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이재범 충남대학교 화학과 교수님의 상세 프로필을 소개합니다. 본 페이지는 교수님의 주요 학력, 경력, 연구 분야 및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수님의 전문성을 탐색하고 연구 활동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찾으시는 분들께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Kotech Hub는 사용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최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이재범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화학과 |
| 사무실 번호 | 0428216553 |
| 연구실 | 나노소재화학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nanoleelab.wixsite.com/homepage |
| 홈페이지 | - |
| 소속 | 충남대학교 |
| 회사명 | 충남대학교 |
| 재직기간 | 2018.08.3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화학과 교수 |
| 회사명 | 부산대학교 |
| 재직기간 | 2006.12.31 ~ 2018.08.31 |
| 담당업무 | 나노메디컬공학과 /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 |
| 회사명 | 미국 미시간 대학 |
| 재직기간 | 2002.12.31 ~ 2006.12.31 |
| 담당업무 | 화학공학과 박사후 연구원 (Kotov그룹) |
| 연구 1 | 뇌질환 및 감염병 진단용 나노바이오센서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체 내 미량의 생체 물질을 초고감도로 검출하여 신경퇴행성 질환 및 감염병을 조기에 진단하는 나노바이오센서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아밀로이드 단백질, 유전병 특이 점돌연변이 DNA, 패혈증 바이오마커 등을 검출하기 위한 혁신적인 센싱 플랫폼을 연구합니다. 자기 플라즈모닉 나노입자, 카이랄 양자점, 플라즈모닉 네마틱 필름 등 최첨단 나노소재를 활용하여 검출 감도와 선택성을 극대화하는 데 성공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 진단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질병의 조기 발견 및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역량입니다. 예를 들어, 나선형 자기장 하에서 자기 플라즈모닉 나노입자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아밀로이드 단백질 검출 기술은 질병의 초정밀 진단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또한, 유전성 난청 검출용 플라즈모닉 네마틱 필름 바이오센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유전병 진단에 기여하며, 키랄성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바이오 센싱 디바이스 개발 과제들을 통해 실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다학제적 연구를 통해 미래 의료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고성능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카이랄 나노소재 합성 및 광학/물리 센서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독특한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지닌 카이랄 나노소재의 합성 및 응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나노 스케일에서 발생하는 카이랄 현상을 제어하고 이를 센서 및 광학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것이 주요 연구 목표입니다. 특히, 카이랄 나노구조체의 물리적 특성, 카이랄성 안정제에 따른 나노구조체의 카이랄성 변동 연구를 통해 소재의 근본적인 이해를 넓히고 있습니다. 나선형 자기장 형성 기술을 이용하여 손대칭성을 부여한 나노 구조체를 제조하며, 이를 통해 광학 이성질체 분석 장치, 표면 증강 라만 산란 및 카이랄 센싱 응용을 위한 메타표면 제작 등 다양한 고감도 광학 센서 및 디바이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차원 또는 3차원 카이랄 나노 구조체는 바이오 진단, 환경 모니터링,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나노 광학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
| 연구 3 | 에너지 변환 및 환경 모니터링 나노소재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 및 환경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나노 촉매 및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촉매 수소 생산 기술과 고효율 물 분해를 위한 광전기화학 촉매 개발에 핵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반도체/공유 유기 프레임워크 헤테로접합의 분자적 설계 및 마그네토플라즈모닉 광전기화학 촉매 개발을 통해 에너지 변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 분야에서는 중금속 이온 검출용 비색 센서 및 흡착제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합니다. 자성금속입자를 이용한 비색 센서, β-FeOOH 입자를 이용한 중금속 흡착 기술을 통해 수질 오염 모니터링 및 정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리튬이온 배터리 음극 소재용 자성 나노입자 개발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 성능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FeSe 층상구조의 비정상적인 밴드갭 불안정성을 활용한 센싱 및 에너지 응용 가능성 탐구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친환경 기술을 선도합니다. |
| 활동 내용 | [프로젝트/사업 참여] - World Class University (WCU) 프로젝트 디렉터 - Brain Korea (BK) 21 나노융합기술 부디렉터 -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지원 사업 공동연구 (충남대 박진해 교수, 중국 국가나노연구중심 당지용 교수) |
| 학력 사항 | 영국 로버트 고든 대학 화학 전공 (2003) 충남대학교 화학과 (1998)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