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송기창

송기창

소속

건양대학교 (의료신소재학과)

AI요약

건양대학교 의료신소재학과 송기창 교수는 첨단 기능성 신소재 및 코팅 기술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기존 인공수정체의 문제점인 반짝임 현상(Glistening)과 세포 부착 방지를 위한 혁신적인 소재 개발에 주력하여, 환자의 시력 개선과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초친수성/초소수성 코팅, 고굴절 하드코팅, 항균·눈부심 방지 코팅 등 다양한 기능성 코팅 기술을 개발하며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솔-겔(Sol-Gel) 공법을 활용한 나노 소재 합성 및 복합재료 연구를 통해 의료, 건축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소재 과학의 발전을 이끌고 있으며, 다수의 논문 발표와 특허 등록으로 그 전문성과 연구 성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송기창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송기창
직책교수
이메일songkc@konyang.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의료신소재학과
사무실 번호0426008533
연구실의료고분자 실험실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s://pharm.konyang.ac.kr/prog/profsrSearch/faculty/sub01_01/buseo/view.do?insa_no=MjkyMTA1&buseo_cd=30400500&searchCondition=buseo_cd&searchKeyword=30400500
소속건양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건양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의료신소재학과 교수로서 의료용 신소재 및 복합재료 연구 개발, 인공수정체 소재 개발 및 특성 개선, 나노 코팅 기술을 활용한 기능성 필름 제조 연구 및 교육 담당
회사명스위스 취리히공대
재직기간2000.01.01 ~ 2000.12.31
담당업무방문교수

중요 키워드

#수분산폴리우레탄#탄소나노튜브#고굴절#인공수정체#나노코팅#친수성#소수성#재료공학#글리스닝#자성나노입자#졸-겔#시멘트복합재#의료신소재#기능성필름#표면개질

연구 분야

연구 1첨단 기능성 소재 및 나노 코팅 기술
내용송기창 교수는 첨단 기능성 신소재 및 나노 코팅 기술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 인공수정체 소재의 고질적인 문제인 반짝임 현상(Glistening)을 줄이고 세포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혁신적인 소재 개발에 주력하여 환자의 시력 개선과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성 코팅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초친수성/초소수성 코팅, 고굴절 하드코팅, 항균 및 눈부심 방지 코팅 등 폭넓은 기능성 코팅 기술을 개발하며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솔-겔(Sol-Gel) 공법을 활용한 나노 소재 합성 및 복합재료 연구는 표면 특성 제어 및 내구성 강화에 핵심적인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인공수정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료기기 및 광학 렌즈, 디스플레이 필름 등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다수의 논문 발표와 "반짝임 변성이 감소된 소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의 제조방법", "청색광 차단 코팅 용액 및 필름 제조방법", "이산화티탄-지르코니아 복합 산화물 졸을 이용한 고굴절 하드코팅액 제조방법" 등 다수의 특허 등록으로 그 전문성과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의료, 광학, 건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소재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2고성능 복합재료 및 구조 응용
내용송기창 교수는 다양한 기능성 신소재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복합재료의 개발과 이의 구조적 응용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 사용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며, 내구성 및 강도 향상을 통해 건설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존 재료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복합재료 솔루션 제시를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는 현무암 섬유와 나노실리카 입자를 활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와 섬유 계면의 부착 강도를 극대화하는 기술 개발을 포함합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MWCNT)를 이용한 전도성 코팅 필름을 시멘트 복합체에 적용하여 자가 발열 및 전기적 특성을 부여하는 등 스마트 건설 재료 분야로의 확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복합재료 기술은 재료의 경량화, 고강도화, 다기능화를 동시에 실현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합니다. "실리카 나노 입자가 코팅된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탄소섬유 보강 모르타르" 특허 등록 및 "Heating Performanc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ement Composites Using Conductive Films Coat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와 같은 다수의 논문을 통해 본 연구의 우수성과 산업적 파급 효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건축물의 수명 연장, 에너지 효율 증대, 구조물의 안전성 향상 등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것입니다.
연구 3의료용 생체고분자 및 바이오 기능화
내용송기창 교수는 의료용 생체고분자 소재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바이오 기능화 연구를 통해 의학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의 성능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며, 특히 인공수정체와 같은 고분자 기반 의료 기기의 생체 적합성을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합니다. 생체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소재 개발이 목표입니다. 본 연구실은 인공수정체 표면에 즈비터이온(Zwitterionic sulfobetaine methacrylate, SBMA) 코팅을 적용하여 세포 부착을 방지하고 후낭 혼탁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또한, 유효성분을 담지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PLLA) 합성 및 스케일업 연구, 항바이러스용 기능성 필터 및 마스크 개발 등 다양한 의료용 응용 분야로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 기능화 기술은 약물 전달 시스템, 생체 조직 공학, 감염 예방 등 광범위한 의료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Zwitterionic sulfobetaine methacrylate (SBMA) coating on hydrophobic acrylic intraocular lens material to prevent the adhesion of lens epithelial cells" 논문 등 다수의 연구 성과를 통해 생체 재료 분야에서의 탁월한 전문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 기술의 진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차세대 의료 기기 및 진단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입니다.

학력

학력 사항박사 KAIST 화학공학 (1989) 이학박사 의료신소재학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