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희
황병희
소속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AI요약
황병희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는 나노의학, 약물전달 시스템, 생체재료 개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 치료를 위한 나노 복합체 기반 약물 및 유전자 전달 기술, 효율적인 siRNA 및 펩타이드 전달 플랫폼, 그리고 생체 접착제 및 지혈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병원체 진단을 위한 첨단 바이오센서 및 마이크로어레이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황병희 교수는 혁신적인 생체재료 및 나노 기술을 통해 난치병 치료와 정밀 진단 분야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황병희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bhwang@i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명공학부 |
| 사무실 번호 | 0328358834 |
| 연구실 | 생체분자진단치료공학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bdtelab.org/research |
| 홈페이지 | https://inusdte.wixsite.com/bdtelab/professor |
| 소속 | 인천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UC Santa Barbara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인천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 |
중요 키워드
#생체분자진단#바이오센서#병원성미생물#지혈제#신약개발#의약품전달#생명공학#나노복합체#유전자치료제#항암펩타이드#CRISPR-Cas9#핵산전달#암 진단#유전자편집#정밀의약
연구 분야
| 연구 1 | 나노의학 기반 정밀 약물/유전자 전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나노의학 기술을 활용하여 암, 유전 질환 등 난치병 치료를 위한 정밀 약물 및 유전자 전달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 복합체, siRNA, 펩타이드 기반의 효율적인 약물 전달 플랫폼과 CRISPR-Cas9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한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치료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표적 세포 특이적인 약물 및 유전자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혁신적인 치료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암 치료를 위한 나노 복합체 기반 약물 및 유전자 전달 기술, 생물발광 공명에너지 전달 시스템을 활용한 광역학 암치료, 그리고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겸형 적혈구 빈혈증 등 유전 질환 치료를 위한 유전자 편집 플랫폼 개발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정밀 의학 실현에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난치병 극복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
| 연구 2 | 첨단 바이오센서 및 생체분자진단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질병 조기 진단 및 식품 안전을 위한 첨단 바이오센서 및 생체분자진단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병원성 미생물과 질병 관련 바이오마커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다양한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어레이, 앱타머, 금 나노입자, DNA 효소, 혼성화 연쇄반응(HCR) 등을 활용하여 고감도, 다중 검출이 가능한 진단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와 같은 식중독균의 현장 검출을 위한 앱타머 고정화 금 나노입자 기술, 병원균 핵산 검출을 위한 혼성화 연쇄반응 기반 비색 바이오센서, 그리고 16S rRNA 기반의 다중 병원균 검출 바이오칩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진단 기술은 식품 위생 검사, 감염병 신속 진단 및 암 조기 진단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어 공중 보건 증진과 사회 안전망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생체재료 기반 지혈 및 피부 전달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생체재료 공학 기술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지혈제 및 피부/조직 재생 치료제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홍합 접착 단백질 및 말미잘 실크 단백질과 같은 생체 모방 소재를 활용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혈 및 상처 봉합이 가능한 생체 접착 지혈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피부를 통한 약물 및 유전자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한 피부 전달 기술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금 나노로드 매개 화장품 유효성분 전달 플랫폼, siRNA 및 펩타이드 피부 전달 기술, 마이크로니들 기술 등을 활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건선 등 피부 질환 치료 및 피부 재생에 기여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체재료 및 전달 기술은 외과 수술 시 지혈 효율을 높이고, 난치성 피부 질환의 치료 효과를 개선하며, 미용 분야의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도 응용되어 산업적, 의학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학술 및 산학협력 활동] - 제2회 INU LINC3.0 산학협력 성과전시회 (2023년 11월 1일 ~ 2일) - BTogether: 라이프사이클 공정밸리데이션 재직자 교육 (2023년 10월 26일 ~ 27일) - 제1회 인천 글로벌 해양 산학협력포럼 (2023년 11월 1일 ~ 2일) - 2023년 2학기 인천대학교 채용박람회 (2023년 11월 7일) - 미래 로봇 모빌리티 산업 세미나 (2023년 11월 1일) - 해양특성화 ICC 대학 연합경진대회 (2023년 10월 31일 ~ 11월 2일) - 미래자동차 소프트웨어 전문 기술교육 (2023년 11월 예정) - 제1회 A.R.T 지산학 오픈 포럼 (2023년 11월 10일) - 2023년 수요맞춤형 지식재산권 교육 및 찾아가는 아이디어 상담소 (2023년 11월 27일) - 기술사업화협의체 Kick-Off 미팅 (2023년 10월 30일) - 2023년 제2회 바이오페스티벌 (2023년 11월 3일) - 2023년 인천환경아카데미 고위관리자과정 (제2기) 수료식 (2023년 10월 31일) - 소규모 사업장 대기방지시설 설치 및 탄소중립 교육 - (사)국제개발컨설팅협회와 해외 시장 진출 및 ODA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MOU) 체결 (2023년 11월 10일) - 몽골 생명과학대학교 및 다르한-오울 주와 업무협약 체결 (2023년 11월 14일) - 인천강소특구지사 설립 - 인천대학교 창업교육 우수대학으로 교육부장관 표창 수상 |
학력
| 학력 사항 | 2010: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공학박사 2003: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공학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