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이철균 교수는 미세조류 연구 분야의 권위자입니다. 이철균 교수는 미세조류의 효율적인 배양 및 수확 기술 개발부터 바이오디젤, 고단백 사료, 조미료, 피부 미백 조성물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응용 기술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총 19건의 등록 특허를 통해 그의 혁신적인 성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바이오 에너지 및 바이오 소재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철균 교수의 심층적인 연구 성과를 본 프로필에서 자세히 확인해 보십시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이철균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leecg@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명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8997 |
| 연구실 | 해양생물공학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p-leecg.inha.ac.kr/p-leecg/index.do#none |
| 홈페이지 | - |
| 소속 | 인하대학교 |
| 회사명 | NASA KSC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1996.01 ~ 1997.01 NASA KSC 객원연구원 |
| 회사명 | University of Michigan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1994.12 ~ 1995.12 University of Michigan Post - Doc |
| 회사명 | 생명공학연구소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1989.08 ~ 1990.08 생명공학연구소 연구원 |
| 연구 1 | 미세조류 고효율 배양 및 수확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세조류의 효율적인 생산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미세조류는 바이오에너지, 고부가가치 바이오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자원이지만, 대량 생산을 위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배양 및 수확 기술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에 본 연구실에서는 미세조류의 생장 환경을 최적화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광생물반응기 설계 및 배양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촉매를 구비한 광생물반응기를 통해 외부 영양분 공급 없이 해양 미세조류를 효율적으로 배양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배양 환경 실험을 위한 최적화된 배양 장치를 설계했습니다. 또한, 미세조류의 효율적인 분리 및 농축을 위한 미세조류 수확 장치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친수성 개질제를 이용한 소수성 고분자 메쉬의 표면 개질 기술은 미세조류 배양기의 생물오손을 방지하고 투과도를 향상시켜 장기적인 안정성과 경제성을 확보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의 생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고, 지속 가능한 해양 바이오산업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 연구 2 | 미세조류 활용 고부가가치 바이오소재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미세조류가 가진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고부가가치 바이오소재로 전환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미세조류는 단백질, 지질, 색소 등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하며, 이를 바이오디젤, 의약품, 식품, 화장품, 사료 등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미세조류의 특정 성분을 추출하고 정제하여 산업적 가치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구체적으로, 미세조류에서 생산된 지질을 활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에너지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 후 남은 탈지미세조류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정미성분이 강화된 조미료 조성물이나 단백질 고함량 사료용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자원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진 미세조류 배양액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 역시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AMD 치료용 제아잔틴, 아스타잔틴 등 특정 기능성 성분의 대량 생산 기술을 연구하며, 미세조류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인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미세조류 유전자 및 대사공학 |
| 내용 | 본 연구실은 미세조류의 유전자를 조작하고 대사 경로를 최적화하여 유용 물질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미세조류의 생리적 특성을 깊이 이해하고 유전적 변형을 통해 원하는 바이오소재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거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특히, 시스템생물학 및 멀티오믹스 기반 통합 분석을 통해 미세조류의 복잡한 대사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개량 전략을 수립합니다. 구체적인 연구 성과로는 Famt 유전자 조작을 통해 남조류 세포 내 바이오디젤 생산 효율을 높인 기술이 있습니다. 또한, 인산염 과다 축적을 유도하는 유전자 넉아웃 또는 과발현 기술(phoU 유전자 넉아웃, ppk 유전자 과발현)을 개발하여 미세조류를 활용한 생활성 비료 개발 및 환경수 내 인 회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아스타잔틴 생산 증대를 위한 돌연변이 유도 연구와 저온에서도 빠른 생장 속도와 높은 FAME 함량을 가진 신규 Tetraselmis sp. KCTC12236BP 균주 발굴 및 활용은 유전자 및 대사공학이 실제 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세조류를 활용한 지속 가능한 바이오 에너지 및 친환경 바이오 소재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 학력 사항 | 1985.02 서울대학교(학사)/공업화학 1988.02 서울대학교(석사)/공업화학 1994.12 Univ. of Michigan(박사)/화학.화학공학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