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강승택 교수는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핵심인 메타물질 기반 안테나 및 여파기 기술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존 무선 통신 장비의 크기 제약과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강승택 교수는 메타재질 MIMO 안테나와 대역통과 여파기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안테나의 소형화 및 고격리도를 달성하고, 위상 변화 없는 특성과 디커플링 구조로 안테나 간 간섭을 억제하여 이득과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중 극점 및 교차결합 구조를 활용한 대역통과 여파기 개발로 우수한 주파수 선택도와 초광대역 특성을 구현하여, Gbps급 무선 신호 송수신에 필요한 고성능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강승택 교수의 혁신적인 연구는 미래 무선 통신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강승택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kahng@i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358288 |
| 연구실 | 전파공학 및 전파환경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miemiincheonnationaluniversity/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miemiincheonnationaluniversity/members/prof-kahng |
| 소속 | 인천대학교 |
| 회사명 |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재직기간 | 2004.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정보통신공학과 교수로서 교육 및 연구 활동 수행 |
| 회사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재직기간 | 2000.01.01 ~ 2004.12.31 |
| 담당업무 | 선임연구원으로서 연구 활동 수행 |
| 회사명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
| 재직기간 | 2008.01.01 ~ 2009.12.31 |
| 담당업무 | 자문교수로서 기술 자문 제공 |
| 회사명 | 에이스안테나 |
| 재직기간 | 2009.01.01 ~ 2011.12.31 |
| 담당업무 | 자문교수로서 기술 자문 제공 |
| 회사명 | 삼성전자 DMC |
| 재직기간 | 2014.01.01 ~ 2016.12.31 |
| 담당업무 | 자문교수로서 기술 자문 제공 |
| 연구 1 | 메타물질 및 메타표면 기반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메타물질(Metamaterial) 및 메타표면(Metasurface)의 독특한 전자기적 특성을 활용하여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혁신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RF 부품의 물리적 크기 및 성능 한계를 극복하고, 소형화, 고효율화, 다기능화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무한 파장을 갖는 무 위상 변화 메타재질 특성을 안테나 설계에 적용하여 안테나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소형화하며, 다이폴 안테나 구조에 디커플링(decoupling) 구조를 구성하여 안테나 상호 간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이득과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0차 공진 안테나 및 CRLH(Composite Right/Left-Handed) 전송선 구조를 기반으로 광대역 특성과 높은 이득을 구현하며, 링 머쉬룸과의 용량성 결합을 통해 광대역화 및 이득 향상을 달성합니다. 메타큐브 및 안테나 수동소자 패널부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저궤도 통신 위성 및 eVTOL 자율비행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분야에 적용 가능한 핵심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메타물질 기반 기술은 5G/B5G 이동통신, 우주 통신, 차량용 레이다, 무선전력전송 등 미래 통신 환경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소형화와 고성능을 동시에 요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IoT 기기, 우주 통신 시스템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여 산업 전반의 기술 혁신과 새로운 시장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 연구 2 | 차세대 무선 통신을 위한 고성능 안테나 및 MIMO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5G/B5G 이동통신 및 다양한 첨단 무선 통신 환경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안테나 및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안테나의 물리적 크기 제약을 극복하며 동시에 광대역화, 고이득, 고효율 특성을 만족시키는 기술을 연구하며, 복잡한 통신 환경에서의 간섭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주력합니다. 메타재질 MIMO 안테나를 통해 소형화를 달성하고, 내측 및 외측 방사체 구조를 활용하여 높은 격리도를 확보합니다. 또한, 위상 변화가 없는 MIMO 안테나 설계를 통해 무한 파장 메타재질 특성을 구현하고, 디커플링(decoupling) 구조를 도입하여 안테나 상호 간의 간섭을 억제함으로써 이득과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빔포밍 안테나 기술 개발은 특정 방향으로 신호 집중도를 높여 통신 효율을 극대화하며, Glass integrated Wafer-Thin Antennas와 같은 혁신적인 소형화 기술을 5G 빔포밍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센싱 기능 결합을 위한 주파수 천이기 설계, 저궤도 통신 위성 Realtime 통신링크 최적화, eVTOL 자율비행 시스템 및 차량용 레이다 정밀 공정 유리기반 안테나 개발 등 실질적인 응용 분야를 고려한 맞춤형 안테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 통신 안정성 증대, 전력 효율 개선을 통해 미래 초연결 사회의 핵심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며, 모바일 통신, 우주 항공, 방위산업 등 다양한 첨단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인 기술을 제공합니다. |
| 연구 3 | RF 부품 및 필터 설계 최적화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인 RF(Radio Frequency) 부품 및 필터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통해 시스템 통합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파수 선택도 향상, 간섭 억제, 초광대역 특성 구현에 중점을 둡니다. 메타재질 CRLH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다중 극점 대역통과 여파기 설계를 통해 Gbps급 무선 신호 송수신기용 초소형 필터를 구현하며, 교차결합 구조를 부여하여 통과 대역 주변에 전송 영점을 발생시키고 스커트 특성을 향상시켜 채널 간 간섭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0차 공진기 요소 간의 3극 교차결합형 전달 영점을 활용하여 우수한 주파수 선택도를 가지는 소형 대역통과 여파기를 개발하며, 위상 경로차 유도용 다중 링 구조를 통해 초광대역 소형 대역통과 여파기를 구현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유연하게 대응합니다. 통신 시스템에 RIS 센싱 기능 결합을 위한 주파수 천이기 설계와 같은 첨단 RF 부품 통합 기술을 연구하고, RF 설계 및 EM 해석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SW 플랫폼 개발을 통해 설계 효율성을 높이고 최적화를 가속화합니다. 본 연구실의 RF 부품 및 필터 설계 기술은 5G/B5G 통신 시스템, 위성 통신, 레이다 시스템, IoT 기기 등 고성능 무선 통신이 요구되는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됩니다. 이는 통신 시스템의 신호 품질 향상, 주파수 자원 효율성 증대,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 전반의 성능 향상과 비용 절감에 기여하며, 방위산업 등 고신뢰성 RF 부품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프로그램 위원회 위원 - 대한전기학회 '전기의 세계' 전임 편집장 - 대한전기학회 평의원 및 본부 이사 (현재) - 2019년 IEEE APCAP 2019 총 조직위 - 2022년 ICEE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Electrical Engineering) 한국측 대표 지명 - ICEE 2023 참관 및 Tutorial 진행 - 대한전기학회 ICEE 한국위원장 - ICEE 2024 한국 대표단 참석 |
| 학력 사항 | 공학박사 한양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2000)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