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호
장성호
소속
인천대학교 (생명공학전공)
AI요약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장성호 조교수의 상세 연구자 프로필입니다. 본 프로필은 장성호 조교수님의 소속, 직책 등 기본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참여 과제, 논문, 특허, 보고서 등의 연구 실적 정보가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연구 활동 및 협력 분야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학술 교류 및 공동 연구 기회를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장성호 조교수님의 학술적 기여와 전문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장성호 |
| 직책 | 조교수 |
| 이메일 | sjang@i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명공학전공 |
| 사무실 번호 | 0328358033 |
| 연구실 | 합성생물학·인공진화공학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sjanglab.org |
| 홈페이지 | https://www.sjanglab.org/team |
| 소속 | 인천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
| 재직기간 | 2020.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조교수 |
| 회사명 | Boston University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
| 재직기간 | 2019.01.01 ~ 2020.12.31 |
| 담당업무 | Postdoctoral Fellow |
| 회사명 | 포항공과대학교 화공창의융합인재양성사업단 |
| 재직기간 | 2019.01.01 ~ 2019.12.31 |
| 담당업무 | 박사후연구원 |
| 회사명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
| 재직기간 | 2017.01.01 ~ 2019.12.31 |
| 담당업무 | 박사후연구원 |
중요 키워드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합성생물학#유전자 치료제#바이오센서#RNA 치료제#대사공학#분자진단#실험실 진화#RNA 합성생물학#신약개발#미생물 기반 치료제
연구 분야
| 연구 1 | 합성생물학 및 인공 유도진화 공학 |
| 내용 | 본 연구실은 생명공학의 핵심 분야인 합성생물학과 인공 유도진화 공학에 중점을 두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미생물을 포함한 생명 시스템을 재설계하고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합성생물학 기술을 개발하며, 이를 통해 유용 물질 생산 및 난치병 치료를 위한 기반을 마련합니다. 특히, 유전자 논리회로와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합하여 원하는 기능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전략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파운드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초고속 인공 유도진화 시스템을 개발하여 미생물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유전체 공학 기술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복잡한 생체 시스템을 이해하고 제어하는 데 필수적이며, 신약개발 및 친환경 바이오 소재 개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의 난제를 해결하고 미래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RNA 기반 바이오센서 및 분자진단 |
| 내용 | 본 연구실은 RNA를 기반으로 한 고감도 바이오센서 및 신속 분자진단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정 저분자 약물이나 환경 오염 물질(예: 플라스틱 단량체)에 반응하는 RNA 압타머 및 인공 리보스위치 설계 기술을 연구하며, 이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물질 검출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무세포 시스템과 One-pot 전사 및 핵산 연결 반응을 활용한 플라스틱 단량체 측정 바이오센서는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입니다. 또한, 신·변종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현장 분자진단 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건 위기 상황에서의 진단 역량을 강화합니다. 이러한 RNA 기반 바이오센서 기술은 신약개발 과정에서 표적 물질을 효과적으로 스크리닝하거나, 질병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경 모니터링, 의약품 개발, 감염병 진단 등 폭넓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 기술을 제공합니다. |
| 연구 3 |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및 미생물 치료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및 미생물 기반 치료제 개발을 통해 다양한 질병의 혁신적인 치료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 치료를 위한 유전자 바이오센서를 탑재한 인공 미생물 개발에 집중합니다. 유전자 치료제와 RNA 치료제의 개념을 미생물 시스템에 적용하여 체내에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물질을 생산하는 차세대 바이오치료제를 구현합니다. 미생물 대사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1-deoxynojirimycin과 같은 유용 대사산물을 고효율로 생산하는 균주를 개발하며, 이는 제약 및 식품 산업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된 미세조류와 박테리아의 공생 배양을 통해 바이오매스 증진 및 친환경 해양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개발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생물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인간의 건강 증진과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 구축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대외 활동] - 송도 바이오클러스터의 지-산-학-연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동연구를 진행 [기술 이전 및 기술 지도] - 신약개발 기업 기술이전 - 합성생물학 기반 RNA 바이오센서 개발 및 신약개발 기업 기술이전 [수상 내역] - 2025년 과학의날 기념 정부포상 과학기술진흥 유공 장관표창 |
학력
| 학력 사항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생물화학공학) 박사 (2017)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 학사 (2010)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