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윤창민

윤창민

소속

국립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AI요약

국립한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윤창민 부교수님은 차세대 고분자 및 나노융합소재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자율주행 라이다 센서 인지형 흑색 소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나노첨가제, 그리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저장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계십니다. 특히, 라이다 감응형 검은색 소재와 반도체 패키징용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은 미래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윤 교수님의 혁신적인 연구 성과와 최신 과제들을 통해 미래 기술의 방향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윤창민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윤창민
직책부교수
이메일cmyoon4321@inha.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화학생명공학과
사무실 번호0328607487
연구실기능성 화학소재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view/apml-inha/home?authuser=0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view/apml-inha/team/professor?authuser=0
소속국립한밭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국립한밭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고분자공학과 부교수로서 화학생명공학 분야 연구 및 교육 담당

중요 키워드

#화학소재#라이다#나노융합소자#흡열연료#검은색 소재#반도체 패키징#고분자#2차전지 재활용#신소재#친환경 소재#특허#자율주행#리튬이온 커패시터#에너지 저장#첨단소재

연구 분야

연구 1첨단 반도체 패키징 및 융합 소재
내용본 연구실은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과 융합 소재 개발을 통해 고성능, 고신뢰성 전자제품 구현에 중점을 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전해 금속 도금과 실란 화학물 연속 처리를 활용한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용 저온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와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IRIS] 3D 나노융합소자 연구 센터 운영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핵심 기술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차별성은 반도체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특히 폐실리콘 슬러지를 재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소재로 전환하는 ESG 경영 전략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적용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친환경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며, 삼성전자 TSP총괄과의 협력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립한밭대학교의 글로벌 기초연구실(GBRL) 과제로 선정되는 등 그 혁신성과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첨단 반도체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전자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우수한 인재 양성을 통해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2자율주행 라이다 인지형 소재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자율주행 차량의 핵심 센서인 라이다(LiDAR)의 성능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인지형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친수성 라이다 감응형 검은색 소재 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하며, 색상층과 반사층을 일체화한 LiDAR 인지형 검은색 소재를 설계하여 외부 환경 변화에 강하고 안정적인 센서 인지 능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적 강점은 높은 근적외선 반사율을 가지는 중공 구조체 및 흑색 나노입자를 개발하여, 우수한 흑색도(20 이하의 L* 값)를 구현하면서도 근적외선 파장 영역에서 뛰어난 반사율을 나타낸다는 점입니다. 이는 기존 흑색 소재가 가지는 라이다 인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율주행 시스템의 도로 상황 인지 특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도로 표지판, 차선 등 다양한 물질의 표면에 적용 가능하여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및 신뢰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2단계 사업화 과제로 선정되어 수행 중이며, 관련 특허를 출원함으로써 기술의 독창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연구 3에너지 저장 및 친환경 기능성 소재
내용본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친환경 기술 구현을 위한 고성능 기능성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소차의 변동부하 조절용 리튬이온 커패시터와 같은 고효율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다공성 탄소나노시트를 활용한 우수한 전극 소재 개발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의 차별성은 균일한 공극 직경과 일정한 격자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공극을 포함하는 전극 소재 설계에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극 성능을 극대화하고 에너지 저장 효율을 높여 리튬이온 커패시터의 수명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의 전비와 배터리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기능성 나노첨가제 개발을 통해 친환경 모빌리티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2차전지 재활용 기술과 연계되어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 경제 구축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비나텍(VINATech)과 젠텍(Xentech) 등 국내 유수의 기업들과 협력하여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 등록을 통해 기술의 독점성과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대외 활동] - 반도체 관련 유튜브 크리에이터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