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일
김기일
소속
충남대학교 (인공지능학과)
AI요약
경상국립대학교 컴퓨터융합학부 김기일 교수님의 주요 연구 성과를 소개합니다. 김기일 교수님은 사물인터넷(IoT), 무선 및 센서 네트워크, 실시간 통신, 엣지컴퓨팅, 항공기 애드혹 네트워크 등 다양한 첨단 기술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하고 계십니다. 특히 저전력 초저지연 서비스, 자원 관리 최적화, 엣지컴퓨팅 신뢰성 확보와 같은 핵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미래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계십니다. 다수의 국내외 학술 논문 발표와 특허 등록을 통해 그 전문성과 혁신적인 연구 역량을 입증하였으며, 차세대 통신 및 융합 기술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기일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kikim@c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인공지능학과 |
| 사무실 번호 | 0428216856 |
| 연구실 | Intelligent Networks 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monetcnu |
| 홈페이지 | https://ai.cnu.ac.kr/ai/intro/professor01.do?mode=view&key=LZStrEwBgjAbGIg7LQ%20&pager.offset=0&pagerLimit=10 |
| 소속 | 충남대학교 |
중요 키워드
#실시간시스템#데이터전송#멀티캐스트#무선네트워크#네트워크보안#항공전자#사물인터넷#초저지연#라우팅#엣지컴퓨팅#지능형운송시스템#자원관리#무인기#센서네트워크#무선통신
연구 분야
| 연구 1 | 지능형 무선 네트워크 및 엣지 컴퓨팅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통신 환경의 핵심인 지능형 무선 네트워크 및 엣지 컴퓨팅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네트워크 구조와 자원 관리 방안을 모색합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및 엣지/포그 컴퓨팅 패러다임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극대화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적인 네트워크 운용 기술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주요 연구로는 저전력 IoT 기기를 위한 초저지연 서비스 자원 관리 최적화, 사물인터넷 보안 특성화 연구, 그리고 지능형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및 처리 기법 개발 등이 있습니다. 이와 함께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특정 응용 분야에서 무선 자율 조직 네트워크를 통한 상태 정보 전달 기술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연구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자율주행 등 다양한 미래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신뢰, 초저지연 통신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인 기술 기반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실은 기업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실증 및 상용화를 추진하며,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 연구 2 | 초저지연 실시간 통신 및 자원 관리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고도의 신뢰성과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무선 센서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등 역동적인 환경에서 실시간 스트림 데이터((m, k)-firm 스트림)의 안정적인 전송을 보장하고, 예측 불가능한 네트워크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멀티캐스트, 라우팅, 네트워크 보안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을 실시간 시스템에 접목하여 전송 효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주요 연구 과제로는 저전력 사물인터넷의 초저지연 서비스를 위한 자원 관리 최적화, 무선통신 기반 저지연 기술 연구, 그리고 무선 멀티미디어 센서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스트림 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또한, 'Cross-Layered Approach for (m, k)-Firm Stream in Wireless Sensor Networks'와 같은 다수의 논문을 통해 실시간 통신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기술은 자율주행차, 원격 수술, 재난 안전 통신, 스마트 공장 등 초저지연 및 고신뢰 통신이 필수적인 분야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본 연구실은 해당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파트너를 찾고 있습니다. |
| 연구 3 | 무인 시스템 및 항공전자 애드혹 네트워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무인기(UAV) 및 항공전자 시스템의 통신, 제어, 운용에 필요한 첨단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공기 애드혹 네트워크(Aircraft Ad Hoc Networks)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 전송,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그리고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통신 인프라 구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실제 비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현실적인 이동성 모델을 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인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을 검증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주요 연구 성과로는 '무인기를 이용한 지형 변화 감지 시스템' 특허 등록, '항공기의 상황 대응 시스템' 및 '항공기 계기표시 시스템' 관련 특허 보유, 그리고 'A simulation study for typical routing protocols in aircraft Ad Hoc networks' 등 다수의 학술 논문 발표가 있습니다. 또한 'UAV 연구회[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무인기 제어 연구]' 및 'T-50 수출기 데이터 전송 및 기록 시스템(DTRS) 개발'과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무인 시스템 기술 발전에 기여했습니다.이러한 연구 역량은 국방, 재난 구조, 물류,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무인 시스템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항공 안전 및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무인 시스템 및 항공전자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하고 함께 성장할 파트너 기업을 환영합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다양한 국제저널 특집호 게스트 에디터 및 심사위원 활동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편집위원 EAI 센서 시스템 국제학회 총괄의장 (2018) IEEE ComSoc, KISS, KIPS, KICS 정회원 IEEE/Elsevier/Springer/MDPI 등 저널 및 학회 리뷰어 다수 |
학력
| 학력 사항 | 학사: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1993–2000) 석사: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00–2002) 박사: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02–2005)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