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혜경
문혜경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문혜경 교수님은 국민 식생활 안전 증진을 위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계십니다. 교수님은 소규모 급식 시설의 HACCP 시스템 구축부터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급식 안전 관리 시스템(iMEAL)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급식 환경의 위생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밀키트의 소비기한 설정 및 천연 항균제 활용 연구를 통해 새로운 식품 형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어린이 급식소의 위생 모니터링과 영양 순회 방문 지도 등 실제적인 현장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급식 안전 관리 시스템' 특허 등록과 같은 실질적인 성과를 통해 교수님의 전문성과 연구 역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혜경 교수님의 연구는 급식 산업 전반의 위생 수준을 높이고, 나아가 국민 건강 보호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문혜경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hkmoon@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식품영양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2133515 |
| 연구실 | 생활과학연구소 급식경영 연구부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w3life/stf/stfView/staffView.do?staffTy=EXCP&excpCd=w3life7&mi=13090 |
|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w3life/stf/stfView/staffView.do?staffTy=EXCP&excpCd=w3life7&mi=13090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중요 키워드
#영양관리#HACCP#식품보존#미생물분석#ATP측정#어린이급식#단체급식#품질관리#IoT급식#유통기한#식품안전#밀키트#스마트급식관리#급식위생#위생모니터링
연구 분야
| 연구 1 | 급식 환경 위생 및 안전 관리 시스템 |
| 내용 | 본 연구실은 국민 식생활 안전 증진을 위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소규모 급식 시설부터 대규모 단체 급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급식 환경의 위생 및 안전성 향상에 깊이 기여하고 있습니다.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시스템 구축은 급식 안전 관리의 기본이자 핵심으로, 소규모 간장공장의 미생물적 분석을 통해 HACCP 시스템의 실질적인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식품 생산 및 급식 환경에 최적화된 위생 관리 체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위탁급식소 영양사와 조리종사원의 HACCP 적용 지식 및 직무수행 수준 향상에도 기여하며, 학교급식 HACCP 검증 체크리스트 개선 연구를 통해 현장 적용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이는 급식 현장의 안전성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 급식 관련 종사자들의 역량을 증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위생 관리의 핵심 요소인 ATP(Adenosine Triphosphate) 측정을 활용한 급식소 식품 접촉 표면 및 배식 용기의 위생 모니터링 가이드라인 설정 연구는 미생물 오염도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급식 현장의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 요소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개선함으로써, 식중독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급식의 전반적인 안전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실제 어린이 급식소의 배식용기 표면에 대한 ATP 위생 모니터링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위생 점검 결과와 ATP 청결도를 비교 분석하여 실효성을 입증하였으며, ATP와 APC(총세균수) 간의 관련성 규명을 위한 최적의 변수 변환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모니터링의 정확성을 높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급식 현장의 과학적인 위생 관리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은 '급식 안전 관리 시스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어린이 급식소의 식단 정보, 핵심 관리점(CCP: 중심온도, 염도)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실시간 상황 확인이 가능한 지원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합 솔루션입니다. 이 시스템은 급식 관리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며, 데이터 기반의 투명하고 체계적인 위생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급식유형별 위생관리실태 분석, 대학급식소 작업시설의 미생물 오염도 분석 등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현장 맞춤형 위생 관리 방안을 지속적으로 제시하여, 급식 산업 전반의 위생 표준을 확립하고 국민 건강 보호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2 | IoT 기반 스마트 급식 안전 관리 및 모니터링 |
| 내용 | 본 연구실은 급식 현장의 위생 및 안전 관리를 혁신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스마트 급식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급식안전관리시스템(iMEAL)' 개발 및 이를 어린이 급식소용 음식의 위생 모니터링에 적용하는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급식 과정의 핵심 관리점(CCP: Critical Control Point)인 중심 온도 및 염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잠재적인 위생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식중독과 같은 급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급식의 전반적인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개발된 스마트 급식 안전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와 연동된 지원 단말기를 통해 식단 정보, 알레르기 정보, 식단 사진 등 다양한 급식 관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투명성을 확보합니다. 나아가 급식소 단말기로부터 감수 요청을 수신하여 식단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감수 확인서를 전송하는 기능을 통해, 급식 제공의 신뢰성을 높이고 현장 업무 부담을 경감시킵니다. 이 시스템은 기 저장된 서식에 부합하도록 급식소별로 생성한 식단, 알레르기 정보 및 식단 사진을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실시간 상황 확인이 가능하도록 지원 단말기 별로 생성한 목표 달성률, 항목별 평균값, 미결 리스트 및 모니터링 이벤트를 상황보드를 통해 모니터링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수기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위생 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이고 자동화된 위생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급식 안전성을 한 차원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본 연구를 통해 급식 위생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며, 언제 어디서든 급식소의 위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는 급식 관리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급식 이용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스마트 도시 및 스마트 헬스케어 환경에 부합하는 차세대 급식 관리 모델을 제시합니다. |
| 연구 3 | 신규 식품(밀키트)의 안전성 및 품질 확보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급변하는 식품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밀키트(Meal Kit)와 같은 신규 식품 형태의 안전성과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밀키트는 편리성을 제공하지만 유통 과정 및 보관 방법에 따라 위생 및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밀키트 제품의 소비기한을 과학적으로 설정하고 연장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밀키트용 마리네이드 치킨 레그의 소비기한 설정' 연구와 'Shelf Life Prediction of Vacuum-Packaged Grilled Mackerel'과 같은 연구를 통해 다양한 밀키트 품목의 유통기한 예측 및 설정을 위한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식품 폐기물 감소와 소비자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합니다. 또한, 천연 항균제 활용 연구를 통해 밀키트 제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강화하고 식품 보존 기간을 늘리는 친환경적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in Marinade Sauce for Meal Kits' 연구는 밀키트의 핵심 구성 요소인 소스류에 천연 항균제를 적용하여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화학 첨가물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식품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건강한 먹거리 문화 조성에 이바지합니다. 본 연구실은 RMR(Ready Meal Replacement) 제품의 위생 안전성 확보 시스템 구축 관련 연구과제를 다수 수행하며, 밀키트를 포함한 간편식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걸친 종합적인 위생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어린이급식소용 밀키트 필요성 및 구매의도에 대한 인식 조사'와 같은 연구는 소비자 및 관계자 인식을 파악하여 실제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안전한 밀키트 제품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본 연구실은 새로운 식품 형태의 상업적 성공과 국민 식생활 안전 증진에 필수적인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며, 미래 식품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박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이학박사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가정학석사 학사: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식품공학과, 공학사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