직책교수
이메일tae@konyang.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통신공학과
사무실 번호0426008518
연구실메디컬캠퍼스 죽헌정보관 975호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s://www.konyang.ac.kr/prog/profsrSearch/faculty/sub01_01/buseo/view.do?insa_no=MTA3MTA3&buseo_cd=30498100&searchCondition=buseo_cd&searchKeyword=30498100&pageIndex=1
소속건양대학교

중요 키워드

#의료데이터#MIMO 통신#AI 챗봇#딥러닝#인공지능#임상데이터#이미지 처리#AI 플랫폼#지문인식#백혈구 예측#UX/UI#Deepfake#실내 측위#5G 통신#반도체 기판

연구 분야

연구 1의료 인공지능 및 데이터 활용
내용본 연구실은 의료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어, 질병 진단 및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의료 서비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임상 데이터와 의료 영상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으로 분석하여, 백혈구 수치 예측, 패혈증 조기 예측, 흉부 X-ray 이상 진단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필요한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K-CURE 임상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및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의료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환경 조성과 연구 기반 확립에 기여하며,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통해 그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여성건강간호시험문항 해결을 위한 생성형 AI 챗봇' 개발과 같이 환자 및 의료진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실용적인 AI 솔루션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의료 AI 기술을 통해 환자 안전을 강화하고 정밀 의료를 구현하여 미래 헬스케어 혁신을 선도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2딥러닝 기반 의료 이미지 분석 및 위변조 탐지
내용본 연구실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 이미지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고, 의료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변조 탐지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을 이용한 의료 데이터 위변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Deepfake기반의 의료데이터 위변조를 검출하기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과제를 수행하며 관련 논문을 발표하는 등 선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조작된 의료 안저 이미지 식별을 위한 딥러닝 모델의 효능을 평가하고(Evaluating the Efficacy of Deep Learning Models for Identifying Manipulated Medical Fundus Images 논문), 의료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을 제공합니다. 의료 영상 진단 보조뿐만 아니라, 데이터 보안과 윤리적 활용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의료 정보의 신뢰도를 높여 환자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3AI 기반 스마트 센싱 및 융합 통신 시스템
내용본 연구실은 인공지능 기술을 센싱 및 통신 시스템에 융합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누수관망관리 연구'에서 AI 감지기술을 활용하여 누수를 정확하게 탐지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지능형 누수탐사솔루션의 UX/UI 분석 및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콘 기반 실내 측위에서의 RSSI 보정 방법 및 시스템' 특허 출원을 통해 실내 환경에서의 정밀한 위치 파악 기술을 연구하며, '스마트 단말기 및 지문인식을 이용한 도난방지시스템' 특허를 통해 보안 분야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고차 MIMO 통신 시스템을 위한 저 복잡도 병렬 구형 검출 알고리즘과 다중 사용자 MIMO 통신 시스템 연구는 5G 시대를 넘어선 차세대 통신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스마트 시티, 안전 관리, 효율적인 인프라 운영 등 다양한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대한의용생체공학회, 한국정밀공학회, 한국재활복지공학회 등 학술단체 활동 국내외 유관기관 연구과제 책임자 및 수상 다수

학력

학력 사항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박사 (2015) 가천대학교 화학공학과 학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