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인천대학교 바이오-로봇시스템공학과 김우용 조교수님의 상세 프로필 정보입니다. 본 프로필은 김우용 조교수님의 소속, 직위와 함께 학력, 경력, 주요 연구 분야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관심 있는 사용자분들께 정확하고 심층적인 내용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Kotech Hub에서는 김우용 조교수님의 최신 활동과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련 분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보 탐색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필을 통해 김우용 조교수님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우용 |
| 직책 | 조교수 |
| 이메일 | wooyongkim@i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바이오-로봇시스템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358688 |
| 연구실 | REC 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inu-reclab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inu-reclab/people/pi?authuser=0 |
| 소속 | 인천대학교 |
| 회사명 |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Mar. 2024 - Present,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iomedical and Robotics Engineering |
| 회사명 | Hoseo University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Mar. 2021 - Feb. 2024,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Robotics |
| 회사명 | KAIST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Aug. 2020 - Feb. 2021, Postdoctoral Fellow, Research Center for Eco-Friendly & Smart Vehicles |
| 연구 1 | 로봇 시스템 설계 및 제어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세대 로봇 시스템의 설계, 개발 및 정밀 제어 기술 연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로봇팔 제작 및 제어, 그리고 로봇팔의 정/역기구학 기반 공정 제어 알고리즘 개발에 깊이 있는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MR(Autonomous Mobile Robot) 자율주행 로봇 및 로봇 그리퍼 설계와 제작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실제 산업 현장 및 일상생활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로봇팔 공정제어 대상물의 자동 정렬 및 이송/적재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을 포함하며, 이는 제조 및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로봇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로봇 구동용 전기/전자회로 제작 및 아두이노 기반 제어 실습 등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줄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복잡한 작업 환경에서 로봇의 자율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여 생산성 향상과 인력 부담 경감에 중요한 가치를 창출합니다. |
| 연구 2 | 차세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전력 시스템 최적화 |
| 내용 | 본 연구실은 전기 자동차(EV)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핵심 요소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고도화 및 전력 시스템 최적화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LiFePO4 배터리의 히스테리시스 모델을 포함한 상태 추정 정확도 분석, 비접촉식 전류 센서 오차 자동 보정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배터리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열폭주 예측 및 조기 진단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은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주요 연구 과제로는 Pouch형 리튬이온 배터리 셀의 열적 파라미터 추출 및 분석,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개회로 전압 특성을 반영한 고안전/고효율 BMS 개발이 있습니다. 또한 AMR용 전류 센서 오차에 강인한 BMS 개발 및 안전성 기반의 ESS용 BMS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배터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사용 후 배터리 모듈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한 능동 균등 제어 기반의 BMS 개발은 친환경 에너지 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전력 시스템 전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가치를 제공합니다. |
| 연구 3 | 비선형 시스템 제어 및 지능형 상태 진단 |
| 내용 | 본 연구실은 복잡한 동적 특성을 갖는 비선형 시스템의 정밀 제어 및 효율적인 상태 진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배터리 시스템과 로봇 공학 분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비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급 제어 이론과 지능형 알고리즘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이는 시스템의 불확실성과 외부 환경 변화에 강인하게 대응하며, 최적의 성능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비선형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의 관측 가능성 분석 및 상태 추정 정확도 향상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LiFePO4 배터리의 히스테리시스 모델을 활용한 SOC(State of Charge) 및 SOH(State of Health) 추정은 배터리 수명 연장 및 안전 운용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모사발열체의 다채널 온도계측 시스템 개발과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시스템의 물리적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배터리 열폭주와 같은 위험 상황을 사전에 예측하고 조기 진단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본 연구는 정밀한 제어와 신뢰성 높은 상태 진단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자율주행 시스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기술 분야에서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 활동 내용 | [학회 활동] - 제40회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학술대회(ICROS 2025) 참여 (논문 발표) [수상 내역] - 제40회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학술대회(ICROS 2025) 우수논문상 (논문명: '히스테리시스 모델을 포함한 LiFePO4 배터리의 관측 가능성 및 상태 추정 정확도 분석') |
| 학력 사항 | Ph.D., Mechanical Engineering, KAIST, 2020 (Advisor: Prof. Kyung-Soo Kim) M.S., Robotics Program, KAIST, 2016 (Advisor: Prof. Kyung-Soo Kim) B.S., Department of Mechanical System Desig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4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