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양윤정 부교수님께서는 셀프 스탠딩이 가능한 세리신 기반 3D 프린팅 바이오 잉크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를 등록하셨습니다. 기존 3D 바이오 잉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탁월한 자립성(self-standing)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춘 새로운 바이오 잉크 제조 기술을 개발하셨습니다. 본 기술은 특정 분자량의 세리신과 완충액을 활용하여 바이오 잉크를 제조하는 독창적인 공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3D 바이오 프린팅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조직 공학 및 재생 의학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양윤정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yj.yang@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명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7512 |
| 연구실 | 기능성 바이오소재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yanglab.creatorlink.net/ |
| 홈페이지 | https://yanglab.creatorlink.net/MEMBERS |
| 소속 | 인하대학교 |
| 회사명 | MIT(매사추세츠 공과대학) |
| 재직기간 | ~ 2019.08.31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 수행 |
| 회사명 | 인하대학교 |
| 재직기간 | 2019.09.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생명공학과 부교수 재직 - 생물체 모사 소재, 단백질 이용 소재 개발, 해양 생물체 바이오 소재 응용 등 다양한 바이오 소재 연구 수행 - 열 안정성과 촉매 효율이 높은 플라스틱 분해 효소 개발 및 관련 특허 출원 - 3D 프린팅 바이오 잉크 제조방법 관련 특허 보유 |
| 연구 1 | 3D 바이오 프린팅 및 기능성 바이오잉크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조직 공학 및 재생 의학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셀프 스탠딩이 가능하며 탁월한 기계적 물성을 갖춘 세리신 기반 3D 프린팅 바이오 잉크 제조 기술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바이오 잉크의 한계를 극복하는 독창적인 접근법입니다. 이 기술은 특정 분자량의 세리신과 완충액을 활용한 제조 공정을 통해 안정적인 3D 구조물 제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해양 유래 고분자를 활용한 3D 바이오 잉크 개발과 천연 바이오잉크 소재 및 저장 기술 개발을 통해 인공 피부 상용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잉크의 흐름 거동과 프린팅 하이드로겔의 점탄성 특성 분석을 위한 유변현미경 장비 구축 등, 바이오잉크의 최적화 및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심층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모낭세포 재생치료를 위한 단백질 기반 유전자 치료제 전달 마이크로니들 개발과 같이 실제 의료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며, 조직 공학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맞춤형 의료 솔루션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연구 2 | 생체모사 및 단백질 기반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자연의 원리를 모방하는 생체모사 기술과 단백질 공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성 바이오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체 재료, 인공 단백질, 단백질 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홍합 접착 단백질과 실크 단백질 융합체 등 생체 유래 단백질의 특성을 활용한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핵공시스템을 모방한 선택적 분자 확산 제어 하이드로젤 개발을 통해 정밀한 물질 전달 제어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반응성 약물전달 소재 제형 개발 및 모낭세포 재생치료를 위한 단백질 기반 유전자 치료제 전달 마이크로니들 개발 등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지혈용 바이오 소재 개발 및 의료용 진단기기 적용을 위한 기반 소재 개발 등 광범위한 의료 분야에 응용 가능한 소재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체모사 및 단백질 기반 바이오소재 연구는 생체 친화적이고 고기능성을 가진 차세대 재료를 제공하며, 약물 전달 효율 증대, 치료 효과 개선, 의료 기기 성능 향상 등 인류의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친환경 지속가능 바이오 소재 및 생물 촉매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환경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친환경 바이오 소재 및 생물 촉매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열 안정성과 촉매 효율이 높은 플라스틱 분해 효소를 개발하고 그 변이체를 산업적 공정에 적용 가능성을 확대하는 연구를 수행하며, 고분자 분해 및 환경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버려지는 멍게 껍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활용하여 토양의 pH 및 수분 변화에 반응하여 내용물을 방출하는 친환경 생물농약 캡슐을 개발하는 등,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산물의 바이오 소재화 기술 개발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합니다. 이러한 친환경 바이오 기술은 CO2 포집을 위한 생물 촉매 매트릭스 연구 및 이산화탄소 고정 기술 개발과 연계되어 기후 변화 대응에도 기여합니다. 본 연구실의 지속가능 바이오 기술은 환경 보호 및 자원 순환 경제 구축에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미래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
| 활동 내용 | [기술 자문/이전] - 국내외 특허 기술이전 달성 - 플라스틱 분해 효소 변이체의 산업적 공정 적용 가능성 확대 기여 |
| 학력 사항 | 포스텍 화학공학과 박사 (2015) 포스텍 화학공학과 석사 (2012)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