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도현

김도현

소속

제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AI요약

제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김도현 교수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디지털 트윈 기술을 융합한 미래 지능형 시스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에너지 관리, 지능형 헬스케어, 스마트 빌딩 및 소재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 과제들을 수행하며, 실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실용적인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기반의 최적화 및 예측 모델, 그리고 분산 학습 환경에서의 보안 및 효율성 증대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학계와 산업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김도현 교수는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도현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도현
직책교수
이메일kimdh@jeju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컴퓨터공학과
사무실 번호0647543658
연구실에너지신산업연구소
연구실 홈페이지https://rinei.kr/manpower
홈페이지-
소속제주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제주대학교
재직기간1984.03.01 ~ 재직 중
담당업무컴퓨터공학전공 정교수로서 교육 및 연구 활동 수행. 수학교육과장, 기획의원, 평의원 역임.
회사명제주대학교 빅데이터연구센터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빅데이터 관련 연구 프로젝트 총괄 및 센터 운영.
회사명대한전자공학회
재직기간-
담당업무M2M/IOT 연구회장 역임.
회사명제주대 WISET사업단
재직기간-
담당업무교육지원부 부장으로 활동.
회사명이공계 여대생 활동단
재직기간2016.01.01 ~
담당업무장기 멘토링 프로그램 멘티팀 지도.

중요 키워드

#에너지최적화#보안#디지털트윈#스마트빌딩#데이터분석#인공지능#객체탐지#스마트시티#사물인터넷#협업지능#블록체인#엣지컴퓨팅#모바일컴퓨팅#빅데이터#센서네트워크

연구 분야

연구 1인공지능·IoT·디지털 트윈 기반 지능형 시스템 연구
내용본 연구실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디지털 트윈 기술을 융합하여 미래 지능형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분산된 환경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예측 및 제어 기능을 강화하며,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한 협업 지능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핵심 연구 분야는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의 분산 학습 및 보안 강화입니다.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과 스웜 학습(Swarm Learning)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 프라이버스를 보호하면서도 모델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이질적인 분산 에지 지능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통신 및 토폴로지 최적화 방안을 모색합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센싱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하고, 분산 에너지 자원의 보안 및 위협 이상 탐지/대응 프레임워크 연구를 통해 지능형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이기종 IoT 플랫폼 간의 상호 운용성을 위한 표준화 기술 및 가상 객체 관리 기술을 개발하여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와 같은 복합 환경에서의 지능형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물리적 시스템의 가상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예측 및 최적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이러한 연구는 스마트 빌딩의 에너지 관리, 건설 현장의 안전 관제, 지능형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및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분산된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예측 정확도 향상, 그리고 서비스의 안정성과 보안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중추적인 기여를 통해 학계와 산업계에 중요한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 2스마트 에너지 및 도시 인프라 최적화
내용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 구현을 위해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및 도시 인프라의 효율적인 관리와 최적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소비 예측 및 제어, 재생에너지 통합, 그리고 스마트 빌딩 및 스마트 시티 환경에서의 인프라 지능화를 목표로 합니다.에너지 최적화 기술로는 분산 에너지 자원의 최적 관리 및 제어,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방안, 그린수소 실증 기술 개발 등을 연구합니다. 스마트 빌딩 환경에서는 머신러닝 기반의 실내 에너지 최적화 및 환경 제어 기술을 통해 사용자 쾌적성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스마트 조명 AI 모델을 위한 데이터 가공 및 건물 에너지 사용량 예측 모델 개발을 진행하며, 모빌리티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한 제어 기술 분석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도시 인프라 관리 측면에서는 지하 매설물의 위험 지수 예측, 폐기물 수집 최적 경로 추천 등 다양한 도시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연구는 제주의 에너지 신산업 고도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분산 에너지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과 탄소 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핵심 기술을 제공합니다. 스마트 빌딩의 에너지 비용 절감, 스마트 시티의 운영 효율성 증대 및 시민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며, 에너지 산업 및 도시 관리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 3데이터 기반 객체 탐지 및 소재/헬스케어 분석
내용본 연구실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객체 탐지 및 소재/헬스케어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예측 및 분류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객체 탐지 분야에서는 RGB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3D 깊이맵 생성, 실시간 장거리 객체 추적, 그리고 동적 카메라 포즈를 활용한 합성 데이터 생성 기술을 연구하여 실외 환경에서의 객체 인식 및 거리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소재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는 AI 기반 세라믹 소재정보은행 구축, 원료 조성 및 공정 추론 모듈 개발, 소재 데이터 증강 모듈 개발 등을 통해 신소재 개발 및 최적화 프로세스에 기여합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재활 운동 데이터 분석, 의료기기 인허가 가이드라인 연구, 유방암 진단 및 당뇨병 분류 프레임워크 개발 등을 통해 정밀 의료 및 환자 맞춤형 치료를 지원합니다. 또한, 빅데이터 기반의 안전 지수 예측 네트워크 모델, 지반 구조 분석 도구 개발 등을 통해 사회 안전 분야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연구는 건설 현장의 안전 관제, 신소재 개발 기간 단축, 의료 진단 정확도 향상, 그리고 스마트 팩토리 및 스마트시티의 지능화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 분석과 AI 모델링을 통해 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합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회/위원회 활동] - 대한전자공학회 M2M/IOT 연구회장 - 제주대 WISET사업단 교육지원부 부장 - 이·공학교육에서의 젠더혁신을 위한 교수법 연구회 참여 [수상 내역] - 2021 지역인재육성 멘토상 수상 [멘토링/교육 활동] - 지역 내 과학기술인 멘토 역할 수행 및 이공계 우수 여성인재 양성 기여 - 이공계 여대생 활동단 멘티팀 지도 (2016년부터) - 사물인터넷,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공동 학습 프로그램 참여

학력

학력 사항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경북대학교 (공학석사) 경북대학교 (공학박사)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