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일
한상일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에너지화학공학과)
AI요약
한상일 국립창원대학교 공학융합학부 교수는 첨단 화학공학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산화탄소 포집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흡착을 위한 금속유기골격체(MOF)와 다양한 기능성 나노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파 합성을 통한 MOF의 빠른 제조 기술과 공기 중 미세입자 및 VOCs 제거를 위한 전기방사 멤브레인 연구는 환경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촉매 반응 및 화학공정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정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상일 교수의 혁신적인 연구 성과는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한상일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angilh@changwon.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에너지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2133757 |
| 연구실 | 기능성나노소재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advmater/main.do |
|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ac.kr/advmater/cm/cntnts/cntntsView.do?mi=15128&cntntsId=5443 |
| 소속 | 국립창원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창원대학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4 ~ 현재: 부교수, 창원대학교 화학공학과 |
| 회사명 | 현대중공업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3 ~ 2014: 수석연구원, 현대중공업 첨단기술연구원 |
중요 키워드
#CO2 포집#화학공정#전기방사섬유#나노섬유 멤브레인#환경공학#금속유기골격체#나노기술#멤브레인 기술#고분자#VOC 흡착#재료 합성#전산유체역학#흡착제#가스 분리#마이크로파 합성
연구 분야
| 연구 1 | 환경 오염물질 제어 나노소재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이산화탄소(CO2)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같은 환경 오염물질의 효과적인 포집 및 흡착을 위한 기능성 나노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속유기골격체(MOF)와 같은 다공성 나노소재의 합성과 응용에 독보적인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MOF 합성법이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합성 기술을 도입하여, MOF의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마이크로파 합성을 통해 제조된 MOF는 CO2 및 VOCs 흡착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연구실은 MOF의 안정성과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물 안정성을 향상시킨 Mg-HKUST-1/고체 이온성 액체 복합체나 아민 기능화 MOF-177을 이용한 CO2 포집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유무기하이브리드 복합체 필터를 개발하여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저감에 기여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섬유 흡착제를 이용한 VOCs 처리 시스템 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등 실제 환경 문제 해결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속 가능한 환경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핵심 원천 기술이며, 산업 현장의 배가스 처리 및 실내 공기질 개선에 활용되어 경제적,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전기방사 멤브레인 기반 공기 정화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공기 중 미세입자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거를 위한 혁신적인 전기방사 멤브레인 및 필터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전기방사 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고, 이를 통해 공기 정화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기존 필터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성능 다공성 포집제 및 필터 제조 기술을 연구하여 실질적인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MOF와 전기방사 섬유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소재를 개발하여 CO2 포집 및 VOCs 흡착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ZIF-8/PEO/PDA 나노섬유를 이용한 어류 부패 감지 기술이나 UTSA-16 금속유기골격체 다단계 시드 성장 전기방사 섬유 매트를 이용한 CO2 포집 성능 향상 연구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탐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활성탄이 함침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전기방사 매트를 이용한 공기 중 VOCs 제거 연구와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전기방사 멤브레인의 미세입자 제거 성능 비교 연구 등을 통해 필터의 성능과 내구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다목적 스마트 공기청정 시스템 개발 과제에 적용되어 실제 생활 환경에서의 공기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화학공정 시뮬레이션 및 안전성 향상 |
| 내용 | 본 연구실은 촉매 반응 및 화학공정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산유체역학(CFD) 기반 시뮬레이션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화학 공정 내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화학적 현상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예측함으로써 공정 설계 최적화 및 사고 위험성 평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소가스 누출 사고 및 도시가스 설비의 폭발 위험성 예측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에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가스 분리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LNG 벙커링선용 표준 모듈형 흡착타워 PSA 질소발생장치 개발 과제를 수행하며 고순도 질소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재료 및 공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탄소 중립 시대에 필요한 핵심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폐쇄 루프 공급망 모델에서의 역물류 활동 강화 연구나 블록 공중합체의 용액 내 정렬 역학 연구 등 화학공학 전반에 걸쳐 심도 깊은 이론적, 실험적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및 공정 최적화 연구는 에너지 효율 향상, 비용 절감, 그리고 궁극적으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화학 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Ph.D., 화학공학,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USA (2010) M.S., 화학공학, 부산대학교 (2005) B.S., 화학공학, 부산대학교 (2003)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