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혜영
장혜영
소속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AI요약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장혜영 교수는 지속가능한 촉매 개발 및 이산화탄소(CO2) 활용 연구의 선두 주자입니다. 유기화학 합성 및 촉매 반응 메커니즘 규명에 깊이 있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폐기물 업사이클링, 바이오매스 전환, 그리고 새로운 C-C 결합 형성 반응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친환경 화학 공정 구축과 자원 순환 시스템 발전에 중요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장혜영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hyjang2@ajo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에너지시스템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192207 |
| 연구실 | 그린촉매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ajou.ac.kr/ajouom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ajou.ac.kr/ajouom/people/professor?authuser=0 |
| 소속 | 아주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 재직기간 | 2005.01.01 ~ 2006.12.31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 회사명 | 아주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화학과 및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 - 유기 촉매, 유기 금속 촉매, 친환경 촉매 반응 개발 연구 - 연구 우수 교수 실버상 수상 |
중요 키워드
#화학공정#에너지 시스템#폐기물 업사이클링#지속가능 화학#신소재 개발#친환경 촉매#촉매 기술#탄소 중립#CO2 폴리머#유기 금속 촉매#글리세롤 전환#CO2 활용#탄산염 합성#유기 촉매#젖산 생산
연구 분야
| 연구 1 | 지속가능 친환경 촉매 개발 및 응용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화학 공정 구축을 위한 친환경 촉매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유기 촉매 및 유기 금속 촉매(예: Zn-gallate, Ir(triNHC), Cu(triNHC))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합니다. 전이금속 없이 일산화탄소 포집 및 전달 반응, 그리고 다양한 친환경 촉매 반응 메커니즘 규명에 깊이 있는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화학 분야 상위 저널인 'Advanced Synthesis & Catalysis'에 VIP 논문 및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는 등 탁월한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촉매 기술은 환경 오염 저감과 자원 효율성 극대화에 기여하며,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
| 연구 2 | 이산화탄소(CO2) 포집 및 활용 기술 |
| 내용 | 장혜영 교수는 기후 변화 대응의 핵심 기술인 이산화탄소(CO2) 포집 및 활용(CCU) 연구의 선두 주자입니다. 본 연구실은 CO2를 단순 포집하는 것을 넘어, 이를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및 고분자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인 촉매 시스템을 연구합니다. CO2를 원료로 하는 고성능 CO2-폴리머 합성, 탄산염 합성, 그리고 기타 새로운 C-C 결합 형성 반응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Zn-gallate 촉매를 이용한 CO2 폴리머의 조성 및 구조 제어 기술, 그리고 CO2와 에폭사이드를 이용한 탄산염 합성 촉매 개발 등은 탄소 중립 사회 실현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폐기물 업사이클링과 연계하여 자원 순환 시스템 발전에 기여하며, 친환경 소재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연구 3 | 폐자원 업사이클링 및 바이오매스 전환 |
| 내용 | 본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자원 순환 경제를 구축하기 위해 폐기물(폐플라스틱, 바이오매스 등)을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전환하는 업사이클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Ir(triNHC) 촉매를 활용하여 폐PET로부터 젖산(Lactic Acid)을 생산하고, 양극성 막 전기투석(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또한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바이오매스 유래 화합물을 이용한 수소 및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생산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을 넘어, 산업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그린촉매 연구실은 환경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산업 발전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유니버시티 텍사스-오스틴 화학과 박사 (2005) 서울대학교 석사 (2000)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1998) |
보유 기술 로딩 중...
