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중
권오중
소속
인천대학교 (에너지화학공학과)
AI요약
인천대학교 에너지화학공학과 권오중 교수는 차세대 연료전지 및 수소 발생 반응용 촉매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고내구성 금속 촉매, 탄소 껍질 기반 촉매, 복합체 합성 등 혁신적인 방법을 통해 촉매의 활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소 생산 효율을 높이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친환경 촉매 제조 기술은 미래 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합니다. 권오중 교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권오중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ojkwon@i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에너지화학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358414 |
| 연구실 | 전기화학 에너지 디바이스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ohjoongkwon.wixsite.com/eedl |
| 홈페이지 | https://ohjoongkwon.wixsite.com/eedl/about-me |
| 소속 | 인천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인천대학교 에너지화학공학과 |
| 재직기간 | 2019.04.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인천대학교 공동기기원 |
| 재직기간 | 2018.08.01 ~ 2021.08.31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인천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재직기간 | 2018.03.01 ~ 2020.03.31 |
| 담당업무 | - |
중요 키워드
#촉매#폴리아닐린#전기화학#하이브리드시스템#재료공학#전극#수소생산#연료전지#탄소껍질#나노입자#합금촉매#수전해#MEMS#고내구성#금속배선
연구 분야
| 연구 1 | 고효율 에너지 변환용 전기화학 촉매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연료전지 및 수전해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고효율, 고내구성 전기화학 촉매 개발에 중점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귀금속 촉매 사용량을 줄이고 비귀금속 촉매의 활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하여 지속가능한 에너지 변환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백금(Pt), 이리듐(Ir), 루테늄(Ru), 팔라듐(Pd) 등 귀금속 및 니켈(Ni), 코발트(Co), 철(Fe) 등 비귀금속 기반 합금 촉매를 설계하고 합성합니다. 금속-아닐린 복합체 형성 후 열처리하여 탄소 껍질을 가진 금속 촉매를 제조하는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 촉매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킵니다. 수전해 반응의 과전압을 낮추기 위한 연료전지-수전해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가혹한 운전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고내구성 촉매 설계가 핵심 역량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수소 연료전지,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 등 다양한 전기화학 에너지 변환 시스템에 적용됩니다. 저가형 고성능 촉매 개발을 통해 수소 경제 전환에 기여하고, 친환경 에너지 기술의 상업화를 가속화하여 산업적, 사회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
| 연구 2 | 탄소 나노 구조 기반 기능성 재료 합성 |
| 내용 | 본 연구실은 금속 나노입자의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탄소 기반 나노 구조체 및 복합 재료 합성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핵심 역량은 금속-탄소 코어-쉘 구조의 제어된 합성을 통해 촉매 및 전극 재료의 물성을 최적화하는 것입니다. 금속 전구체와 유기 리간드(예: 아닐린 단량체)를 활용한 금속착물 기반 합성법, 레이저를 이용한 탄소 껍질 유도 기술, 그리고 표면 산화 제어를 통한 탄소 껍질 두께 조절 기술을 개발하여 나노입자 형상 및 껍질 두께를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촉매의 활성점 보호 및 물질 전달 효율 최적화에 기여하며, 나노입자의 응집과 용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장기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폴리아닐린(Polyaniline)과 금속 산화물 복합체를 통한 기능성 재료 합성에도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고내구성 전기화학 촉매, 이차전지 전극 재료, 센서 등 다양한 첨단 소재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재료 수명 연장을 통해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기능성 재료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 연구 3 | 차세대 전극 및 초미세 금속 배선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고성능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와 첨단 전자 소자에 적용되는 차세대 전극 재료 및 초미세 금속 배선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효율적인 물질 전달과 높은 신뢰성을 갖춘 전극 및 배선 구조 구현에 초점을 맞춥니다. 리튬 금속 전지용 다공성 구리 전극 및 덴드라이트 억제 기술을 포함한 다공성 집전체 표면 고분자 처리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반도체 공정을 위한 친환경 금속 배선 기술, 특히 폴리아닐린 씨앗층을 활용한 무전해도금 대체 기술 및 금속 나노입자 촉매 기반 전해도금 기술을 연구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기존 방식의 환경 문제 해결과 공정 단순화를 가능하게 하며, 초미세 패턴 구현과 고신뢰성 확보에 강점을 보입니다. MEMS 및 디스플레이용 핵심 소재 개발에도 기여합니다. 이 기술들은 고용량/고안정성 이차전지, 유연전자소자, UHD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차세대 전자 소자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를 가능하게 하고, 친환경 제조 공정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산업 발전에 기여합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전기화학회 수상위원회 이사 (2020.03) |
학력
| 학력 사항 | 서울대학교 공학 박사 (2007) 서울대학교 공학 석사 (2003) 서울대학교 공학 학사 (2001)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