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남기
정남기
소속
건양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학과)
AI요약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학과 정남기 교수님의 공식 프로필 페이지입니다. 정남기 교수님은 해당 학과에서 에너지 과학기술 분야의 교육 및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계십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교수님의 소속 기관 및 직위 정보를 상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교수님의 주요 연구 분야 및 학술 활동에 대한 최신 정보는 본 프로필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될 예정입니다. 관심 있는 연구자 및 학생 여러분의 많은 방문을 바랍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정남기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njung@c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에너지과학기술학과 |
| 사무실 번호 | 0428218609 |
| 연구실 | 에너지변환소재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cnuecml.wixsite.com/ecml |
| 홈페이지 | https://cnuecml.wixsite.com/ecml/professor |
| 소속 | 건양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센터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 |
중요 키워드
#연료전지#에너지과학기술#촉매#나노입자#신소재#탄소층#화학공학
연구 분야
| 연구 1 | 고성능/고내구성 연료전지 촉매 및 시스템 |
| 내용 | 정남기 교수 연구실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의 핵심인 연료전지의 성능과 내구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촉매 및 시스템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소전기차, 발전용 연료전지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최적화된 촉매 설계 및 전극 구조 제어 기술을 연구합니다. 고가의 백금 기반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비백금계 촉매(예: 코발트 코어-그래핀 탄소 쉘)와 저백금 촉매 개발을 통해 경제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어-쉘 촉매와 그래핀 보호층을 적용한 촉매 기술은 연료전지의 시동/정지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극대화하여 실제 운전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를 통해 촉매 금속의 용출 및 응집을 방지하고, 일산화탄소 피독 문제를 해결하는 독창적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수소 연료전지의 효율과 수명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발전용 PAFC 전극 기술 개발 및 MEA 부품화 기술은 실제 산업 적용 가능성을 높여, 미래 에너지 전환 시대의 핵심 원천 기술로 활용될 가치가 매우 큽니다. |
| 연구 2 | 차세대 전기화학 에너지 변환 나노소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전기화학 에너지 변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나노소재 합성 및 설계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합니다. 연료전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기화학 장치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나노재료의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sub-nm 수준의 정밀한 자가조립 카본쉘 캡슐화 나노입자 개발은 연구실의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 금속 입자를 그래핀 탄소 쉘로 감싸는 이중 코어쉘 구조를 통해 촉매의 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가스 유도 탄소 쉘 밀도 조절 기술로 반응 선택성을 최적화합니다. 루테늄 기반의 고성능 고내구성 신개념 수소촉매 및 금속유기구조체(MOF) 활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여 기존 소재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노소재 기술은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수전해, 리튬 이차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시스템의 핵심 부품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정밀하게 제어된 나노 구조는 촉매 성능을 극대화하고 소재 수명을 연장하여 미래 에너지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 연구 3 | 연료전지 전극층 구조 제어 및 열화 분석 |
| 내용 | 정남기 교수 연구팀은 고성능, 고내구성 연료전지를 구현하기 위해 전극층의 멀티스케일 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연료전지 시스템의 장기 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열화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 분야는 연료전지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합니다. 전극층 내 촉매, 이오노머, 탄소 담지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연료전지 애노드에서의 탄소 부식 현상 및 이로 인한 애노드 두께 감소 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하기 위한 혁신적인 전극 설계 기술을 개발합니다. 전기화학 분석 기법과 동시방사선(X-ray)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전극 내부 변화를 관찰하고, 열화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함으로써 내구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연료전지의 고질적인 문제인 내구성 저하를 해결하고, 실제 상용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개발된 전극 구조 제어 및 열화 방지 기술은 연료전지의 수명과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켜, 친환경 도심형 발전소 및 수소전기차의 상용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입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2001.03 ~ 2007.08 B.S.,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09 ~ 2009.08 M.S.,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09 ~ 2012.08 Ph.D.,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