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돈행

이돈행

소속

인하대학교 (의학과)

AI요약

이돈행 인하대학교 의학과 교수는 혁신적인 의료기기 특허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기존 결석 제거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발된 '결석 제거 장치'는 진동 또는 물 분사 파쇄 기능을 결합하여 인체 손상 없이 안전하고 손쉬운 결석 제거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용종 이송 망' 특허는 내시경 수술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킵니다. 이 기술은 용종 제거 시 스네어의 내시경 채널 삽입 횟수를 현저히 줄여 수술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돈행 교수의 특허는 의료 시술의 안전성과 환자 편의성을 동시에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이돈행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이돈행
직책교수
이메일ldh@inha.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의학과
사무실 번호0328902548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
소속인하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넥스트바이오메디컬
재직기간2014.01.01 ~ 재직 중
담당업무대표이사
회사명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재직기간2005.01.01 ~ 재직 중
담당업무소화기내과 교수
회사명국가지정 소화기질환 유효성평가센터
재직기간2010.01.01 ~ 2024.01.01
담당업무센터장
회사명유타-인하DDS 공동연구소
재직기간2009.01.01 ~ 2023.01.01
담당업무공동대표
회사명인하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재직기간2013.01.01 ~ 2021.01.01
담당업무원장
회사명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재직기간2003.01.01 ~ 2005.01.01
담당업무소화기내과 부교수
회사명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재직기간1996.01.01 ~ 2003.01.01
담당업무소화기내과 조교수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용종 제거#넥스파우더#임상시험#의료기술 개발#파쇄장치#약물전달시스템#넥스피어#고분자 기술#혈관색전 미립구#내시경 지혈재#소화기질환#공동 연구#넥스트바이오메디컬#의료기기

연구 분야

연구 1혁신 의료기기 개발 및 내시경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기존 의료 시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안전과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의료기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내시경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인체 손상 없이 안전하고 손쉽게 결석을 제거할 수 있는 '진동/물 분사 파쇄 기능 결합 결석 제거 장치' 특허를 개발하여 시술 효율을 높였습니다. 또한, 용종 제거 시 스네어의 내시경 채널 삽입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수술 시간을 단축하고 합병증 위험을 감소시키는 '용종 이송 망' 특허를 통해 내시경 수술 과정을 간편화했습니다. 이 외에도, 캡슐 내시경 영상의 유사성과 복잡성을 분석하여 영상 처리 효율을 높이는 '캡슐 내시경 영상 처리 방법'과 치료 부위에 적외선을 집중 조사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인 '적외선 온열프로브' 개발 등 다양한 첨단 내시경 및 의료기기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적용을 목표로 하며, 의료 기술의 진보와 환자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2소화기 질환 진단 및 치료 솔루션
내용본 연구는 소화기 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담도, 췌장질환, 췌장암, 췌장염, 담석증, 담낭 용종 등 다양한 소화기계 질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최신 지견을 임상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담관협착을 동반한 담관종양 고주파 열치료술 등 고난이도 시술 및 치료법 연구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으며, 소화기 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탑재 융합제품 개발을 통해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 2024년까지 '국가지정 소화기질환 유효성평가센터'의 센터장으로서 국내 소화기 의료제품의 유효성 평가 및 개발 인프라 구축을 선도하며, 신뢰성 높은 의료 기술 상용화에 기여했습니다. 인하대학교 소화기내과 교수로서 수많은 임상 경험과 연구 역량을 결합하여, 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고 소화기 질환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연구 3약물전달시스템 및 고분자 기반 바이오 소재
내용본 연구실은 약물 전달 시스템(DDS) 분야의 혁신을 통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분자 기술을 활용한 신개념 치료제 개발에 탁월한 역량을 보입니다. 2010년 보건복지부로부터 보건산업기술유공자로 선정되어 장관상을 수상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은 이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입증합니다. 내시경 지혈제 '넥스파우더'와 관절염 통증 치료제 '넥스피어-F' 등 고분자 기반의 융복합 치료제 개발을 주도하며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혈관색전 미립구 개발을 통해 국소적이고 정밀한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항암 치료 및 기타 질환 치료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약물의 특정 부위 전달 효율을 높이고, 약효 지속 시간을 연장하며, 환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하며, 기술이전 및 임상시험 연계로 산업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유타-인하DDS 공동연구소 공동대표 역임 등 국내외 연구 협력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약물전달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주요 활동] - 국가지정 소화기질환 유효성평가센터 센터장으로 활동했습니다. - 인하대학교 소화기내과 교수로 재직하며 미국 유타대학교와 함께 신의료기술 개발연구소를 유치하여 외국대학과의 연구 교류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했습니다. [수상 및 평가] - 2010년 약물전달시스템 개발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로부터 보건산업기술유공자로 선정되어 장관상을 수상했습니다. - 대한의학회로부터 차별성과 혁신성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사업화를 달성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연세대학교 대학원 내과학 박사 (2001) 연세대학교 대학원 내과학 석사 (1995) 연세대학교 의학과 (1988)

보유 기술 로딩 중...

이돈행 | 기술중개플랫폼 한국기술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