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영
강재영
소속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AI요약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강재영 교수의 주요 연구 성과를 소개합니다. 강 교수는 길이 변환 로봇 매니퓰레이터, 우주탐사용 태양광 돛대 모듈, 궤도 탈출 시스템으로서의 태양광 우주연, 그리고 차량 서스펜션 장치에 이르기까지 혁신적인 기술 관련 특허 5건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특허들은 로봇 공학의 활용성 증대, 우주 탐사 기술의 효율성 향상, 그리고 자동차 부품의 구조 단순화 및 경량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요약은 강재영 교수의 다학제적 연구 역량과 미래 공학 기술 발전에 대한 기여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강재영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kangj@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기계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7324 |
| 연구실 | 동역학 및 자율 모빌리티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mobility.inha.ac.kr/ |
| 홈페이지 | https://mobility.inha.ac.kr/people.html |
| 소속 | 인하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현대모비스 |
| 재직기간 | 1998.02.28 ~ 2004.04.30 |
| 담당업무 | 주임 연구원 및 연구원으로서 차량 시스템 및 부품 관련 연구 수행 |
| 회사명 | 자동차부품연구원 |
| 재직기간 | 2004.09.30 ~ 2005.06.30 |
| 담당업무 | 전임 연구원으로서 자동차 부품 관련 연구 수행 |
| 회사명 | 공주대학교 |
| 재직기간 | 2009.02.28 ~ 2018.01.31 |
| 담당업무 | 조교수 및 부교수로서 기계자동차공학부 강의 및 연구 수행 |
| 회사명 | 인하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기계공학과 교수로서 동역학 및 자율 모빌리티 연구실 지도. 스마트 모빌리티, 우주 구조체,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기술 등 혁신적인 메커니즘 설계 및 동역학 모델 연구를 수행하며 현대자동차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미래 물류 모빌리티 플랫폼 및 제어 기술 개발에 기여. |
중요 키워드
#스마트모빌리티#기술사업화#태양광돛대#로봇매니퓰레이터#AI#물류모빌리티#센서융합#자율주행#플라잉카#우주구조체#궤도탈출시스템#동역학#차량서스펜션#진동제어#탄소복합소재
연구 분야
| 연구 1 | 스마트 모빌리티 및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스마트 모빌리티 및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하여 미래 물류 모빌리티 플랫폼 및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저가형 카메라 센서 기반 자율주행, 3대 물류 모빌리티의 자율 군집 주행, 독립 주행 가능한 스마트 트레일러 개발 등 실제 산업 적용을 위한 핵심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4륜 조향 차량의 동적 모델을 고려한 경로 계획 및 인휠모터 토크 분배 기술, 인휠모터 구동 시스템이 적용된 전기자동차 설계, 그리고 타이어 주행 하중 정밀 측정 시스템 개발을 통해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목적 지상 모빌리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통합, 임베디드 시스템 제어, 그리고 비전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 개발에도 깊이 기여하며,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상 모빌리티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사회적 편익을 창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 연구 2 | 우주 모빌리티 및 첨단 복합재 구조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미래 우주 탐사 및 항공 모빌리티 분야에서 첨단 구조체 설계 및 동역학 제어 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태양광 압력을 추진력으로 사용하는 '태양광 돛대 모듈' 및 '궤도 탈출 시스템으로서의 태양광 우주연' 개발에 주력하여, 화학 연료 없이 심우주 탐사가 가능한 혁신적인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NASA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롤러블 블레이드형 심우주 태양광 탐사선 후속 연구를 진행하며, 초경량 탄소복합재(CFRP)를 활용한 우주 구조체 및 접이식 날개를 가진 비행체(플라잉카)의 설계, 제작 및 구현에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복합재 기술은 영구 변형 없이 감고 펼 수 있는 항공 모빌리티 날개 개발로 이어져, 다양한 비행 모드 구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우주 구조체의 자세 제어 및 동역학 모델 연구를 통해 안정적인 우주 비행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미래 항공우주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연구 3 | 동역학 기반 로봇 시스템 및 지능형 제어 |
| 내용 | 본 연구실은 복잡한 동역학 시스템의 해석 및 제어를 통해 로봇 및 다양한 모빌리티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길이 변환 기술 개발, 화성 탐사 로버 개념을 도입한 극한 지형 주행에 최적화된 진동 감쇄 지상 로버 모빌리티 시스템 개발 등 로봇 시스템의 혁신적인 메커니즘 설계와 동역학 모델링에 강점을 보입니다. 차량 서스펜션 장치 및 진동 제어 시스템 연구를 통해 차량의 승차감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회전 시스템의 불안정성 유도 인자 연구 및 스퀼 소음 회피 설계 등을 통해 산업 현장의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딥러닝 기반의 비선형 진동 고장 진단 연구를 수행하며, 지능형 제어 알고리즘을 다양한 동역학 시스템에 적용하여 자율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역학 및 제어 기술은 육상, 항공, 우주를 아우르는 차세대 모빌리티 시스템 및 로봇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기반을 제공합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기술 협력 및 시연] - 현대자동차와의 물류 모빌리티 플랫폼 및 제어 기술 공동 개발 시연 진행 |
학력
| 학력 사항 | 인하대학교 학사 (1996) Univ. of Michigan 석사 (1997) Purdue Univ. 박사 (2008)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