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심봉섭

심봉섭

소속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AI요약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심봉섭 교수는 나노셀룰로오스 신소재 분야와 발화 및 표정 구현을 위한 AI 기반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심 교수는 결정성 나노셀룰로오스의 효율적인 분리 장치 개발 및 멍게에서 추출한 나노섬유를 활용한 위조방지 구조색 코팅 기술을 통해 신소재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음기관의 물리 특성을 기반으로 영상 객체의 발화와 표정을 구현하거나 발화 개선을 위한 가이드 및 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여 음성 및 AI 인터페이스 분야에서도 중요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심봉섭 교수의 연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심봉섭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심봉섭
직책교수
이메일bshim@inha.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화학공학과
사무실 번호0328607477
연구실나노-바이오 재료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www.sbongs.com/
홈페이지https://www.sbongs.com/people
소속인하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인하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유연전자소재#생체신호검출#바이오소재#트랜지스터#스마트팜#친환경소재#재료공학#화학공학#유기전자소재#D-PCB#공동연구#나노셀룰로오스#위조방지#헬스케어

연구 분야

연구 1친환경 유연 전자소재 및 생체 인터페이스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친환경 소재를 기반으로 한 유연 전자소재 및 생체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환경 문제 해결과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 및 바이오 센서 시장의 혁신을 목표로, 자연분해성 소재와 생체적합성을 갖춘 유연한 전자소자를 연구하여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에 기여합니다. 특히, 멍게 껍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와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복합화하여 기계적 유연성과 뛰어난 전기·전기화학적 특성을 동시에 지닌 섬유형 유기 전기화학 트랜지스터를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분자 수준에서의 정렬 제어를 통해 고성능을 확보하며, 기존 전자소재 대비 친환경성과 생체적합성을 높인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전자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연분해성 전자회로기판(D-PCB)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사람이나 동물의 생체 신호 측정, 식물의 이온 변화량 및 수분 함유 상태 파악 등 다양한 생체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차세대 스마트팜용 작물 모니터링 기술,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 군사 의류, 스포츠웨어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어 산업적 가치를 창출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천연 유기물을 활용하여 환경 부담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높은 성능을 구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2나노셀룰로오스 기반 기능성 신소재 및 위조방지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친환경 나노셀룰로오스 기반의 기능성 신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셀룰로오스의 독특한 구조적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고부가가치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자원 효율성 및 환경 친화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결정성 나노셀룰로오스의 길이별 분리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장치 개발 및 멍게에서 추출한 나노섬유를 이용한 위조방지 구조색 코팅 기술이 있습니다. 이 코팅 기술은 셀룰로오스와 키토산의 층상 조립 공정을 통해 조절 가능한 구조색을 구현하며, 이는 기존의 염료 기반 위조방지 기술과 차별화되는 친환경적이고 반영구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마이크로 채널 및 외력장 인가를 통한 나노셀룰로오스 크기 분리 기술 또한 소재의 활용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기술들은 신소재 산업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화폐, 신분증, 의약품 등 위조 방지가 필수적인 분야에 적용되어 사회적 안전성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적 제조 공정으로 환경 부담을 줄이며, 천연 유래 소재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 3AI 기반 조음기관 발화 및 표정 구현/개선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인공지능(AI) 기술과 생체 역학을 융합하여 인간의 조음기관 물리 특성 기반 발화 및 표정 구현/개선 시스템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음성 및 AI 인터페이스 분야의 혁신을 통해 차세대 인간-기계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언어 장애인의 의사소통을 돕는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합니다. 주요 기술로는 화자의 두경부 일면에 인접한 센서가 조음기관의 물리 특성(예: 구강설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이를 데이터 해석부를 통해 발화 특징으로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이 발화 특징은 언어 데이터나 객체 두경부 데이터로 변환되어 영상 객체의 발화와 표정을 구현하거나, 발화 개선을 위한 가이드 및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활용됩니다. 특히, 촬상 센서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조음기관의 미세한 변화까지 감지하여, 기존의 음성 인식 기술로는 어려웠던 무성 발화(Silent Speech)의 구현 가능성을 열고, 보다 정교한 발화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차별성을 가집니다. 본 기술은 AI 아바타,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콘텐츠 내에서의 자연스러운 캐릭터 상호작용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음 교정, 언어 재활 치료 등 교육 및 의료 분야에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여 언어 장애를 가진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청각 장애인과의 의사소통 지원, 소음 환경에서의 의사전달(군사, 수중 활동 등)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가능성을 제시하며, 휴먼-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수상 내역] - 지도 학생 홍영범 석사과정생, 미국재료학회(MRS) '포스터논문상(Highly Commented Poster)' 수상 (2023) [연구 과제 참여]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사업(BRL) 지원 및 선정 (2021년 선정, 3년간 13억 7천 5백만원 지원)

학력

학력 사항박사 미시간대학교 화학공학 석사 미시간대학교 화학공학 학사 고려대학교 화학공학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